[기독교 성경강독] 이사야 (개요 배경 소명 내용 구조)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교 성경강독] 이사야 (개요 배경 소명 내용 구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사야서 개요

2. 저자 이사야

3. 시대적 배경

4. 이사야의 소명

5. 이사야의 활동시기

5. 이사야서의 저작

6. 이사야서의 구조

7. 이사야서의 내용

8. 이사야서의 표현의 특색

9. 이사야서의 신학적 흐름

10. 이사야서 예언의 특징

본문내용

법에는 수사학적인 말씀도 볼 수 있다. 그이 예언은 삼중, 사중 또는 오중까지 겹치는 특징을 볼 수 있다(사1:4, 2:13-16, 3:2-3, 5:12, 18-23, 22:12-13, 25:4-5, 40:12, 41:19, 47:13). 또한 다양성을 보여주는 예도 있다(사7:1-3, 8:1-4, 9:2-7, 11:6-9, 14:4-23, 21:11-12, 35:5-10, 55:10-13, 56:9-12). 그 외에 비유(사5:1-7), 이상(사6:1-13), 상징적 행위(사20:2), 서정적 노래(사12:1-6, 26:1-18), 후렴(사2:11, 5:25, 9:12) 등을 볼 수 있다. 정종호, 『이사야서 연구』, (도서출판 한글, 2000), p44.
9. 이사야서의 신학적 흐름
초반부 이사야서의 메시지는 6장을 기점으로 해서 변한다. 1-5장까지는 국내의 사회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는데 비해서, 7장부터서는 국내의 사회적인 문제보다는 국제정치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H .C 류폴드, 최종태 역, 『이사야서上, (크리스찬 서적, 1988), pp 30 - 36.
이사야서에서 전체를 아우르며 흐르고 있는 큰 흐름이 있음을 찾아 볼 수 있다. 1-39장에는 강대국 앗시리아의 등장을 배경으로 하는 기원전 8세기의 예루살렘 신학이 그 핵심적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예루살렘 신학은 하나님을 신뢰할 때, 하나님께서 계시는 시온 산 예루살렘 성은 보호받을 수 있다는 신학이다. 이 가운데 24-27장은 하나님께서 새 창조를 어떻게 하시는지 묵시문학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40-55장은 바벨론 포로의 상황에서 회복의 새로운 희망찬 비전을 제시한 것이다. 즉, 고난을 통해 정화된 백성이 하나님의 새로운 창조에 힘입어 다시 일어서는 비전이다. 마지막으로 56-66장은 포로기 이후의 이스라엘이 새롭게 일어서서 빛을 발하는 비전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사야의 중심된 신학은 희망의 신학이며, 비전으로 가득찬 신학이다. 정중호, 『성서주석 이사야Ⅱ』, (대한기독교서회, 2003), p41.
10. 이사야서 예언의 특징
이사야서의 예언의 중심은 ‘야웨의 종’ 사상을 내포한 메시야 예언이 대부분이다. 이사야서의 신학 사상은 그리스도와 직결되어 있다. 이사야의 예언 중 메시야의 탄생과 수난은 그 어떤 에언자에게서 찾아볼 수 없는 것들이다. 이사야서에 나온 예수의 모습을 통해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서 더욱 잘 알 수 있다.
<참 고 문 헌>
1. 김혜자, 후기예언서, (분도출판사, 1997)
2. 장일선, 히브리예언서연구,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91)
3. 정중호, 성서주석 이사야Ⅱ, (대한기독교서회, 2003)
4. H .C 류폴드, 최종태 역, 이사야서上 , (크리스찬 서적, 1988)
5. 아브라함 J.헤셀, 이현주 역, 에언자들 (삼인 2004)
6. 유행열, 이사야, 아 감미로운 말씀, (한들출판사, 2009)
7. 정종호, 이사야서 연구, (도서출판 한글, 2000)
8. 정규남, 구약개론, (개혁주의신행협회, 2006)
  • 가격1,6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3.1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75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