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이론 선정 배경
Ⅱ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1. 도덕 단계의 정의(定義)
2. 콜버그 이론의 특징과 비평
Ⅲ 도덕성 발달 이론과 관련된 경험사례분석
1. 사례
2. 사례 분석
Ⅳ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의 교육적 적용
- 콜버그 토론 수업 모형
1. 이론적 배경과 특성
2. 모형의 구조
3. 실제 수업에의 적용
Ⅴ 마치며
Ⅵ 참고자료
Ⅱ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1. 도덕 단계의 정의(定義)
2. 콜버그 이론의 특징과 비평
Ⅲ 도덕성 발달 이론과 관련된 경험사례분석
1. 사례
2. 사례 분석
Ⅳ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의 교육적 적용
- 콜버그 토론 수업 모형
1. 이론적 배경과 특성
2. 모형의 구조
3. 실제 수업에의 적용
Ⅴ 마치며
Ⅵ 참고자료
본문내용
화하도록 질문을 하는 것(+1전략)
콜버그의 인지적 도덕발달심리학에 의하면 아동들의 도덕 판단 능력은 그의 현 수준보다 한 단계 높은 상위 단계의 도덕적 추론과 접촉, 교류했을 때 가장 진보가 잘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학생의 추론에 대해 살피면서 그가 어떤 단계의 관점을 취하고 있는지 파악하여 바로 그 윗단계의 주장과 정당화 논리에 접해보게 하는 일이 중요하다.
-명료화와 요약하기 : 학생들의 발언을 명료화하고 요약하는 등의 역할을 하면서 토론을 밀도 있게 진행하는 것. 이를 통해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도덕적 갈등에 접근해 가는 방식과 개방된 질문을 제기하는 법 등을 통해 배우게 하는 일, 토론의 핵심적 요소를 연계시키는 일, 토론을 조절하는 일, 학생들로 하여금 다른 학생들이 제기한 다른 추론 형태를 의심하게 하는 일, 인지적 갈등과 역할 채택의 발달적 과정을 촉진시키는 등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학생들의 도덕적 판단력과 도덕적 사고 구조의 변화와 발달을 도모하게 된다.
-역할 채택 강조하기 : 여러 입장의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판단하는 것. 자기 중심성에서 벗어나 타인의 생각과 감정과 권리와 이익을 고려하는 것.
-실천 동기 강화 및 생활에의 확대 적용 : 실천 동기 강화를 바탕으로 학습한 가치 규범을 생활 속에서 어떻게 실천할 것인지 계획을 세우고 이를 꾸준히 실천하도록 관심을 갖고 지도한다.
수업에서 다룬 덕목과 관련이 있는 모범 사례를 들면서 감동을 깊게 하고 훌륭한 점을 본받게 하는 방식
자기 생활을 반성해 보고 앞으로 힘쓸 일과 실천할 일을 생각해 보는 방식
모범 학생을 소개하면서 물질적 또는 심리적 강화를 주는 방식
3. 실제 수업에의 적용
1) 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
초등학교 4-1 도덕교과서
<윤후의 고민>
어제 윤후는 수업을 마치고 깜빡 잊고 두고 온 물통을 가지러 교실에 들렀습니다. 교실은 텅 비어 있었습니다. 물통을 챙겨 들고 교실을 나서는 순간, 옆 반의 복도 유리창이 “쨍그랑”하고 깨지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깜짝 놀라 복도로 나가 창 밖을 보니 서너 명의 아이들이 놀라 어찌할 바를 몰라 하며 서 있었습니다. 그 아이들 속에는 가장 친한 친구인 민철이가 야구 방망이를 어깨에 메고 서 있었습니다. 나머지 아이들은 이름은 잘 모르지만 같은 학년의 친구들 같았습니다.
“아, 공을 좀 잘 던져야지. 그렇게 높이 던지면 어떡하니?”
민철이가 투덜거리며 한 아이에게 말했습니다.
“뭐? 네가 너무 세게 쳐서 유리창이 깨진 거잖아.”
그 아이는 민철이에게 불만을 터뜨렸습니다. 아이들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 깨진 창문 쪽으로 가까이 다가가자, 민철이가 윤후를 알아보고는 흠칫 놀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더니 곧이어 입에 손을 대고 ‘쉿’ 하는 표정으로 윤후에게 신호를 보냈습니다. 윤후는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 금방 알 수 있었습니다. 날아온 야구공에 맞아서 복도에 전시되어 있던 옆 반의 전시회 작품도 깨져 있었습니다.
민철이는 친구들과 함께 순식간에 사라졌습니다. 순간 윤후는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당황스러워하며 한참 동안 복도에 서 있었습니다.
다음 날 아침에 등교하여 깨진 유리창을 보니 말끔히 새 것으로 바뀌어 있었고, 전시회 작품도 교체되어 있었습니다. 선생님께서는 아침 시간에 우리들에게 어제의 일에 대해서 물어보셨습니다.
“어제 오후에 옆 반의 복도 유리창을 깬 학생이 혹시 우리 반에 있어요? 교감 선생님께서 멀리서 그 광경을 보셨다고 하니 정직하게 말해 주기 바랍니다.”
민철이는 아무 일도 없다는 듯 태연하게 앉아 있었습니다. 윤후는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에 빠졌습니다.
2) 도덕적 토론의 도입
도덕적 문제 부각
-윤후가 알게 된 사실은 무엇입니까?
-유리창을 깨뜨리고 난 후 민철이는 어떤 행동을 했습니까?
-민철이는 왜 그렇게 행동했을까요? 그것이 옳은 자세일까요?
-윤후와 민철이는 어떤 관계입니까? 그리고 윤후의 고민은 무엇입니까?
‘왜’라는 질문하기
-윤후가 선택할 수 있는 활동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생각해 봅시다.
-윤후가 왜 그런 선택을 할지 이유를 말해봅시다.
-윤후가 선택할 수 있는 행동들의 결과를 예상해 봅시다.
상황을 복잡하게 하기
-만약 민철이가 윤후와 친하지 않다면 어떤 결정을 내릴지 생각해 봅시다.
-만약 선생님께서 반 아이들 모두에게 벌을 주면서 말하라고 한다면 윤후는 어떤 결정을 내릴지 생각해 보고 그 이유를 말해 봅시다.
3) 도덕적 토론의 심화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에 따라 상위 단계에 있는 아이들(ex. 말을 하지 않으면 반 전체에 혼란이 오기 때문에 말해야 한다)과 하위 단계에 있는 아이들(ex. 윤후는 민철이와 친하니까 민철이를 위해서 말하면 안된다)이 팀을 나누어 작은 토론을 하도록 한다.
-이 때 교사는 아이들의 발언을 정리, 요약하여 다시 인지시켜 주어야 한다.
Ⅴ 마치며
콜버그라는 사람도 이 수업을 통해서 처음 접한 사람이었고, 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는 더더욱 처음 접한 이론이었지만, 실제 도덕 교과서를 열어보니 그의 이론은 교과서에 너무나도 자연스럽게 녹아 있었다. 수업시간에 배운 다른 이론들도 찾아보면 도덕 교육에 사용되고 있는 이론들이 많이 있을 거란 생각이 들었다.
나의 성격상 눈에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이론은 다른 과목보다 무척이나 어렵게 다가온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솔직히 기말을 준비하며 공부를 하긴 하였지만, 머리에 잘 들어오지 않았고 이해를 하지도 못하였다. 그러나 이번 과제를 통해 콜버그라는 사람의 이론에 관해서만큼은 확실히 이해를 하게 된 것 같아 뿌듯하다. 앞으로 많은 도덕 이론에 관심을 가지고 도덕 교육과 연결하여 조금 더 나은 도덕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
Ⅵ 참고자료
도덕 발달의 철학, 2000, L.Kohlberg, 교육과학사
http://blog.naver.com/mosaki?Redirect=Log&logNo=80005166758
http://preppers.blog.me/40126702414
http://blog.naver.com/chiquitita87?Redirect=Log&logNo=100101598619
초등학교 4-1 도덕 교과서 15-17페이지
콜버그의 인지적 도덕발달심리학에 의하면 아동들의 도덕 판단 능력은 그의 현 수준보다 한 단계 높은 상위 단계의 도덕적 추론과 접촉, 교류했을 때 가장 진보가 잘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학생의 추론에 대해 살피면서 그가 어떤 단계의 관점을 취하고 있는지 파악하여 바로 그 윗단계의 주장과 정당화 논리에 접해보게 하는 일이 중요하다.
-명료화와 요약하기 : 학생들의 발언을 명료화하고 요약하는 등의 역할을 하면서 토론을 밀도 있게 진행하는 것. 이를 통해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도덕적 갈등에 접근해 가는 방식과 개방된 질문을 제기하는 법 등을 통해 배우게 하는 일, 토론의 핵심적 요소를 연계시키는 일, 토론을 조절하는 일, 학생들로 하여금 다른 학생들이 제기한 다른 추론 형태를 의심하게 하는 일, 인지적 갈등과 역할 채택의 발달적 과정을 촉진시키는 등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학생들의 도덕적 판단력과 도덕적 사고 구조의 변화와 발달을 도모하게 된다.
-역할 채택 강조하기 : 여러 입장의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판단하는 것. 자기 중심성에서 벗어나 타인의 생각과 감정과 권리와 이익을 고려하는 것.
-실천 동기 강화 및 생활에의 확대 적용 : 실천 동기 강화를 바탕으로 학습한 가치 규범을 생활 속에서 어떻게 실천할 것인지 계획을 세우고 이를 꾸준히 실천하도록 관심을 갖고 지도한다.
수업에서 다룬 덕목과 관련이 있는 모범 사례를 들면서 감동을 깊게 하고 훌륭한 점을 본받게 하는 방식
자기 생활을 반성해 보고 앞으로 힘쓸 일과 실천할 일을 생각해 보는 방식
모범 학생을 소개하면서 물질적 또는 심리적 강화를 주는 방식
3. 실제 수업에의 적용
1) 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
초등학교 4-1 도덕교과서
<윤후의 고민>
어제 윤후는 수업을 마치고 깜빡 잊고 두고 온 물통을 가지러 교실에 들렀습니다. 교실은 텅 비어 있었습니다. 물통을 챙겨 들고 교실을 나서는 순간, 옆 반의 복도 유리창이 “쨍그랑”하고 깨지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깜짝 놀라 복도로 나가 창 밖을 보니 서너 명의 아이들이 놀라 어찌할 바를 몰라 하며 서 있었습니다. 그 아이들 속에는 가장 친한 친구인 민철이가 야구 방망이를 어깨에 메고 서 있었습니다. 나머지 아이들은 이름은 잘 모르지만 같은 학년의 친구들 같았습니다.
“아, 공을 좀 잘 던져야지. 그렇게 높이 던지면 어떡하니?”
민철이가 투덜거리며 한 아이에게 말했습니다.
“뭐? 네가 너무 세게 쳐서 유리창이 깨진 거잖아.”
그 아이는 민철이에게 불만을 터뜨렸습니다. 아이들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 깨진 창문 쪽으로 가까이 다가가자, 민철이가 윤후를 알아보고는 흠칫 놀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더니 곧이어 입에 손을 대고 ‘쉿’ 하는 표정으로 윤후에게 신호를 보냈습니다. 윤후는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 금방 알 수 있었습니다. 날아온 야구공에 맞아서 복도에 전시되어 있던 옆 반의 전시회 작품도 깨져 있었습니다.
민철이는 친구들과 함께 순식간에 사라졌습니다. 순간 윤후는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당황스러워하며 한참 동안 복도에 서 있었습니다.
다음 날 아침에 등교하여 깨진 유리창을 보니 말끔히 새 것으로 바뀌어 있었고, 전시회 작품도 교체되어 있었습니다. 선생님께서는 아침 시간에 우리들에게 어제의 일에 대해서 물어보셨습니다.
“어제 오후에 옆 반의 복도 유리창을 깬 학생이 혹시 우리 반에 있어요? 교감 선생님께서 멀리서 그 광경을 보셨다고 하니 정직하게 말해 주기 바랍니다.”
민철이는 아무 일도 없다는 듯 태연하게 앉아 있었습니다. 윤후는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에 빠졌습니다.
2) 도덕적 토론의 도입
도덕적 문제 부각
-윤후가 알게 된 사실은 무엇입니까?
-유리창을 깨뜨리고 난 후 민철이는 어떤 행동을 했습니까?
-민철이는 왜 그렇게 행동했을까요? 그것이 옳은 자세일까요?
-윤후와 민철이는 어떤 관계입니까? 그리고 윤후의 고민은 무엇입니까?
‘왜’라는 질문하기
-윤후가 선택할 수 있는 활동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생각해 봅시다.
-윤후가 왜 그런 선택을 할지 이유를 말해봅시다.
-윤후가 선택할 수 있는 행동들의 결과를 예상해 봅시다.
상황을 복잡하게 하기
-만약 민철이가 윤후와 친하지 않다면 어떤 결정을 내릴지 생각해 봅시다.
-만약 선생님께서 반 아이들 모두에게 벌을 주면서 말하라고 한다면 윤후는 어떤 결정을 내릴지 생각해 보고 그 이유를 말해 봅시다.
3) 도덕적 토론의 심화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에 따라 상위 단계에 있는 아이들(ex. 말을 하지 않으면 반 전체에 혼란이 오기 때문에 말해야 한다)과 하위 단계에 있는 아이들(ex. 윤후는 민철이와 친하니까 민철이를 위해서 말하면 안된다)이 팀을 나누어 작은 토론을 하도록 한다.
-이 때 교사는 아이들의 발언을 정리, 요약하여 다시 인지시켜 주어야 한다.
Ⅴ 마치며
콜버그라는 사람도 이 수업을 통해서 처음 접한 사람이었고, 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는 더더욱 처음 접한 이론이었지만, 실제 도덕 교과서를 열어보니 그의 이론은 교과서에 너무나도 자연스럽게 녹아 있었다. 수업시간에 배운 다른 이론들도 찾아보면 도덕 교육에 사용되고 있는 이론들이 많이 있을 거란 생각이 들었다.
나의 성격상 눈에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이론은 다른 과목보다 무척이나 어렵게 다가온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솔직히 기말을 준비하며 공부를 하긴 하였지만, 머리에 잘 들어오지 않았고 이해를 하지도 못하였다. 그러나 이번 과제를 통해 콜버그라는 사람의 이론에 관해서만큼은 확실히 이해를 하게 된 것 같아 뿌듯하다. 앞으로 많은 도덕 이론에 관심을 가지고 도덕 교육과 연결하여 조금 더 나은 도덕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
Ⅵ 참고자료
도덕 발달의 철학, 2000, L.Kohlberg, 교육과학사
http://blog.naver.com/mosaki?Redirect=Log&logNo=80005166758
http://preppers.blog.me/40126702414
http://blog.naver.com/chiquitita87?Redirect=Log&logNo=100101598619
초등학교 4-1 도덕 교과서 15-17페이지
추천자료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의 기본원리와 특징,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의 중요성, 콜버그 도덕성...
[교육심리학 공통]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
[교육심리학 공통]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콜버그(Kohlberg)의 도덕발달이론과 도덕교육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과 교육적 적용 - 도덕
[초등도덕교육론]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과 교육적 적용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과 교육적 적용 - 초등도덕교육론
[수업지도안]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