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께서 그 처소에서 나오시고 강림하사 땅의 높은 곳을 밝으실 것이라 (1:3)
심판자로서의 여호와의 웅장하면서도 격정적인 등장에 대한 서론적 묘사에 이어 남, 북 이스라엘의 멸망을 선언하고 그 구체적 이유를 제시하는 반면 회복 관련 진술은 2:12,13절 단 두 절로 그치고 있다. 미가서에 수록된 세편의 단편 예언서들 중에서 남, 북 이스라엘의 심판을 가장 포괄적이고도 직설적으로 제시하고 그 이유도 가장 구체적으로 명기한 부분이다.
제2 단편 예언
3:1 3:9 4:1 4:6 4:9 5:1 5:3 5:5 5:10 5:15
지도자 책망과 예루살렘 멸망
메시야 왕국의 도래 예언
메시야의 도래 예언
정치, 종교 지도자 책망
예루살렘과 성정 멸망
메시야 왕구의 영광
남은자 포로 귀환
포로 생활 인내 권면과 궁극적 승리 예언
메시야 탄생 예언
남은 자 귀환
메시야의 승리 예언
메시야의 성결사역 예언
정의(3:1)
여호와의 전의 산(4:1)
이스라엘을 다스릴 자(5:2)
베들레헴 에브라다야 너는 유다 족속 중에... 그의 근본은 상고에, 영원에 있느니라(5:2)
먼저 제3장이 선민의 대표 계층인 정치 종교 지도자들의 타락을 지적 내지 책망하고 예루살렘 멸망을 선언하고 있다. 그리고 제4,5장 등 두장이 메시아 왕궁의 도래와 메시야의 도래를 반복 예언하고 있다. 이 제2편에서는 그 전반에 걸쳐 이 땅의 탐욕스럽고도 무능한 지도자들과 유일하고 완전한 왕이신 메시야, 그리고 이 지상의 선민의 불완전한 도성인 예루살렘과 하나님의 구원받은 백성들의 영원한 종말론적 도성인 메시야 왕국의 대비가 그 이면에 깔려 있다. 특히 5:2절은 메시야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지에 대한 예언으로 유명한 구절이다.
제3 단편 예언
6:1 6:6 6:9 7:1 7:7 7:14 7:18 7:20
심판의 정당성에 대한 하나님의 변론과 선지자의 탄식
구원 약속과 감사찬양
하나님의 외로움 변호
참된 회계 교훈
이스라엘 죄 책망과 심판 예언
이스라엘 타락에 대한 탄식
징계 후 호복 예언
선지자의 구원 간구
사죄 은총에 대한 감사 찬양
여호와의 변론 (6:2)
형벌의 날 (7:4)
인애 (7:20)
사람아 주께서 선한 것이 무엇임을...겸손하게 네 하나님과 함께 행하는 것이 아니냐 (6:8)
제3편의 심판 관련 진술부 중 제6장에서는 여호와의 선민 심판 사실 자체에 대한 언급을 배제하고 여호와의 선민 심판의 정당성 내지 당위성에 대한 변론과 회개의 권면에 치중하고 있다. 또한 이어서 7:1-7절에서는 선민의 타락과 선민의 받을 심판에 대한 선지자의 인간적 고뇌와 탄식을 기록하여 읽는 이들의 자연스러운 공감을 이끌어 내고 있다. 또한 회복과 구원 관련 진술부에서는 먼저 징계 이후의 회복 예언이 1인칭 저자 지점에서 선지자 개인의 확신의 선언 형식으로 제시된 후 선지자의 구원 간구와 여호와의 구원의 은총에 대한 소위 선취적 감사 찬양으로 끝맺고 있다. 그리하여 읽는 이들이 한 인간으로서 자연스럽게 저자이자 참 신앙인의 한 사람인 미가 선지자의 믿음과 감사 찬양에 동참하도록 이끌고 있다.
심판자로서의 여호와의 웅장하면서도 격정적인 등장에 대한 서론적 묘사에 이어 남, 북 이스라엘의 멸망을 선언하고 그 구체적 이유를 제시하는 반면 회복 관련 진술은 2:12,13절 단 두 절로 그치고 있다. 미가서에 수록된 세편의 단편 예언서들 중에서 남, 북 이스라엘의 심판을 가장 포괄적이고도 직설적으로 제시하고 그 이유도 가장 구체적으로 명기한 부분이다.
제2 단편 예언
3:1 3:9 4:1 4:6 4:9 5:1 5:3 5:5 5:10 5:15
지도자 책망과 예루살렘 멸망
메시야 왕국의 도래 예언
메시야의 도래 예언
정치, 종교 지도자 책망
예루살렘과 성정 멸망
메시야 왕구의 영광
남은자 포로 귀환
포로 생활 인내 권면과 궁극적 승리 예언
메시야 탄생 예언
남은 자 귀환
메시야의 승리 예언
메시야의 성결사역 예언
정의(3:1)
여호와의 전의 산(4:1)
이스라엘을 다스릴 자(5:2)
베들레헴 에브라다야 너는 유다 족속 중에... 그의 근본은 상고에, 영원에 있느니라(5:2)
먼저 제3장이 선민의 대표 계층인 정치 종교 지도자들의 타락을 지적 내지 책망하고 예루살렘 멸망을 선언하고 있다. 그리고 제4,5장 등 두장이 메시아 왕궁의 도래와 메시야의 도래를 반복 예언하고 있다. 이 제2편에서는 그 전반에 걸쳐 이 땅의 탐욕스럽고도 무능한 지도자들과 유일하고 완전한 왕이신 메시야, 그리고 이 지상의 선민의 불완전한 도성인 예루살렘과 하나님의 구원받은 백성들의 영원한 종말론적 도성인 메시야 왕국의 대비가 그 이면에 깔려 있다. 특히 5:2절은 메시야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지에 대한 예언으로 유명한 구절이다.
제3 단편 예언
6:1 6:6 6:9 7:1 7:7 7:14 7:18 7:20
심판의 정당성에 대한 하나님의 변론과 선지자의 탄식
구원 약속과 감사찬양
하나님의 외로움 변호
참된 회계 교훈
이스라엘 죄 책망과 심판 예언
이스라엘 타락에 대한 탄식
징계 후 호복 예언
선지자의 구원 간구
사죄 은총에 대한 감사 찬양
여호와의 변론 (6:2)
형벌의 날 (7:4)
인애 (7:20)
사람아 주께서 선한 것이 무엇임을...겸손하게 네 하나님과 함께 행하는 것이 아니냐 (6:8)
제3편의 심판 관련 진술부 중 제6장에서는 여호와의 선민 심판 사실 자체에 대한 언급을 배제하고 여호와의 선민 심판의 정당성 내지 당위성에 대한 변론과 회개의 권면에 치중하고 있다. 또한 이어서 7:1-7절에서는 선민의 타락과 선민의 받을 심판에 대한 선지자의 인간적 고뇌와 탄식을 기록하여 읽는 이들의 자연스러운 공감을 이끌어 내고 있다. 또한 회복과 구원 관련 진술부에서는 먼저 징계 이후의 회복 예언이 1인칭 저자 지점에서 선지자 개인의 확신의 선언 형식으로 제시된 후 선지자의 구원 간구와 여호와의 구원의 은총에 대한 소위 선취적 감사 찬양으로 끝맺고 있다. 그리하여 읽는 이들이 한 인간으로서 자연스럽게 저자이자 참 신앙인의 한 사람인 미가 선지자의 믿음과 감사 찬양에 동참하도록 이끌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김삼환 목사의 설교연구
벤처캐피탈의 자금조달 패턴과 자금운용 및 수익률 분석
미국 민주주의 확산전략과 글로벌 코리아 조화전략
만화 속 초인들을 통해 본 한국,미국,알본의 문화적 차이
분석의미와 정책분석
만약에, 히틀러를 달래려는 1938년의 유화정책이 강경정책으로 바뀌었다면 제2차 세계대전이 ...
소선지서 요약 (12권-호세아, 요엘, 아모스, 오바냐, 요나, 미가, 나홈, 하박국, 스바냐, 학...
ACF 분석틀 및 ACF 분석모형을 통한 한·미 FTA 정책 사례분석 (정책옹호연합모형 (ACF : Advo...
제 2차 남북정상회담 신문사설 분석 한겨레 중앙일보 문재인 김정은 북미정상회담 취소 한국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