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교회의 어원과 의미
1. 교회의 어원
2. 성경에서의 의미
B. 교회의 본질
1. 하나님의 공동체로서의 교회
2. 그리스고의 몸으로서의 교회
3. 구속적 친교로서의 교회
C. 제자의 개념
1. 제자의 어원
2. 성서적 의미
D. 제자와의 관계성
1. 제자와 예수와의 관계
2. 제자와 성령과의 관계
3. 제자와 제자와의 관계
4. 제자와 세상과의 관계
Ⅲ. 결론
참고문헌
1. 교회의 어원
2. 성경에서의 의미
B. 교회의 본질
1. 하나님의 공동체로서의 교회
2. 그리스고의 몸으로서의 교회
3. 구속적 친교로서의 교회
C. 제자의 개념
1. 제자의 어원
2. 성서적 의미
D. 제자와의 관계성
1. 제자와 예수와의 관계
2. 제자와 성령과의 관계
3. 제자와 제자와의 관계
4. 제자와 세상과의 관계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로가 \'하나\'가 되도록 하는 일에 힘쓰도록 부름 받았다. \'하나됨\'의 중요성은 각 서신서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고린도전서 전체는 고린도 교회의 하나 되지 못하는 요소들을 나열하면서 \'하나됨\'을 강조한다(고전1:10). 제자들 사이에 형성된 공동체는 구속적인 친교를 이루어야 한다(행2:42-27, 4:31-32; 엡4:12).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베푸신 성만찬의 의미가 그것이다. 성만찬에 대한 묘사(고전10:16-17, 11:24-27)는 구속적 친교의 근본이요, 기초가 된다.
4. 제자와 세상과의 관계
성경이 제시하는 세상에 대한 이해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
세상의 주인은 바로 하나님이시다(시24:1). 따라서 이 세상과 하나님과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다. 이 세상을 선하게 창조하셨고(딤전4:4), 이 사역을 기뻐하셨다(창1:10, 12, 18, 2, 25, 31). 하나님은 세상이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계시의 수단으로 존재하게 하시고(시19;1-6; 롬1:20), 이렇게 창조된 세상을 자신의 형상을 따라 특별히 지음 받은 인간에게 맡기셔서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고 정복하고 다스리며(창1:28), 지키도록(창2:15)\"하셨다. 하나님은 인간을 위해 놀라운 선물로 세상을 주셨고 인간을 통해 세상이 선하게 유지되기를 기대하셨다.
그러나 이 세상은 인간의 타락으로 인해 인간과 함께 어그러지고 악에게 장악되었다. 성경은 이러한 세상의 모습을 부정적으로 묘사한다. 죄의 영향은 세상의 모든 영역에 미치어 이 세상은 창조주를 기억하지 아니하고(요1:10),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백성을 미워하게 되었다(요7:7, 15:8, 19). 이 세상은 하나님의 책망과 심판과 정죄의 대상이 되었다(요16:8; 롬3:6-8; 벧후2:5; 히11:7). 타락한 세상은 사탄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엡2:2), 미혹하는 자들이 출현하는 곳이 되었다(계1:7). 타락한 세상은 \"그리스도 밖에서 죄에 의해 지배되는 구원받지 못한 삶의 총체요, 하나님께 순종하는 방향을 가진 것에 반대되는 불순종의 방향을 그 종교적인 정향으로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방선기, 제자훈련과 성령운동 71.
.
예수님은 이 세상을 구원하시기 위해 하나님의 계획을 자원하는 마음으로 헌시하시고, 제자들에게도 세상을 사랑하도록 가르치셨다. 제자들은 그리스도의 증인으로 부름 받아 그리스도의 구원의 역사를 세상 곳곳에 알리며(행1:8) 세상이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지키도록 하기 위해 제자 삼는 사역을 감당해야 한다(마28:18-20).
결론
\'제자의 교회론\'이라는 주제를 받고 처음에는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했었다. 교회론과 제자에 대해서 어떻게 접근하고 어떻게 연결해서 생각해야 할지 어려웠다. 그러나 \'제자의 교회론\'이 교회론 안에서의 제자의 역할이라는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교회론에 대해 먼저 짚어보면서 제자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스도께서는 자신의 인격과 삶을 그 자체로서 제자를 훈련하셨다. 자신이 왜 오셨는지를 제자들에게 가르치시고 보여주셨으며, 자신을 따라 행하도록 제자들을 보내셨다.
마태복음 28:18-20에 나타나는 선교 대명령의 주동사는 ‘제자를 삼는 것’이다. 세상에서 부름 받은 제자들은 또한 세상으로 가서 제자를 삼아야 한다. 예수님은 낮고 천한 세상을 섬기기 위해 오셨다. 왕이신 그 분이, 주인이신 그 분이, 선생이신 그 분이 ‘종과 같이’ 되신 것이 아니라 ‘종’이 되셔서 죽기까지 섬기셨다. 제자도 이와 같이 행해야 함은 물론이다. 제자들이 제자 삼아야 하는 대상은 제자들이 섬겨야 하는 대상이다. 예수님이 제자들을 부르시고 섬기셨듯이, 자자들은 다른 제자들을 부르고 섬겨야 한다. 이렇게 형성되어지는 그리스도의 공동체는 ‘섬기는 공동체’이다. 개인은 다른 사람을 섬기고 작은 공동체를 섬긴다. 작은 공동체는 큰 공동체를 섬기고, 큰 공동체는 세상을 섬긴다. 이것이 제자훈련의 본질이다.
그렇다면 나는 \'제자\'가 되어있는가? 제자의 자세를 갖추고 있는가? 혹은 \'제자훈련이 되어있는가? 생각해 보게 되었다. 물론 제자의 자세를 잘 갖춘 사람들도 있지만 아직 \'섬김\'의 자세를 갖지 못하고 오히려 \'섬김 받는 것\'에 익숙한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우리는 \'섬기는 자\'로 불리워졌음을 잊지 말고 \'섬기는 자세\'로서 세상에 나아가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의 모든 것을 통하여 예수님께서 그리하셨던 것처럼 자신을 아끼지 말고 또 다른 사람에게 전하여 계속적인 제자의 생산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마음에 사랑을 가지고 온전히 자신을 바칠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우리 자신이 밖으로 나아갈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준비된 제자들이 나아가 또 다른 제자들을 양육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김길성, 교회론 총신대학교신학대학원, 1996
박형룡, 박형룡저작전집; 교회론 6권 서울: 한국기독교 교육연구원, 1983
방선기, 제자훈련과 성령운동 목회와 신학 1990. 5, 서울: 두란노서원
------ 제자도와 제자훈련 목회와 신학 1990. 5, 서울: 두란노서원
오병세, 교회 교육 신학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1989
정장복, 예배학 개론 서울:종로서적출판주식회사, 1985
정훈택, 시발점에서 조명해 본 교회론 목회와 신학 1991. 10, 서울: 두란노서원
E. A. Martens,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획과 목적 김지찬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0
E. G. Jay, 교회론의 역사 주재용 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1
D. G. Miller, 교회의 본질과 사명 박상준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1
Hans Kung, 교회란 무엇인가 이홍근 역 왜관: 분도출판사, 1987
Jim Grham, 교회의 본질 목회와 신학 1990. 11, 서울: 두란노서원
김진현, 평신도교육을 통한 교회성장 연구; 은혜의 교회를 중심으로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03
성서백과 편찬위원D회 (편), 성서대백과사전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주제별 설교대사전 편찬위원회, 주제별 성서활용대사전 서울: 보문출판사, 1987
4. 제자와 세상과의 관계
성경이 제시하는 세상에 대한 이해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
세상의 주인은 바로 하나님이시다(시24:1). 따라서 이 세상과 하나님과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다. 이 세상을 선하게 창조하셨고(딤전4:4), 이 사역을 기뻐하셨다(창1:10, 12, 18, 2, 25, 31). 하나님은 세상이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계시의 수단으로 존재하게 하시고(시19;1-6; 롬1:20), 이렇게 창조된 세상을 자신의 형상을 따라 특별히 지음 받은 인간에게 맡기셔서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고 정복하고 다스리며(창1:28), 지키도록(창2:15)\"하셨다. 하나님은 인간을 위해 놀라운 선물로 세상을 주셨고 인간을 통해 세상이 선하게 유지되기를 기대하셨다.
그러나 이 세상은 인간의 타락으로 인해 인간과 함께 어그러지고 악에게 장악되었다. 성경은 이러한 세상의 모습을 부정적으로 묘사한다. 죄의 영향은 세상의 모든 영역에 미치어 이 세상은 창조주를 기억하지 아니하고(요1:10),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백성을 미워하게 되었다(요7:7, 15:8, 19). 이 세상은 하나님의 책망과 심판과 정죄의 대상이 되었다(요16:8; 롬3:6-8; 벧후2:5; 히11:7). 타락한 세상은 사탄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엡2:2), 미혹하는 자들이 출현하는 곳이 되었다(계1:7). 타락한 세상은 \"그리스도 밖에서 죄에 의해 지배되는 구원받지 못한 삶의 총체요, 하나님께 순종하는 방향을 가진 것에 반대되는 불순종의 방향을 그 종교적인 정향으로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방선기, 제자훈련과 성령운동 71.
.
예수님은 이 세상을 구원하시기 위해 하나님의 계획을 자원하는 마음으로 헌시하시고, 제자들에게도 세상을 사랑하도록 가르치셨다. 제자들은 그리스도의 증인으로 부름 받아 그리스도의 구원의 역사를 세상 곳곳에 알리며(행1:8) 세상이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지키도록 하기 위해 제자 삼는 사역을 감당해야 한다(마28:18-20).
결론
\'제자의 교회론\'이라는 주제를 받고 처음에는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했었다. 교회론과 제자에 대해서 어떻게 접근하고 어떻게 연결해서 생각해야 할지 어려웠다. 그러나 \'제자의 교회론\'이 교회론 안에서의 제자의 역할이라는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교회론에 대해 먼저 짚어보면서 제자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스도께서는 자신의 인격과 삶을 그 자체로서 제자를 훈련하셨다. 자신이 왜 오셨는지를 제자들에게 가르치시고 보여주셨으며, 자신을 따라 행하도록 제자들을 보내셨다.
마태복음 28:18-20에 나타나는 선교 대명령의 주동사는 ‘제자를 삼는 것’이다. 세상에서 부름 받은 제자들은 또한 세상으로 가서 제자를 삼아야 한다. 예수님은 낮고 천한 세상을 섬기기 위해 오셨다. 왕이신 그 분이, 주인이신 그 분이, 선생이신 그 분이 ‘종과 같이’ 되신 것이 아니라 ‘종’이 되셔서 죽기까지 섬기셨다. 제자도 이와 같이 행해야 함은 물론이다. 제자들이 제자 삼아야 하는 대상은 제자들이 섬겨야 하는 대상이다. 예수님이 제자들을 부르시고 섬기셨듯이, 자자들은 다른 제자들을 부르고 섬겨야 한다. 이렇게 형성되어지는 그리스도의 공동체는 ‘섬기는 공동체’이다. 개인은 다른 사람을 섬기고 작은 공동체를 섬긴다. 작은 공동체는 큰 공동체를 섬기고, 큰 공동체는 세상을 섬긴다. 이것이 제자훈련의 본질이다.
그렇다면 나는 \'제자\'가 되어있는가? 제자의 자세를 갖추고 있는가? 혹은 \'제자훈련이 되어있는가? 생각해 보게 되었다. 물론 제자의 자세를 잘 갖춘 사람들도 있지만 아직 \'섬김\'의 자세를 갖지 못하고 오히려 \'섬김 받는 것\'에 익숙한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우리는 \'섬기는 자\'로 불리워졌음을 잊지 말고 \'섬기는 자세\'로서 세상에 나아가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의 모든 것을 통하여 예수님께서 그리하셨던 것처럼 자신을 아끼지 말고 또 다른 사람에게 전하여 계속적인 제자의 생산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마음에 사랑을 가지고 온전히 자신을 바칠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우리 자신이 밖으로 나아갈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준비된 제자들이 나아가 또 다른 제자들을 양육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김길성, 교회론 총신대학교신학대학원, 1996
박형룡, 박형룡저작전집; 교회론 6권 서울: 한국기독교 교육연구원, 1983
방선기, 제자훈련과 성령운동 목회와 신학 1990. 5, 서울: 두란노서원
------ 제자도와 제자훈련 목회와 신학 1990. 5, 서울: 두란노서원
오병세, 교회 교육 신학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1989
정장복, 예배학 개론 서울:종로서적출판주식회사, 1985
정훈택, 시발점에서 조명해 본 교회론 목회와 신학 1991. 10, 서울: 두란노서원
E. A. Martens,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획과 목적 김지찬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0
E. G. Jay, 교회론의 역사 주재용 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1
D. G. Miller, 교회의 본질과 사명 박상준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1
Hans Kung, 교회란 무엇인가 이홍근 역 왜관: 분도출판사, 1987
Jim Grham, 교회의 본질 목회와 신학 1990. 11, 서울: 두란노서원
김진현, 평신도교육을 통한 교회성장 연구; 은혜의 교회를 중심으로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03
성서백과 편찬위원D회 (편), 성서대백과사전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주제별 설교대사전 편찬위원회, 주제별 성서활용대사전 서울: 보문출판사, 198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