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①공리주의의 개관
②나의 경험과 공리주의
③교과서 내에서의 공리주의적 관점의 지도
②나의 경험과 공리주의
③교과서 내에서의 공리주의적 관점의 지도
본문내용
테니, 그런 줄 아세요. (큰 톱을 들고 나가려 한다.)
마을 사람 3 : 나무를 베기만 해 봐. 가만두지 않을 테니!
마을 사람 4 : (싸움을 말리며) 싸워서 해결될 일이 아닙니다. 대책을 마련해야지요.
마을 사람 모두 : 대책은 무슨 대책이야 ! (마을 사람 모두가 팔을 내저으며 아우성을 친다.)
마을 사람 4 : 모두들 진정하세요! 동수네와 경미네가 손해를 보지 않고 마을 사람들에게 좋은 방법을 생각해 봐야지요.
마을 사람 모두 : 그런 방법이 있을까?
본 차시에서 다루어야 할 것은 전체의 이익과 개인의 이익이 충돌할 때 빚어지는 여러 가지 관점과 방법에 대한 측면이다. 학습목표를 정확히 확인한 다음에 대역을 정해서 하나의 연극을 대행해 보도록 한다.
동기부여의 측면에서 직접 친구들이 배역을 맡아서 교과서 내용을 진행하는 것이 집중과 수업의 진행에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역할극이 끝난 후 조별로 토의할 시간을 주고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할 시간을 준다. 다만 주의할 것은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서 분명하게 입장을 밝히라고 요구해야한다.
지금 이 단원에서는 나와 우리의 권리나 이익이 충돌했을 경우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원하고 있다. 나의 권리를 추구하는 주장이나 우리의 권리는 추구하는 주장에 대한 근거가 명확했을 경우 의견을 묵살하지 말고 존중해주어야 한다.
다만 우리의 권리를 추구해서 미루나무를 베어버린다는 주장이 있을 경우 공리주의를 예로 들어서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의 논리를 보충 설명으로 제시해 주면 좋을 것 같다.
많은 사람들이 행복을 누리는 미루나무를 베어버릴 경우 쾌락이 줄어들기 때문에 공리주의의 관점으로 미루나무를 베어버리면 안 된다는 주장을 개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쾌락은 훨씬 많은 사람들이 누리는 마을 전체의 쾌락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소수인 동수네와 경미네가 양보해야 한다는 설명이 붙으면 좋다.
하지만 재산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권한 역시 동수네와 경미네에 있으므로, 동수네와 경미네에는 그늘에서도 자랄 수 있는 ‘인삼’같은 타 작물의 재배를 권유하거나, 재산에 손해를 끼친 만큼의 배상을 마을 단위에서 보상해 주는 등의 다른 합의점을 찾도록 노력하게 한다.
수업 중에 주의할 것은 단순히 베어버린다, 혹은 베지 못하게 한다, 같이 한쪽의 권리를 일방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선택지는 고르지 못하게 하고 혹 발표 한 경우에는 좀 더 생각해서 수정안을 내놓게 지도한다.
마을 사람 3 : 나무를 베기만 해 봐. 가만두지 않을 테니!
마을 사람 4 : (싸움을 말리며) 싸워서 해결될 일이 아닙니다. 대책을 마련해야지요.
마을 사람 모두 : 대책은 무슨 대책이야 ! (마을 사람 모두가 팔을 내저으며 아우성을 친다.)
마을 사람 4 : 모두들 진정하세요! 동수네와 경미네가 손해를 보지 않고 마을 사람들에게 좋은 방법을 생각해 봐야지요.
마을 사람 모두 : 그런 방법이 있을까?
본 차시에서 다루어야 할 것은 전체의 이익과 개인의 이익이 충돌할 때 빚어지는 여러 가지 관점과 방법에 대한 측면이다. 학습목표를 정확히 확인한 다음에 대역을 정해서 하나의 연극을 대행해 보도록 한다.
동기부여의 측면에서 직접 친구들이 배역을 맡아서 교과서 내용을 진행하는 것이 집중과 수업의 진행에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역할극이 끝난 후 조별로 토의할 시간을 주고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할 시간을 준다. 다만 주의할 것은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서 분명하게 입장을 밝히라고 요구해야한다.
지금 이 단원에서는 나와 우리의 권리나 이익이 충돌했을 경우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원하고 있다. 나의 권리를 추구하는 주장이나 우리의 권리는 추구하는 주장에 대한 근거가 명확했을 경우 의견을 묵살하지 말고 존중해주어야 한다.
다만 우리의 권리를 추구해서 미루나무를 베어버린다는 주장이 있을 경우 공리주의를 예로 들어서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의 논리를 보충 설명으로 제시해 주면 좋을 것 같다.
많은 사람들이 행복을 누리는 미루나무를 베어버릴 경우 쾌락이 줄어들기 때문에 공리주의의 관점으로 미루나무를 베어버리면 안 된다는 주장을 개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쾌락은 훨씬 많은 사람들이 누리는 마을 전체의 쾌락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소수인 동수네와 경미네가 양보해야 한다는 설명이 붙으면 좋다.
하지만 재산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권한 역시 동수네와 경미네에 있으므로, 동수네와 경미네에는 그늘에서도 자랄 수 있는 ‘인삼’같은 타 작물의 재배를 권유하거나, 재산에 손해를 끼친 만큼의 배상을 마을 단위에서 보상해 주는 등의 다른 합의점을 찾도록 노력하게 한다.
수업 중에 주의할 것은 단순히 베어버린다, 혹은 베지 못하게 한다, 같이 한쪽의 권리를 일방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선택지는 고르지 못하게 하고 혹 발표 한 경우에는 좀 더 생각해서 수정안을 내놓게 지도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