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상에 관한 개괄
2. 나의 경험적 사례
3. 교과서 지도방안
2. 나의 경험적 사례
3. 교과서 지도방안
본문내용
도 한결 가벼워졌습니다. 그런데 걷다 보니 빈 음료수 깡통을 버릴 곳이 없었습니다. 쓰레기통도 눈에 띄지 않았습니다. 은경이는 길 한쪽에 있는 꽃밭을 보았습니다. 그러더니 빈 깡통을 꽃밭 쪽으로 던졌습니다. 민주도 잠시 망설이다가, 보는 사람이 없는 것 같아 슬며시 꽃밭 쪽으로 빈 깡통을 던져 버렸습니다.
→ 우선 이 글을 읽어보고 아동들에게 솔직히 이러한 경험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자신의 경험담을 들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행동에 대해 아동들에게 어떻게 생각하는지 그리고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물어봄으로써 다양한 의견이 나올 수 있도록 발문한다. 따라서 처음부터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니 라는 공리주의적인 입장을 심어주기는 보다 우선 아이들의 의견을 다 들어 봄으로써 대체적인 입장에 따라 아동들에게 권장 또는 실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삽화와 관련된 질문 ‘즐겁고 깨끗한 거기를 만들기 위하여 우리가 지켜야 할 일은 무엇인지 이야기 해 봅시다’ 와 같은 토의형적인 발문을 던짐으로써 아동들이 자연스럽게 해결책을 유도해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러한 개개인의 소중한 행동하나 하나가 우리 모두를 행복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함으로써 자신의 의미가 없다고 생각될 수 있는 행동이 모든 이들에게는 더 큰 의미로 다가 올 수 있다는 것을 깨우치는 방법을 쓸 수 있다. 교과서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실제 수업 외 상황 즉 학교생활이나 교외활동에서도 자연스럽게 유도 될 수 있게 생활 지도를 병행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 우선 이 글을 읽어보고 아동들에게 솔직히 이러한 경험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자신의 경험담을 들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행동에 대해 아동들에게 어떻게 생각하는지 그리고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물어봄으로써 다양한 의견이 나올 수 있도록 발문한다. 따라서 처음부터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니 라는 공리주의적인 입장을 심어주기는 보다 우선 아이들의 의견을 다 들어 봄으로써 대체적인 입장에 따라 아동들에게 권장 또는 실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삽화와 관련된 질문 ‘즐겁고 깨끗한 거기를 만들기 위하여 우리가 지켜야 할 일은 무엇인지 이야기 해 봅시다’ 와 같은 토의형적인 발문을 던짐으로써 아동들이 자연스럽게 해결책을 유도해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러한 개개인의 소중한 행동하나 하나가 우리 모두를 행복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함으로써 자신의 의미가 없다고 생각될 수 있는 행동이 모든 이들에게는 더 큰 의미로 다가 올 수 있다는 것을 깨우치는 방법을 쓸 수 있다. 교과서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실제 수업 외 상황 즉 학교생활이나 교외활동에서도 자연스럽게 유도 될 수 있게 생활 지도를 병행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