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 교육론] 경험사례를 바탕으로 한 공리주의 연구 (이론 분석 칸트 비교 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덕 교육론] 경험사례를 바탕으로 한 공리주의 연구 (이론 분석 칸트 비교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공리주의
1-1 공리주의 이론 분석
1-2 공리주의와 칸트 비교

2.사례제시와 분석
2-1 사례제시
2-2 사례분석

3.초등학교 교수학습 지도 방안

본문내용

리지도 않았습니다. 그러니 미루나무를 그대로 둘 수가 있겠습니까?
동수 아버지: 고추 농사만 망친게 아닙니다. 우리 논 좀 보세요. (칠판에 붙인 그림을 가리키며) 미루나무 그늘 때문에 이렇게 벼 이삭이 영글지도 못하니, 미루나무를 자를 수 밖에 없습니다.
마을사람2: 그렇지만 마을 사람들이 일을 하다가 잠시 쉬기도 하고, 아이들이 모여 놀기도 하는 곳인데, 꼭 나무를 베어야 합니까?
경미 아버지: 그럼 우리더러 헛농사를 지으란 말입니까? 어쨌든 미루나무를 베어 버릴 테니, 그런 줄 아세요.(큰 톱을 들고 나가려 한다.)
마을사람3: 나무를 베기만 해봐, 가만두지 않을 테니!
마을사람4:(싸움을 말리며) 싸워서 해결될 일이 아닙니다. 대책을 마련해야지요.
마을 사람 모두:대책은 무슨 대책이야!(마을 사람 모두가 팔을 내저으며 아우성을 친다.)
마을사람4:모두들 진정하세요! 동수네와 경미네가 손해를 보지 않고 마을 사람들에게도 좋은 방접을 생각해 봐야지요.
마을 사람 모두:그런 방법이 있을까?
동수와 경미네가 마을 사람들과 이익이 충돌하는 갈등상황을 겪고 있다. 토론학습으로 진행하되 선생님의 발문에 따라 자유롭게 아이들이 발화할 수 있어야 한다. 교사는 특정한 방법이나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토의하여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역할만 해야 한다. 동수와 경미네가 처한 상황은 무엇인지 학생들이 인지하도록 발문한 후 각각의 입장이 되어서 발표해 보도록 한다(‘동수와 경미네의 손실은 무엇이지?’, ‘마을 사람들보다 동수와 경미네가 손실을 입지 않는게 더 할까?’). 이번에는 마을사람들의 입장이 되어서 미루나무가 없어지면 어떤 불편을 받을지 자유롭게 발표하도록 한다(‘마을사람들은 미루나무가 없어지면 어떤 불편을 받을까’, ‘마을사람들의 이익만이 중요할까?’) 학생들이 자유롭게 발표하고 스스로 정리한 내용을 통하여 문제 상황의 해결책을 찾도록 한다(‘해결책은 어떻게 정해야 할까’ ‘무조건 다수결만 따르지 않고 소수의 이익도 존중해 줄 수 있는 해결책은 무엇일까?’). 또한 이 사례를 폭넓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교실 주변의 상황을 찾아본다.
공리주의는 아이들에게 나말고 다른사람의 관점에서 생각해보고 우리 사회가 공동의 이익을 추구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다른사람도 나와 같이 비도덕적인 행동을 한다면 우리가 같이 사는 곳이 무질서해지고 더러워질 수 있다는 의식을 심어준다. 따라서 내 이익만이 아닌 다른 사람의 이익을 평등하게 존중하고 그것을 소수의 의견을 존중하는 다수결의 원칙에 따라 실현시킬 수 있는 경험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쌓을 수 있게 해 준다. 인간의 내면에 초점을 맞춰 무조건적인 정언 명령을 지켜야 한다는 논리보다는 초등학생들에게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것이 공리주의가 아닌가 싶다. 초등학생들이 비교적 친숙하고 이해하기 쉬운 근거를 바탕으로 왜 남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을 하지 말고, 더 나아가서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이익을 존중해 줘야하는지 학습시키기에 가장 적절한 이론이 공리주의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3.11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84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