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선정이유
Ⅱ. 레스트(J.Rest)의 이론
Ⅲ. 사례적용해서 이해하기
Ⅳ. 초등교육에 접목시키기
Ⅱ. 레스트(J.Rest)의 이론
Ⅲ. 사례적용해서 이해하기
Ⅳ. 초등교육에 접목시키기
본문내용
사회과에 적용했었던 댄 포스 프로젝트를 통해 효과가 입증된 바 있음) 따라서, 판단 능력의 향상은 도덕적 동기화에 영향을 주어 아동이 도덕적 가치를 우선시 하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도덕적 행동을 할 수 있게 한다.
딜레마 토론은 아동들로 공동체에서 발생하는 실제적인 도덕적 갈등과 딜레마들을 다루도록 허용해 주고, 집단 책임감을 조장함으로써 민주적 참여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게 한다.
딜레마 토론을 이용한 수업에서 교사는 아동들의 실생활과 관련된, 아동의 수준을 고려하여 텍스트를 선별해야한다. 또한 딜레마 토론을 진행하는데 있어 학생들이 도덕적 딜레마를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문제가 안고 있는 도덕적 요소에 직면하도록 학생들을 유도하고 도와주어야 한다. 학생들이 입장을 선택하면, 의견을 듣고 그 배우에 있는 이유를 이끌어 내고, 이유를 다르게 제시한 사람들이 서로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격려해야한다.
3. 행동으로 옮기기
1) 선한 행동 강화 및 스스로 의미 찾기.
행동주의와 관련지어 교육한다면, 아동들이 도덕적 판단을 행동으로 옮기는데 있어 강력한 동기부여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도덕적 행동을 한 아이에게, 칭찬을 하거나 스티커를 통한 착한행동과 악한 행동에 대한 강화를 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필히 수반되어야 할 것은 행동에 대한, 아동 스스로의 “의미 파악”이다. 교사는 아동과의 대화를 통해, 이를 끌어내야하고 아동 스스로 생각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예:
아동이 선한 행동을 했을 때, 해당 아동 주머니에 바둑돌을 교사가 넣어준다고 하자. 교사는 주머니에 바둑돌을 넣고 그 이유를 아동에게 말해주지 않는다. 아동은 교사가 왜 바둑돌을 넣었는지 생각하게 되고, 이를 통해 자신의 하루 동안의 행동을 되짚어 보게된다. 아동은 자신이 생각한 선한 행동을 교사에게 이야기하고, 대화를 통해 교사는 아동이 생각한 이유와 그 선한 행동의 가치를 끌어내야한다. 이를 통해 아동은 선한행동에 대한 강화를 받으면서, 그 행동에 대한 해석도 스스로 해낼 수 있다.
2) 행동으로 옮기는 습관 만들기.
구성 요소 중 4번째 에 해당하는 도덕적 실행력은, 특히나 개인의 자아의 힘과 인격을 요구한다. 쉽게 말해, 도덕적 판단을 지켜내기 위해 유혹에 굴복하지 않는 힘을 필요로 한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개인이 정한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과정과 유사하다. 교사는 아동에게 가치가 있는 목표를 정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습관화하여 실행에 옮기는 자아의 힘을 키울 수 있다.
예:
교사는 아동들에게 가치 있다고 생각하면서,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일을 한 가지 씩 정하게 한다. (예- 학교 앞에서 무단횡단 하지 않기) 교사는 아동에게 매일 자신의 행동과, 목표를 지켰을 때에 감정을 적도록 지도한다. 교사는 주기적으로 이를 검사한다. 검사 기간은 점차 늘려간다. (1일-3일-5일-7일). 아동이 해당 목표를 3일째, 5일째, 일주일 동안 지켰을 때에 대한 보상을 아동과 대화를 통해 정하고, 이에 대한 보상과 친구들 앞에서의 칭찬으로 아동을 격려한다.
딜레마 토론은 아동들로 공동체에서 발생하는 실제적인 도덕적 갈등과 딜레마들을 다루도록 허용해 주고, 집단 책임감을 조장함으로써 민주적 참여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게 한다.
딜레마 토론을 이용한 수업에서 교사는 아동들의 실생활과 관련된, 아동의 수준을 고려하여 텍스트를 선별해야한다. 또한 딜레마 토론을 진행하는데 있어 학생들이 도덕적 딜레마를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문제가 안고 있는 도덕적 요소에 직면하도록 학생들을 유도하고 도와주어야 한다. 학생들이 입장을 선택하면, 의견을 듣고 그 배우에 있는 이유를 이끌어 내고, 이유를 다르게 제시한 사람들이 서로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격려해야한다.
3. 행동으로 옮기기
1) 선한 행동 강화 및 스스로 의미 찾기.
행동주의와 관련지어 교육한다면, 아동들이 도덕적 판단을 행동으로 옮기는데 있어 강력한 동기부여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도덕적 행동을 한 아이에게, 칭찬을 하거나 스티커를 통한 착한행동과 악한 행동에 대한 강화를 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필히 수반되어야 할 것은 행동에 대한, 아동 스스로의 “의미 파악”이다. 교사는 아동과의 대화를 통해, 이를 끌어내야하고 아동 스스로 생각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예:
아동이 선한 행동을 했을 때, 해당 아동 주머니에 바둑돌을 교사가 넣어준다고 하자. 교사는 주머니에 바둑돌을 넣고 그 이유를 아동에게 말해주지 않는다. 아동은 교사가 왜 바둑돌을 넣었는지 생각하게 되고, 이를 통해 자신의 하루 동안의 행동을 되짚어 보게된다. 아동은 자신이 생각한 선한 행동을 교사에게 이야기하고, 대화를 통해 교사는 아동이 생각한 이유와 그 선한 행동의 가치를 끌어내야한다. 이를 통해 아동은 선한행동에 대한 강화를 받으면서, 그 행동에 대한 해석도 스스로 해낼 수 있다.
2) 행동으로 옮기는 습관 만들기.
구성 요소 중 4번째 에 해당하는 도덕적 실행력은, 특히나 개인의 자아의 힘과 인격을 요구한다. 쉽게 말해, 도덕적 판단을 지켜내기 위해 유혹에 굴복하지 않는 힘을 필요로 한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개인이 정한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과정과 유사하다. 교사는 아동에게 가치가 있는 목표를 정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습관화하여 실행에 옮기는 자아의 힘을 키울 수 있다.
예:
교사는 아동들에게 가치 있다고 생각하면서,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일을 한 가지 씩 정하게 한다. (예- 학교 앞에서 무단횡단 하지 않기) 교사는 아동에게 매일 자신의 행동과, 목표를 지켰을 때에 감정을 적도록 지도한다. 교사는 주기적으로 이를 검사한다. 검사 기간은 점차 늘려간다. (1일-3일-5일-7일). 아동이 해당 목표를 3일째, 5일째, 일주일 동안 지켰을 때에 대한 보상을 아동과 대화를 통해 정하고, 이에 대한 보상과 친구들 앞에서의 칭찬으로 아동을 격려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