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레스트의 4구성요소 모델을 선택 이유
Ⅱ. 레스트의 4구성요소 모델의 개관
ⅰ 왜 나타나게 되었는가?
ⅱ 4 구성요소란?
ⅲ 레스트의 공헌 점
Ⅲ. 이론과 관련된 나의 경험 사례 분석과 실제 교육에서의 적용
Ⅳ. 이 이론이 교육에 적용된 사례
Ⅴ. 느낀 점
Ⅵ. 참고문헌
Ⅱ. 레스트의 4구성요소 모델의 개관
ⅰ 왜 나타나게 되었는가?
ⅱ 4 구성요소란?
ⅲ 레스트의 공헌 점
Ⅲ. 이론과 관련된 나의 경험 사례 분석과 실제 교육에서의 적용
Ⅳ. 이 이론이 교육에 적용된 사례
Ⅴ. 느낀 점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민하고 있는 상황을 미리 겪어 봄으로써 실제 상황에서 내려야할 도덕적 동기화를 미리 구상할 수 있게 된다.
ⅱ 6학년 도덕 교과서
6단원 용기, 내 안의 위대한 힘 -3 용기로 이루는 가치 있는 삶 120p~122p
활동1) 도덕적인 행동을 하는 것과 용기가 어떻게 관련되는지 생각해 봅시다.
스포츠 경기에서 자신의 행동을 통해 결정적인 실책이 발생했을 경우에 솔직히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경우와 인정하지 않는 경우가 제시됨.
활동2) 일상생활 속에서 용기가 필요한 상황을 생각해 봅시다. 그리고 그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용기 있는 행동이 도덕적인 생활 태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이야기 해 봅시다.
‘일상생활에서 용기가 필요한 순간들’이라는 제목으로 ‘괴롭힘 당하는 친구를 구해 줄 때’,‘동생에게 미안해라고 말할 때’,‘그릇된 일과 타협하지 않을 때’ 가 제시되어 있다.
교과서의 사례를 레스트의 4구성요소에 적용
이 사례는 레스트의 4구성요소 중에서 도덕적 행위를 할 때의 실행력과 관련된 부분이다. 1,2,3요소가 모두 갖추어져 있더라 하더라도 4번째의 요소인 이 것이 결여 될 경우 도덕적 행위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필요한 것이 ‘용기’인데 이 것을 이 단원에서 다루며 중요성을 부각하고 있다. 학생들은 이미 실제 상황에서 용기가 부족하여 어떤 행동들을 못해 좌절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상황이 용기가 부족해서라고 인식을 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런데 이 사례를 통해 그 때 내가 용기가 부족했었구나. 와 같이 그 상황에서 부족했던 점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게 된다. 이를 통해 다음에 유사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용기를 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용기를 못 내더라도 부족한 것이 용기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더 나아지기 위해 노력을 할 수 있을 것이다.
Ⅴ. 느낀점
레스트의 이론을 실생활에 적용을 하다보니 실제로 도덕적 행위를 할 때 그런 단계를 거쳐서 하게 된 것들이 많다는 것을 발견 하게 되었다. 또 상당히 많은 상황에서 1,2의 요소는 갖추었지만 동기화가 이루어 지지 않거나 실행력이 부족하여 도덕적 행위를 안하는 것도 발견 되었다. ‘내가 더 피곤하다’와 같은 이유로 자기합리화를 하여 동기화가 이루어 지지않은 것을 많이 찾았기 때문이다. 나는 스스로 굉장히 도덕적인 사람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번 기회를 통해서 내가 도덕적 행위를 하지 않았을 때 어떤 것이 부족한 것인지를알게 되어 전과 유사한 상황이 발생 했을 때 더 보강해야할 점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사례를 이 이론에 적용을 하다보니 학생들에게 도덕성에 대해서 강요 할 것이 아니라 실생활과 관련된 활동을 하면서 가르치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그 수업자체를 혼자 사례를 만들어서 하는 것 보다는 학생 스스로의 경험을 토대로 하는 것이 좋겠단 생각이 들었다. 내가 내 경험을 분석하며 스스로에 대해 반성하게 된 것처럼 말이다.
또한 도덕성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된 계기가 되었다.
Ⅵ. 참고문헌
춘천교대 도덕과 교육Ⅰ 손경원 교수님 강의노트
다음카페 windymoraledu(http://cafe.daum.net/windymoraledu)의 2011 춘천교대 도덕과 교육1 게시판 4번 글의 첨부파일 (레스트_배려윤리_공감)
서미옥(2005). “4구성요소 모델을 중심으로 살펴본 도덕발달 연구의 지향점”,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등교육연구소, 논문
4학년 1학기 도덕 교과서, 4단원 함께 사는 세상 -2 모두를 위한 선택, 80p~85p
6학년 도덕 교과서, 6단원 용기, 내 안의 위대한 힘 -3 용기로 이루는 가치 있는 삶 120p~122p
ⅱ 6학년 도덕 교과서
6단원 용기, 내 안의 위대한 힘 -3 용기로 이루는 가치 있는 삶 120p~122p
활동1) 도덕적인 행동을 하는 것과 용기가 어떻게 관련되는지 생각해 봅시다.
스포츠 경기에서 자신의 행동을 통해 결정적인 실책이 발생했을 경우에 솔직히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경우와 인정하지 않는 경우가 제시됨.
활동2) 일상생활 속에서 용기가 필요한 상황을 생각해 봅시다. 그리고 그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용기 있는 행동이 도덕적인 생활 태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이야기 해 봅시다.
‘일상생활에서 용기가 필요한 순간들’이라는 제목으로 ‘괴롭힘 당하는 친구를 구해 줄 때’,‘동생에게 미안해라고 말할 때’,‘그릇된 일과 타협하지 않을 때’ 가 제시되어 있다.
교과서의 사례를 레스트의 4구성요소에 적용
이 사례는 레스트의 4구성요소 중에서 도덕적 행위를 할 때의 실행력과 관련된 부분이다. 1,2,3요소가 모두 갖추어져 있더라 하더라도 4번째의 요소인 이 것이 결여 될 경우 도덕적 행위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필요한 것이 ‘용기’인데 이 것을 이 단원에서 다루며 중요성을 부각하고 있다. 학생들은 이미 실제 상황에서 용기가 부족하여 어떤 행동들을 못해 좌절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상황이 용기가 부족해서라고 인식을 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런데 이 사례를 통해 그 때 내가 용기가 부족했었구나. 와 같이 그 상황에서 부족했던 점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게 된다. 이를 통해 다음에 유사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용기를 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용기를 못 내더라도 부족한 것이 용기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더 나아지기 위해 노력을 할 수 있을 것이다.
Ⅴ. 느낀점
레스트의 이론을 실생활에 적용을 하다보니 실제로 도덕적 행위를 할 때 그런 단계를 거쳐서 하게 된 것들이 많다는 것을 발견 하게 되었다. 또 상당히 많은 상황에서 1,2의 요소는 갖추었지만 동기화가 이루어 지지 않거나 실행력이 부족하여 도덕적 행위를 안하는 것도 발견 되었다. ‘내가 더 피곤하다’와 같은 이유로 자기합리화를 하여 동기화가 이루어 지지않은 것을 많이 찾았기 때문이다. 나는 스스로 굉장히 도덕적인 사람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번 기회를 통해서 내가 도덕적 행위를 하지 않았을 때 어떤 것이 부족한 것인지를알게 되어 전과 유사한 상황이 발생 했을 때 더 보강해야할 점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사례를 이 이론에 적용을 하다보니 학생들에게 도덕성에 대해서 강요 할 것이 아니라 실생활과 관련된 활동을 하면서 가르치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그 수업자체를 혼자 사례를 만들어서 하는 것 보다는 학생 스스로의 경험을 토대로 하는 것이 좋겠단 생각이 들었다. 내가 내 경험을 분석하며 스스로에 대해 반성하게 된 것처럼 말이다.
또한 도덕성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된 계기가 되었다.
Ⅵ. 참고문헌
춘천교대 도덕과 교육Ⅰ 손경원 교수님 강의노트
다음카페 windymoraledu(http://cafe.daum.net/windymoraledu)의 2011 춘천교대 도덕과 교육1 게시판 4번 글의 첨부파일 (레스트_배려윤리_공감)
서미옥(2005). “4구성요소 모델을 중심으로 살펴본 도덕발달 연구의 지향점”,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등교육연구소, 논문
4학년 1학기 도덕 교과서, 4단원 함께 사는 세상 -2 모두를 위한 선택, 80p~85p
6학년 도덕 교과서, 6단원 용기, 내 안의 위대한 힘 -3 용기로 이루는 가치 있는 삶 120p~122p
추천자료
[RFID] RFID의 기본특성과 시장전망 - RFID, 정보시스템의 구성요소, 분류와 특성, 표준화, ...
사회학습이론의 설명과 교육적 시사점(사회학습이론,교육적용,한계점,시사점 분석)
[내러티브][내러티브 개념][내러티브 구성요소][내러티브 도덕적 발달]내러티브의 개념, 내러...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모델 - 임파워먼트 모델의 기본원칙과 목표 및 주요개념, 임파...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14장 도덕적 행동과 관련된 4구성요소
위기개입모델 (위기개입 주요개념, 사례적용 개입과정) - 위기의 정의와 구성요소, 위기의 구...
사회복지서비스의 질,TQM의 구성요소,고객지향,지속적 개선,리더십,교육훈련,TQM을 적용한 사...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집단 사회복지실천모델, 개념, 목적 및 구성요소, 효과 개입기술 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