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공정으로서의 정의
2.정의의 원칙
3.평등한 자유의 원칙
4.차등의 원칙
5.자연적 의무의 원칙
6.공정성의 원칙
7.부정의한 법을 준수할 의무
8.질서정연한 사회
9.권위에 의한 도덕
10.공동체에 의한 도덕
11.원리에 의한 도덕
12.평등의 근거
2.정의의 원칙
3.평등한 자유의 원칙
4.차등의 원칙
5.자연적 의무의 원칙
6.공정성의 원칙
7.부정의한 법을 준수할 의무
8.질서정연한 사회
9.권위에 의한 도덕
10.공동체에 의한 도덕
11.원리에 의한 도덕
12.평등의 근거
본문내용
위치, 사회 성원으로서의 지위에까지 확대된다. 그러한 이상의 내용은 여러 가지 관점들로부터 주어지며 공동체의 도덕은 각각의 지위나 역할에 적합한 방식으로 규정되는 다수의 이상을 포함하게 된다.
원리에 의한 도덕
원리에 의한 도덕이 받아들여지면, 도덕적 태도는 더 이상 단순히 특정한 개인이나 집단의 안녕이나 인정에 연결되지 않고 그러한 우연성과는 무관하게 선택된 정당성에 대한 입장에 의해 형성된다.
원리에 의한 도덕은 두 가지 형식을 취하는데 하나는 정당성과 정의감에 상응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인류애와 자제심이 해당되는 것이다. 정당성 및 정의의 정상적인 형태에 있어서 원리에 의한 도덕은 권위 및 공동체에 의한 도덕이 갖는 덕목들을 내포한다. 그것은 모든 이상들이 최종적으로 이해되고 적절한 원칙들에 의해 하나의 일관된 체계로 조직된다. 도덕의 다른 덕목들은 보다 광범위한 체계 속에서 나름의 의의와 정당화를 취하며, 그들 각각의 요구는 보다 포괄적인 입장이 부여하는 우선성에 의해 조정된다.
인류애란 우리의 자연적인 의무와 책무를 훨씬 넘어서서 공동선을 증진하는 데서 나타난다. 이러한 도덕은 이타심과 타인의 감정 및 욕구에 대한 고도의 감수성, 적절한 겸양, 그리고 자아에 대한 무관심이 필요하여 평범한 도덕이 아니다. 또한 자제의 도덕은 그 가장 단순한 형식으로서 정당성과 정의의 요구들을 자유자재로, 그리고 훌륭하게 수행하는 데서 나타난다. 그것이 진정으로 의무 이상의 것이 되는 것은 개인이 상당한 교육과 훈련을 요구하는 행위를 통해 그것에 특징적인 용기, 대담성, 그리고 자제력을 나타낼 경우이다.
평등의 근거
평등한 정의의 보장을 받을 만한 사람은 바로 도덕적인 인격이다. 도덕적 인격은 두 가지 특성으로 인해 구분되는데, 첫째로 자신의 선에 대한 입장을 취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로 정의의 원칙들을 적용하고 그에 따라 행위하고자 하는 정상적인 효력이 있는 욕구를 가질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원초적 입장에 있는 개인들에 대한 규정을 이용해서 선택된 원칙들이 적용될 존재의 종류를 선정하게 된다. 결국 그 당사자들은 그들의 공통된 제도들과 그들 상호 간의 행위를 규제해줄 그러한 합리적인 기준을 채택한다. 그리고 그들의 본성에 대한 규정은 그러한 원칙들이 선택되는 추론에 개입하게 된다. 그래서 평등한 정의는 최초의 상황의 공공적 합의에 참여하고 그에 따라 행위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사람들에게 주어지게 된다.
원리에 의한 도덕
원리에 의한 도덕이 받아들여지면, 도덕적 태도는 더 이상 단순히 특정한 개인이나 집단의 안녕이나 인정에 연결되지 않고 그러한 우연성과는 무관하게 선택된 정당성에 대한 입장에 의해 형성된다.
원리에 의한 도덕은 두 가지 형식을 취하는데 하나는 정당성과 정의감에 상응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인류애와 자제심이 해당되는 것이다. 정당성 및 정의의 정상적인 형태에 있어서 원리에 의한 도덕은 권위 및 공동체에 의한 도덕이 갖는 덕목들을 내포한다. 그것은 모든 이상들이 최종적으로 이해되고 적절한 원칙들에 의해 하나의 일관된 체계로 조직된다. 도덕의 다른 덕목들은 보다 광범위한 체계 속에서 나름의 의의와 정당화를 취하며, 그들 각각의 요구는 보다 포괄적인 입장이 부여하는 우선성에 의해 조정된다.
인류애란 우리의 자연적인 의무와 책무를 훨씬 넘어서서 공동선을 증진하는 데서 나타난다. 이러한 도덕은 이타심과 타인의 감정 및 욕구에 대한 고도의 감수성, 적절한 겸양, 그리고 자아에 대한 무관심이 필요하여 평범한 도덕이 아니다. 또한 자제의 도덕은 그 가장 단순한 형식으로서 정당성과 정의의 요구들을 자유자재로, 그리고 훌륭하게 수행하는 데서 나타난다. 그것이 진정으로 의무 이상의 것이 되는 것은 개인이 상당한 교육과 훈련을 요구하는 행위를 통해 그것에 특징적인 용기, 대담성, 그리고 자제력을 나타낼 경우이다.
평등의 근거
평등한 정의의 보장을 받을 만한 사람은 바로 도덕적인 인격이다. 도덕적 인격은 두 가지 특성으로 인해 구분되는데, 첫째로 자신의 선에 대한 입장을 취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로 정의의 원칙들을 적용하고 그에 따라 행위하고자 하는 정상적인 효력이 있는 욕구를 가질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원초적 입장에 있는 개인들에 대한 규정을 이용해서 선택된 원칙들이 적용될 존재의 종류를 선정하게 된다. 결국 그 당사자들은 그들의 공통된 제도들과 그들 상호 간의 행위를 규제해줄 그러한 합리적인 기준을 채택한다. 그리고 그들의 본성에 대한 규정은 그러한 원칙들이 선택되는 추론에 개입하게 된다. 그래서 평등한 정의는 최초의 상황의 공공적 합의에 참여하고 그에 따라 행위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사람들에게 주어지게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