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25~
#3
활동 부족과 섭취량 부족으로 인한 변비
11. 04. 25~
11.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1.
1> 관련자료
구강 섭취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일반 식사를 드시지 못함
Na 130.7 ↓
BUN 37.3 ↑
CRP 43.2 ↑
ALB 3.1 ↓
APPT 46.3 ↑
항목
참고치
4.25
27
CRP
0~0.3
2.24
LDH
218~472
527
ALT
4~43
16
17
AST
7~38
31
38
Alb
3.1~5.2
3.1
3.3
K
3.5~5
4.3
4.5
Na
135~145
134.6
130.7
Cr
0.5~1.3
1.7
1.9
BUN
5~23
26.2
37.3
하루 평균 섭취량 1300cc
날짜
4.25
26
27
28
경구 섭취량
250
300
400
400
정맥 섭취량
1000
1000
1000
1000
총 섭취량
1250
1300
1400
1400
배설 - 자연배뇨
1200
1400
1200
1600
총 소변량
1200
1400
1200
1600
총 배설량
1200
1400
1200
1600
2> 간호 목표
단기 목표 : 3일 이내에 식욕부진을 회복시켜 구강 섭취양을 늘려본다.
장기 목표 : 2달 안에 혈액검사의 전해질 균형을 유도한다.
3> 간호계획 및 수행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① 매일 I/O check를 한다.
② 매 시간마다 활력징후를 모니터한다.
③ 식욕부진 회복을 위하여 평소 좋아하던 음식을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④ 수액에 의존하지 말고 구강으로 물을 자주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⑤ 구강간호를 자주 시행하여 청결함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⑥ 신과일, 양념 강한 음식, 너무 차거나 뜨거운 음식, 거친 음식물 등을 피하도록 교육한다.
⑦ 혈액검사를 매 주 시행하여 영양불균형의 정도를 파악한다.
⑧ 각 영양소들마다 필요식품군들을 교육하고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⑨ 식욕이 돋구어 지도록 보기에도 좋은 음식을 제공할 것을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⑩ 환자의 식이 상태를 매 식사 때마다 체크한다.
구강 섭취의 부족은 영양 불균형(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한다.
#2.
1> 관련자료
과거에 COPD, 폐결핵을 앓은 경험이 있었음.
밤마다 기침 가래 때문에 고통을 호소하심
5~10분 간격으로 기침을 자주 하심
가래는 평균 5~10cc 정도로 연한 누런색을 띄며 약간 끈적끈적한 정도
2> 간호 목표
단기 목표 : 3일 이내에 기침으로 인한 고통이 완화된다.
장기 목표 : 한달 이내에 기침과 객담의 감소로 숙면을 취할 수 있다고 진술한다.
3> 간호계획 및 수행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① 매일 I/O check를 한다.
② 6 시간마다 활력징후를 모니터한다.
③ 구강으로 수분섭취를 자주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④ 보호자에게 창문을 규칙적으로 열어 환기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⑤ 대상자가 깨끗한 시트, 환의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⑥ 객담의 양상을 환자가 보고할 수 있도록 교육하며, 필요시 직접 관찰한다.
⑦ 환자의 숙면 여부를 매일 체크한다.
⑧ 호흡에 도움이 되는 자세를 취해준다.
객담과 기침의 잦은 증상은
호흡곤란과 수면 중 동통을 야기시킨다.
#3.
1> 관련자료
배설은 자연배뇨로 밖에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항시 앉아만 계시고 돌아다니질 않으심
duphalac syrup 변완화제 투여중이심
현저한 배변 빈도의 감소
날짜
4.25
26
27
28
경구 섭취량
250
300
400
400
정맥 섭취량
1000
1000
1000
1000
총 섭취량
1250
1300
1400
1400
배설 - 자연배뇨
1200
1400
1200
1600
총 소변량
1200
1400
1200
1600
총 배설량
1200
1400
1200
1600
2> 간호 목표
단기 목표 : 3일 이내에 활동을 자발적으로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장기 목표 : 한달 이내에 하루에 한 회 이상의 변의가 느껴진다고 진술한다.
3> 간호계획 및 수행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① 매일 I/O check를 한다.
② 6 시간마다 활력징후를 모니터한다.
③ 고섬유식이 섭취를 격려한다.
④ 규칙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⑤ 변비 유발 식품을 피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⑥ 처방에 의하여 변 완하제를 투여 한다.
⑦ 활동 부족이 변비를 유발함을 교육한다.
⑧ 수분 섭취량을 하루 500cc 이상 늘린다.
⑨ 복부 마사지등 배변을 위한 요법을 시행한다.
⑩ 배변을 위한 환경을 조성해 준다.
변비를 완화시키기 위해선
활발한 활동이 제일 우선이 되어야 한다.
Ⅲ. 결론
본 사례 연구대상자인 주OO님은 4월 22일 몇 발자국 안걸어도 dyspnea 발생하고 식사하면 하루 1~2회 vomitting 과 nausea 발생하여 본원 응급센터로 도보하여 입원함.
과거에 결핵의 병력과 cholecystectomy, arthroscopy 등 history 다양하심
상이처로는 6.25 때 파편으로 인한 왼손 중지를 잃으심.
식욕부진과 힘이 없음을 호소하며 구강섭취에 불편함을 자주 느끼시고 자주 어지러움을 호소하심
2011년 4월 25일 변비증상을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처방에 의해 변완하제를 그 이후로 계속 투여하고 있음. v/s는 정상범위를 계속 유지중임
또한 기침과 객담으로 인한 잠자기가 곤란함을 호소하기 시작했으며
그 이후로 계속 객담 검사를 시행하고 있음.
vomitting 증세는 보이지 않고 있으며 nausea 증세도 많이 완화되었음.
2011년 4월 26일 구강통증을 호소하기 시작함. 구강 내 궤양이 보이기 시작하고 가글을 자주해도 호전이 없어서 ENT에 협진을 의뢰함
2011년 4월 27일 CT검사실을 가야 하는데 환자가 어지러움을 호소하여 급히 BST 체크하니 44가 체크되어 저혈당 증상(진전, 빈맥, 발한, 감각이상, 의식변화)이 있는지 확인함. 바로 glucose 40cc IV inj.하여 한시간뒤 검사실에 갈 수 있었음
환자상태가 호전되면 discharge 할 예정이며, 외래 치료 지속할 예정임.
※ 참고문헌
1. 전시자 외 공저(2010) 성인간호학 상, 하 (현문사)
2. 고성희 외 공저(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3. case EMR
#3
활동 부족과 섭취량 부족으로 인한 변비
11. 04. 25~
11.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1.
1> 관련자료
구강 섭취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일반 식사를 드시지 못함
Na 130.7 ↓
BUN 37.3 ↑
CRP 43.2 ↑
ALB 3.1 ↓
APPT 46.3 ↑
항목
참고치
4.25
27
CRP
0~0.3
2.24
LDH
218~472
527
ALT
4~43
16
17
AST
7~38
31
38
Alb
3.1~5.2
3.1
3.3
K
3.5~5
4.3
4.5
Na
135~145
134.6
130.7
Cr
0.5~1.3
1.7
1.9
BUN
5~23
26.2
37.3
하루 평균 섭취량 1300cc
날짜
4.25
26
27
28
경구 섭취량
250
300
400
400
정맥 섭취량
1000
1000
1000
1000
총 섭취량
1250
1300
1400
1400
배설 - 자연배뇨
1200
1400
1200
1600
총 소변량
1200
1400
1200
1600
총 배설량
1200
1400
1200
1600
2> 간호 목표
단기 목표 : 3일 이내에 식욕부진을 회복시켜 구강 섭취양을 늘려본다.
장기 목표 : 2달 안에 혈액검사의 전해질 균형을 유도한다.
3> 간호계획 및 수행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① 매일 I/O check를 한다.
② 매 시간마다 활력징후를 모니터한다.
③ 식욕부진 회복을 위하여 평소 좋아하던 음식을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④ 수액에 의존하지 말고 구강으로 물을 자주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⑤ 구강간호를 자주 시행하여 청결함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⑥ 신과일, 양념 강한 음식, 너무 차거나 뜨거운 음식, 거친 음식물 등을 피하도록 교육한다.
⑦ 혈액검사를 매 주 시행하여 영양불균형의 정도를 파악한다.
⑧ 각 영양소들마다 필요식품군들을 교육하고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⑨ 식욕이 돋구어 지도록 보기에도 좋은 음식을 제공할 것을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⑩ 환자의 식이 상태를 매 식사 때마다 체크한다.
구강 섭취의 부족은 영양 불균형(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한다.
#2.
1> 관련자료
과거에 COPD, 폐결핵을 앓은 경험이 있었음.
밤마다 기침 가래 때문에 고통을 호소하심
5~10분 간격으로 기침을 자주 하심
가래는 평균 5~10cc 정도로 연한 누런색을 띄며 약간 끈적끈적한 정도
2> 간호 목표
단기 목표 : 3일 이내에 기침으로 인한 고통이 완화된다.
장기 목표 : 한달 이내에 기침과 객담의 감소로 숙면을 취할 수 있다고 진술한다.
3> 간호계획 및 수행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① 매일 I/O check를 한다.
② 6 시간마다 활력징후를 모니터한다.
③ 구강으로 수분섭취를 자주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④ 보호자에게 창문을 규칙적으로 열어 환기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⑤ 대상자가 깨끗한 시트, 환의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⑥ 객담의 양상을 환자가 보고할 수 있도록 교육하며, 필요시 직접 관찰한다.
⑦ 환자의 숙면 여부를 매일 체크한다.
⑧ 호흡에 도움이 되는 자세를 취해준다.
객담과 기침의 잦은 증상은
호흡곤란과 수면 중 동통을 야기시킨다.
#3.
1> 관련자료
배설은 자연배뇨로 밖에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항시 앉아만 계시고 돌아다니질 않으심
duphalac syrup 변완화제 투여중이심
현저한 배변 빈도의 감소
날짜
4.25
26
27
28
경구 섭취량
250
300
400
400
정맥 섭취량
1000
1000
1000
1000
총 섭취량
1250
1300
1400
1400
배설 - 자연배뇨
1200
1400
1200
1600
총 소변량
1200
1400
1200
1600
총 배설량
1200
1400
1200
1600
2> 간호 목표
단기 목표 : 3일 이내에 활동을 자발적으로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장기 목표 : 한달 이내에 하루에 한 회 이상의 변의가 느껴진다고 진술한다.
3> 간호계획 및 수행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① 매일 I/O check를 한다.
② 6 시간마다 활력징후를 모니터한다.
③ 고섬유식이 섭취를 격려한다.
④ 규칙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⑤ 변비 유발 식품을 피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⑥ 처방에 의하여 변 완하제를 투여 한다.
⑦ 활동 부족이 변비를 유발함을 교육한다.
⑧ 수분 섭취량을 하루 500cc 이상 늘린다.
⑨ 복부 마사지등 배변을 위한 요법을 시행한다.
⑩ 배변을 위한 환경을 조성해 준다.
변비를 완화시키기 위해선
활발한 활동이 제일 우선이 되어야 한다.
Ⅲ. 결론
본 사례 연구대상자인 주OO님은 4월 22일 몇 발자국 안걸어도 dyspnea 발생하고 식사하면 하루 1~2회 vomitting 과 nausea 발생하여 본원 응급센터로 도보하여 입원함.
과거에 결핵의 병력과 cholecystectomy, arthroscopy 등 history 다양하심
상이처로는 6.25 때 파편으로 인한 왼손 중지를 잃으심.
식욕부진과 힘이 없음을 호소하며 구강섭취에 불편함을 자주 느끼시고 자주 어지러움을 호소하심
2011년 4월 25일 변비증상을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처방에 의해 변완하제를 그 이후로 계속 투여하고 있음. v/s는 정상범위를 계속 유지중임
또한 기침과 객담으로 인한 잠자기가 곤란함을 호소하기 시작했으며
그 이후로 계속 객담 검사를 시행하고 있음.
vomitting 증세는 보이지 않고 있으며 nausea 증세도 많이 완화되었음.
2011년 4월 26일 구강통증을 호소하기 시작함. 구강 내 궤양이 보이기 시작하고 가글을 자주해도 호전이 없어서 ENT에 협진을 의뢰함
2011년 4월 27일 CT검사실을 가야 하는데 환자가 어지러움을 호소하여 급히 BST 체크하니 44가 체크되어 저혈당 증상(진전, 빈맥, 발한, 감각이상, 의식변화)이 있는지 확인함. 바로 glucose 40cc IV inj.하여 한시간뒤 검사실에 갈 수 있었음
환자상태가 호전되면 discharge 할 예정이며, 외래 치료 지속할 예정임.
※ 참고문헌
1. 전시자 외 공저(2010) 성인간호학 상, 하 (현문사)
2. 고성희 외 공저(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3. case EMR
키워드
추천자료
만성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케이스
만성신부전(CRF) case study
만성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CRF)case study
만성신부전 chronic renal failure case study
신부전 케이스 case : 진단명 : CRF(Chronic Renal Failure, 만성신부전)
ICU) 중환자실) 강추) CRF(Chronic renal failure) _ CASE STUDY , 케이스, 만성신부전, 신부...
Case Study, 만성신부전증, chronic renal failure, CRF, 인공신장실, AKR, 케이스 스터디, ...
AKR 만성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CRF) CASE STUDY
[A+]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chronic renal failure 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
만성신부전 사례연구, Chronic renal failure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