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과 교육론 - 공리주의와 도덕교육 - 6 나와 우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덕과 교육론 - 공리주의와 도덕교육 - 6 나와 우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왜 공리주의인가?
Ⅱ. 내가 이해한 공리주의, 나에게 있어서의 공리주의
Ⅲ . 경험 사례 제시
Ⅳ. 사례에서 얻은 교훈

본문내용

을 깨달을 수 있도록 한다.
Ⅳ. 사례에서 얻은 교훈
-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어떤 행위를 동기화 시키는 가치관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하는 공리주의의 기준 또한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함에 있어 소수의 목소리가 사라져서는 안 될 것이다. 인간에게는 침해받아서는 안 될 기본권이 있고, 인간은 홀로 살아가는 존재가 아니다.
공리주의의 이론이 바르게 서지 않는다면,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은 그저 특정 집단의 집단 이기주의를 정당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그만큼 어떤 이론을 적용할 때엔 제대로 알고 올바로 적용함이 옳다는 생각이 든다. 공리주의가 항상 옳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상황에 따라 적절한 이론의 적용과 어떤 행위의 동기화를 할 때는 결과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과정 역시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바른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단순히 한 측면만을 고려할 뿐 아니라, 다양한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스스로 올바른 판단을 내리기 위한 판단력과 통찰력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할 수 있었다.
※ 숙제를 마치며.
- 어떤 것에 대해서 알아 가면 알아 갈수록 더욱더 의문점만 늘어나는 모순에 빠지곤 한다.
공리주의 역시 마찬가지였다. 처음에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만이 준칙인 줄 알았던 공리주의에 대하여, 알면 알수록 더욱더 미궁에 빠지는 느낌이었다. 내가 이해하고 있는 것이 제대로 이해가 된 것인지, 내가 공리주의에 대한 학업의 정도를 가고 있는 것인지 책을 읽고 이해한 내용을 내 말로 풀어쓰려고 노력은 하였는데 과연 제대로 한 것인지 하는 끊임없는 의문이 밀려들었다. 하지만 그 의문에 대한 답은 앞으로도 꾸준한 공부를 통해 발전시키고 알아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스스로가 많이 부족함을 느낄 수 있는 숙제가 아니었나 싶다. 또한 사례에 대해 객관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하려고 노력하였으나 생각이 깊어질수록 오히려 더욱 더 딜레마에 깊이 빠지는 느낌이었다.
하지만, 공리주의와 관련해서 많은 것은 다양하게 생각해 볼 수 있어서 나 스스로 즐겁고도 행복한 시간이었다. 철학이란 머리 아프고도 즐거운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항상 행복하게 수업들을 수 있었던 도덕교육 시간이었고, 이 숙제 역시 유쾌했던 우리의 수업 시간을 떠올리며 즐겁게 했음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소중한 시간이었다 라고 말하고 싶다.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3.11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85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