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론의 개관
2. 나의 사례
3. 교실내의 적용
4. 참고문헌
2. 나의 사례
3. 교실내의 적용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운동하기, 시골에 사는 친족 방문하기 등 많은 계획을 세웠습니다. 그리고 생활 계획표를 책상 앞에 붙여 놓고, 기쁜 마음으로 방학을 맞이했습니다.
그러나 승호는 방학 내내
“이렇게 늦잠도 자고 실컷 놀 수도 있으니 정말 신나는구나!”
하고 놀기만 했습니다.
신나게 놀다보니, 어느덧 개학날이 다가왔습니다. 승호는 걱정이 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림도 안 그리고, 일기도 안 쓰고,……. 결국 승호는 방학 숙제를 제대로 하지 못하였습니다.
개학날이었습니다. 방학을 계획대로 실천하고 숙제를 잘 해 와서 선생님께 칭찬을 듣는 정우를 보면서 승호는 자신의 방학 생활을 후회하였습니다.
<승호의 후회>는 ‘소중한 시간’이라는 단원에 나오는 부분으로써, 시간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시간을 절약하자는 것이 핵심인데, 시간 절약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덕목 중 ‘절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절제’라는 덕목의중요성과 함께, 습관화함으로써 앎으로서의 덕이 아니라 실천으로서의 덕을 어떻게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동시에 학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에서의 덕윤리를 학생들에게 쉽게 교육할 수 있는데 적절한 주제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지도 시에는 시간이 중요하며 절약해야한다는 가치만을 가르쳐서는 안될 것이다. 왜냐하면, 이 단원에서 승호는 방학이 시작되기 전에 나름대로 부족한 과목에 대한 보충이나 운동하기 등 시간을 유용하게 활용하는데 대한 인식이 벌써 있었기 때문이다. 승호가 시간을 절약해야 한다는 사실을 몰랐기 때문에 시간을 헛되이 보낸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반드시 질문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일깨워주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의 승호가 부족했던 덕목은 ‘절제’이다. 승호는 놀면서 시간을 마음대로 쓰고 싶은 마음을 절제하지 못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승호가 부족했던 점이 무엇이었는지 찾아낼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도해야 할 요소는 ‘습관화’에 대한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은 습관화함으로써 체득할 수 있다고 하였다. 방학이 되어 승호는 학기 중보다 더욱 놀고 싶고 늦잠도 자고 싶은 마음이 컸을 것이다. 학생들도 시간을 절약하며 놀고 싶은 마음을 절제하면서 알찬 방학을 보내야 한다는 것을 머리로는 알고 있지만, 승호의 마음에 더 공감을 느낄 것이다. 따라서 무조건 절제를 해야 한다고 가르치기 보다는 일단 학생들의 그런 마음을 교사가 공감을 하여 함께 습관화가 왜 중요한지에 대해 느낄 수 있도록 학생들을 끌어오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 단계 후에, 승호가 시간을 절약하고 절제해야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잘 실천하지 못하는 이유가 바로 습관화되어 있지 않아서라는 것을 일깨워줌으로써 학생 스스로 ‘습관화’하는 것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인 지도 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4. 참고문헌
유병열, 도덕교육론, 양서원, 2004.
나이절 워버턴, 최희봉 역, 철학의 주요문제에 대한 논쟁, 간디서원, 2003.
조요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경문사, 1997.
그러나 승호는 방학 내내
“이렇게 늦잠도 자고 실컷 놀 수도 있으니 정말 신나는구나!”
하고 놀기만 했습니다.
신나게 놀다보니, 어느덧 개학날이 다가왔습니다. 승호는 걱정이 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림도 안 그리고, 일기도 안 쓰고,……. 결국 승호는 방학 숙제를 제대로 하지 못하였습니다.
개학날이었습니다. 방학을 계획대로 실천하고 숙제를 잘 해 와서 선생님께 칭찬을 듣는 정우를 보면서 승호는 자신의 방학 생활을 후회하였습니다.
<승호의 후회>는 ‘소중한 시간’이라는 단원에 나오는 부분으로써, 시간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시간을 절약하자는 것이 핵심인데, 시간 절약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덕목 중 ‘절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절제’라는 덕목의중요성과 함께, 습관화함으로써 앎으로서의 덕이 아니라 실천으로서의 덕을 어떻게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동시에 학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에서의 덕윤리를 학생들에게 쉽게 교육할 수 있는데 적절한 주제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지도 시에는 시간이 중요하며 절약해야한다는 가치만을 가르쳐서는 안될 것이다. 왜냐하면, 이 단원에서 승호는 방학이 시작되기 전에 나름대로 부족한 과목에 대한 보충이나 운동하기 등 시간을 유용하게 활용하는데 대한 인식이 벌써 있었기 때문이다. 승호가 시간을 절약해야 한다는 사실을 몰랐기 때문에 시간을 헛되이 보낸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반드시 질문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일깨워주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의 승호가 부족했던 덕목은 ‘절제’이다. 승호는 놀면서 시간을 마음대로 쓰고 싶은 마음을 절제하지 못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승호가 부족했던 점이 무엇이었는지 찾아낼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도해야 할 요소는 ‘습관화’에 대한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은 습관화함으로써 체득할 수 있다고 하였다. 방학이 되어 승호는 학기 중보다 더욱 놀고 싶고 늦잠도 자고 싶은 마음이 컸을 것이다. 학생들도 시간을 절약하며 놀고 싶은 마음을 절제하면서 알찬 방학을 보내야 한다는 것을 머리로는 알고 있지만, 승호의 마음에 더 공감을 느낄 것이다. 따라서 무조건 절제를 해야 한다고 가르치기 보다는 일단 학생들의 그런 마음을 교사가 공감을 하여 함께 습관화가 왜 중요한지에 대해 느낄 수 있도록 학생들을 끌어오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 단계 후에, 승호가 시간을 절약하고 절제해야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잘 실천하지 못하는 이유가 바로 습관화되어 있지 않아서라는 것을 일깨워줌으로써 학생 스스로 ‘습관화’하는 것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인 지도 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4. 참고문헌
유병열, 도덕교육론, 양서원, 2004.
나이절 워버턴, 최희봉 역, 철학의 주요문제에 대한 논쟁, 간디서원, 2003.
조요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경문사, 199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