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면서
2. 이론의 개관
3. 공리주의에 대한 나의 관점
4. 경험 사례
5. 교과서 적용
6. 느낀점
2. 이론의 개관
3. 공리주의에 대한 나의 관점
4. 경험 사례
5. 교과서 적용
6. 느낀점
본문내용
공공의 선과 비교될 수 있을 정도로 귀한 것인가 하는 생각을 가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교사가 될 나의 생각은 이와 다르다. 아이들의 호기심은 열 번 말해준다고 해서 풀리는 것이 아니라, 직접 눈으로 보고 만지면서 깨달아 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앞서 나의 경험사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 학생이 나에게 했던 말을 돌이켜 생각해보면 모든 것이 수업과 무관한 쓸데없는 질문은 아니었다. 수업내용과는 조금은 동떨어진 것이지만 그 학생이 지금 생각하고 고민하는 것을 나에게 질문한 것도 있었다. 단지 그 문제가 수업 내용과 무관할 뿐 그 지적 호기심 자체를 문제 삼을 수는 없었다. 나는 비록 수업 내용과 무관하지만 그 아이가 궁금해하는 것을 가르쳐주었고 비록 그 학생이 그 잠깐의 시간 동안 수업을 소홀히 하였다고 본인에게는 유익한 시간이었을지도 모른다. 이것이 그 학생에게 수업보다 더 필요한 행위라면 우리는 그 학생에게 있어서 만큼은 이러한 표현의 자유를 허용해주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질적인 공리주의가 왜 필요한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아이의 호기심은 그 자체로서 나쁘다고 할 수 없는 소중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와 비슷하게 상황을 놓고 볼 때, 교과서에 나오는 아이가 의자를 무조건 긁게 해야한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 문제에 당면했을 때, 아이에게 이 상황을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지를 가르쳐주는 우리의 자세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의자를 긁는 것은 잘못된 행위라고 말해주는 것보다는, 아이의 입장에서 왜 그런 행위를 하면 안되는지를 다른 방법으로 설명해주고, 어떻게해서든지 그 아이의 호기심이 희생당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즉, ‘책에 이러이러한 사례가 있으니 실제로 이런 상황을 맞이했을 때 반드시 이렇게 행동해야 한다.’고 말해주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교과 내용이 비록 한정되어 있기는 하지만 교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학생들이 깊이 고민하고 더 나은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실제적인 능력을 키워줘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토론 수업을 진행하여 학생들의 의견을 다양하게 수렴하고 이것이 어떤 기준에서 잘된 것이고 잘못된 것인지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좋을 것이다.
소수의 희생 문제는 공리주의가 이미 우리 사회에 자리잡은 이상, 덕을 갖춘 인간이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한, 다수의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존재할 수 밖에 없다. 다만 우리는 이러한 다양성의 가치를 다수의 행복 앞에서 정해진 잣대에 세워 묵살해서는 안돼며, 어쩔 수 없이 발생하게 되는 소수의 희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만 된다면, 공리주의가 가지는 문제점, 다수의 행복을 위해 생길 수밖에 없는 소수의 희생 문제는 해결되리라 생각한다.
6. 느낀점
도덕과 관련하여 내가 배운 내용 중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공리주의에 대해서 나의 생활과 연관지어 문제를 의식하고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 즐거운 시간이었다. 사실, 나는 도덕사상에 정통하지도, 도덕적인 의식을 하며 실천하며 사는 사람은 아니다. 나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실천하려고 노력할 뿐이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이러한 나의 행동양식도 무의식중에 자리잡고 있는 공리주의에 바탕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공리주의의 매력이 무엇이냐고 물어본다면 나는 이렇게 말하고 싶다. 공리주의는 실제와 따로 떨어져서 존재하는 추상적인 이론이 아니라 우리 생활에 투영되어 있는 현상 그 자체라고 말이다. 공리주의적인 마인드를 가지는 것이 현대인에게, 교사에게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알게 된 이번 과제를 통하여 나와 남과의 관계, 나와 사회와의 상호 관계를 생각하는 소중한 기회가 된 것 같아 뿌듯하다.
소수의 희생 문제는 공리주의가 이미 우리 사회에 자리잡은 이상, 덕을 갖춘 인간이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한, 다수의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존재할 수 밖에 없다. 다만 우리는 이러한 다양성의 가치를 다수의 행복 앞에서 정해진 잣대에 세워 묵살해서는 안돼며, 어쩔 수 없이 발생하게 되는 소수의 희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만 된다면, 공리주의가 가지는 문제점, 다수의 행복을 위해 생길 수밖에 없는 소수의 희생 문제는 해결되리라 생각한다.
6. 느낀점
도덕과 관련하여 내가 배운 내용 중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공리주의에 대해서 나의 생활과 연관지어 문제를 의식하고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 즐거운 시간이었다. 사실, 나는 도덕사상에 정통하지도, 도덕적인 의식을 하며 실천하며 사는 사람은 아니다. 나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실천하려고 노력할 뿐이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이러한 나의 행동양식도 무의식중에 자리잡고 있는 공리주의에 바탕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공리주의의 매력이 무엇이냐고 물어본다면 나는 이렇게 말하고 싶다. 공리주의는 실제와 따로 떨어져서 존재하는 추상적인 이론이 아니라 우리 생활에 투영되어 있는 현상 그 자체라고 말이다. 공리주의적인 마인드를 가지는 것이 현대인에게, 교사에게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알게 된 이번 과제를 통하여 나와 남과의 관계, 나와 사회와의 상호 관계를 생각하는 소중한 기회가 된 것 같아 뿌듯하다.
추천자료
Pavlov와 Skinnerd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Bandurad의 사회학습이론, Lorenz의 동물생태학, Pi...
도덕과(도덕과교육) 가치갈등학습과 가치명료화학습, 도덕과(도덕과교육) 개념분석학습, 도덕...
유치원 교사 교육
[유아발달4B] 인지발달이론에서 피아제 이론과 비고츠키 이론을 각각 설명, 각 이론을 교육실...
콜버그 도덕성 발달 이론과 나딩스 배려윤리의 교육적 적용
도덕 이론과 실제 - 경험사례 - 교과서 적용 - 2 우리 모두를 위하여 - 토론자료
협동학습 - 초등 도덕과 교육 - 이론적 기초 의의 학습구조와 모형 협동학습 실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