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선의지
2. 의무
3. 원리에 따르는 행위
4. 법칙에 대한 존중
5. 도덕 법칙의 원리
6. 자율과 타율
7. 자유의 문제
8. 두 가지 관점
9. 우리는 결코 거짓말해서는 안 되는가?
10. 나의 사례
11. 사례 분석
12. 지도 방안
2. 의무
3. 원리에 따르는 행위
4. 법칙에 대한 존중
5. 도덕 법칙의 원리
6. 자율과 타율
7. 자유의 문제
8. 두 가지 관점
9. 우리는 결코 거짓말해서는 안 되는가?
10. 나의 사례
11. 사례 분석
12. 지도 방안
본문내용
지의 잘못을 범하고 있다. 첫째는, 우유를 창문 밖으로 버리는 행동이고 둘째는, 자신이 한 일에 대해 하지 않은 척 거짓말을 하고 있다.
동수의 행동이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학생들은 아마 어림짐작으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칸트의 입장에서 사고하는 것은 조금 어려울 것 같다. 칸트의 판단 기준은 콜버그의 도덕발단단계에서 가장 성숙한 단계인 6단계에 있을 만큼 높은 단계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칸트에게서 가장 중요한 개념인 보편성을 가지고 와서 학생들에게 도덕적인 행동을 하기 위해서 판단하는 방법을 가르치고자 한다.
[실제수업]
우리는 오늘 <은진이의 고민>을 <동수의 고민>으로 바꾸고 칸트의 입장에서 해결해보려고 합니다. 여러분 칸트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나요? 칸트는 보편성을 강조한 독일의 철학자입니다. 자, 그럼 보편성이란 무엇일까요? 우리 국어사전을 찾아볼까요~ “보편성이란 모든 것에 두루 미치거나 통하는 성질입니다.” 칸트는 도덕적인 사람으로 생활하기 위해서 이러한 보편성을 기준으로 모든 것을 판단합니다. 칸트는 어떤 행동을 하기 전에 이런 질문을 던집니다. “내가 지금하고자 하는 것이 모든 사람들이 다 보편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것인가?”
우리 동수의 행동을 한 번 볼까요? 동수는 우유가 먹기 싫다고 해서 우유를 어떻게 했죠? “창 밖으로 던졌습니다.” 그럼 우리가 동수가 되었다고 생각하고, 칸트의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봅시다. “나는 지금 흰 우유가 정말 먹기 싫습니다. 그래서 지금 흰 우유를 창 밖으로 던질까합니다. 내가 우유를 창 밖으로 던지는 행동은 모든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다 인정할 수 있는 것인가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 우유를 창 밖으로 던지는 행동은 옳은 행동이 아닙니다.
▶ 우유를 창 박으로 던지는 행동이 옳은 행동이라면, 모든 사람들이 우유를 먹지 않고 창 밖으로 던질 것입니다.
▶ 그럼 화단은 터진 우유와 우유 곽으로 가득할 것입니다. 그럼 화단은 더러워집니다.
▶ 어머니께선 제가 우유를 먹지 않고 창 밖으로 버리는 것을 알면 우유를 신청해주시지 않을 것입니다.
여러분 잘했습니다. 우유를 던지는 행위는 옳은 행동이 아닙니다. 여러분 중에서도 혹시 우유가 먹기 싫은 학생이 있다면 우유를 창 밖으로 던지는 행위가 옳은 행위가 아니라는 것을 알았으니 절대 던지지 마세요~ 자, 우리 다시 동수의 입장이 되어 봅시다. “여러분은 흰 우유를 던지는 것이 옳은 행동이 아닌 것을 알지만, 정말~ 너무 먹기가 싫어서 우유를 창 밖으로 던져 버렸습니다. 그런데 교장 선생님 머리 위로 이게 떨어진 것이 아니겠어요? 당연히 교장 선생님께서는 화가 단단히 나셔서 누가 던졌냐고 범인을 찾으러 왔습니다. 우리는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요? 칸트의 질문을 던져봅시다. 어떤 질문을 스스로에게 해봐야 하죠?”
▶ 모든 사람들이 교장 선생님께 내가 그랬다고 말하는 것을 보편적으로 인정하는 행동인가? 아니면 내가 아닌 척 가만히 있는 것이 보편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행동인가?
자, 그럼 칸트의 질문에 따라 우리는 어떤 행동을 해야 하나요?
▶ 교장 선생님께 사실을 말하고 용서를 빌어야 합니다.
왜 범인이 아닌 척 가만히 있으면 안 되죠?
▶ 그건 모든 사람들이 인정할 수 있는 행동이 아닙니다.
▶ 그건 정직하지 못한 행동이에요. 거짓말을 하는 것이라고요~ 거짓말은 나쁜 거에요. 모든 사람들이 거짓말을 인정할 순 없잖아요.
여러분, 잘했습니다. 거짓말을 하는 것은 정직성과 반대되는 것으로, 칸트의 보편성에 근거하여 인정받을 수 없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모든 사람들이 거짓말은 나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그러니 여러분은 절대 거짓말을 하지 마세요. 그리고 항상 어떤 행동을 하기 전에 칸트의 질문을 던져보세요. 칸트의 질문이 뭐였죠?
▶ “내가 지금하고자 하는 것이 모든 사람들이 다 보편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것인가?”
잘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선생님의 어렸을 때 이야기를 들여 주려고 합니다.
① 어린 시절 나의 사례에서 소개한 일과 같은 경험이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나의 이야기를 먼저 들려준다.
② 선생님이 칸트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잘못한 일은 무엇인가요?
③ 자, 그럼 선생님과 같은 이런 경험을 한 적이 있는 사람이 있나요? 손들기가 곤란하죠? 분명 여기에는 선생님과 같은 경험이 있는 친구도 있고 그런 경험이 없는 친구도 있을 꺼에요. 어렸을 때, 부모님의 돈을 몰래 쓰거나, 부모님께 거짓말 하는 일은 정상적인 아이도 건강한 아이도 호기심 때문에 충분히 그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행동은 여러분이 칸트의 입장에서 지적한 것처럼 분명히 잘못되었습니다. 어른이 되어 물건을 훔치면 절도죄로 경찰서에 들어가게 되고, 거짓말을 하게 되면 아무도 그 사람을 믿지 않게 되어 그 사람은 외톨이가 될 것입니다.
④ 선생님이 지금부터 종이를 나누어 줄 것입니다. 이 종이에 자신이 한 정직하지 못한 행동을 적어보세요. 아주 조그마한 일이라도 좋습니다. 만약 그런 경험이 없는 학생은 주변에서 본 정직하지 못한 행동에 대해서 적어도 좋습니다.
⑤ 그리고 그 일에 대하여 칸트의 질문을 던져보세요.
⑥ 자, 그럼 그 질문에 대해 스스로 답을 해볼까요?
⑦ 여러분은 지금 아주 착하고 훌륭한 학생입니다. 그리고 앞으로 더 훌륭한 사람이 되기 위해, 어떤 행동에 대해 칸트의 질문을 던지는 연습을 해보세요. 그리고 그 질문에 대한 답에 따라, 자신만의 도덕적 기준을 가지고 행동한다면 더 도덕적인 사람이 되겠죠? 횡단보도를 빨강 불인데도 건너고 싶어질 때 칸트의 질문을 던져보는 거에요. 과연 여러분은 어떤 행동을 할까요?
(그리고 사후에 학생들이 칸트의 질문을 던지고 도덕적으로 잘 행동하는지 관찰하기 위해서 무인매점을 운영한다. 그리고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피드백을 한다.)
※참고문헌
로버크 L. 애링톤,「서양윤리학사」, 서광사, 2003.
H.J 페이튼, 「칸트의 도덕철학」, 서광사, 1988.
이택휘, 유병렬, 「도덕교육론」, 양서원, 2000.
박재주, 「서양의 도덕교육 사상」, 청계, 2003
요슈타인 가아더, 「소피의 세계」, 현암사, 1994
동수의 행동이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학생들은 아마 어림짐작으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칸트의 입장에서 사고하는 것은 조금 어려울 것 같다. 칸트의 판단 기준은 콜버그의 도덕발단단계에서 가장 성숙한 단계인 6단계에 있을 만큼 높은 단계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칸트에게서 가장 중요한 개념인 보편성을 가지고 와서 학생들에게 도덕적인 행동을 하기 위해서 판단하는 방법을 가르치고자 한다.
[실제수업]
우리는 오늘 <은진이의 고민>을 <동수의 고민>으로 바꾸고 칸트의 입장에서 해결해보려고 합니다. 여러분 칸트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나요? 칸트는 보편성을 강조한 독일의 철학자입니다. 자, 그럼 보편성이란 무엇일까요? 우리 국어사전을 찾아볼까요~ “보편성이란 모든 것에 두루 미치거나 통하는 성질입니다.” 칸트는 도덕적인 사람으로 생활하기 위해서 이러한 보편성을 기준으로 모든 것을 판단합니다. 칸트는 어떤 행동을 하기 전에 이런 질문을 던집니다. “내가 지금하고자 하는 것이 모든 사람들이 다 보편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것인가?”
우리 동수의 행동을 한 번 볼까요? 동수는 우유가 먹기 싫다고 해서 우유를 어떻게 했죠? “창 밖으로 던졌습니다.” 그럼 우리가 동수가 되었다고 생각하고, 칸트의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봅시다. “나는 지금 흰 우유가 정말 먹기 싫습니다. 그래서 지금 흰 우유를 창 밖으로 던질까합니다. 내가 우유를 창 밖으로 던지는 행동은 모든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다 인정할 수 있는 것인가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 우유를 창 밖으로 던지는 행동은 옳은 행동이 아닙니다.
▶ 우유를 창 박으로 던지는 행동이 옳은 행동이라면, 모든 사람들이 우유를 먹지 않고 창 밖으로 던질 것입니다.
▶ 그럼 화단은 터진 우유와 우유 곽으로 가득할 것입니다. 그럼 화단은 더러워집니다.
▶ 어머니께선 제가 우유를 먹지 않고 창 밖으로 버리는 것을 알면 우유를 신청해주시지 않을 것입니다.
여러분 잘했습니다. 우유를 던지는 행위는 옳은 행동이 아닙니다. 여러분 중에서도 혹시 우유가 먹기 싫은 학생이 있다면 우유를 창 밖으로 던지는 행위가 옳은 행위가 아니라는 것을 알았으니 절대 던지지 마세요~ 자, 우리 다시 동수의 입장이 되어 봅시다. “여러분은 흰 우유를 던지는 것이 옳은 행동이 아닌 것을 알지만, 정말~ 너무 먹기가 싫어서 우유를 창 밖으로 던져 버렸습니다. 그런데 교장 선생님 머리 위로 이게 떨어진 것이 아니겠어요? 당연히 교장 선생님께서는 화가 단단히 나셔서 누가 던졌냐고 범인을 찾으러 왔습니다. 우리는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요? 칸트의 질문을 던져봅시다. 어떤 질문을 스스로에게 해봐야 하죠?”
▶ 모든 사람들이 교장 선생님께 내가 그랬다고 말하는 것을 보편적으로 인정하는 행동인가? 아니면 내가 아닌 척 가만히 있는 것이 보편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행동인가?
자, 그럼 칸트의 질문에 따라 우리는 어떤 행동을 해야 하나요?
▶ 교장 선생님께 사실을 말하고 용서를 빌어야 합니다.
왜 범인이 아닌 척 가만히 있으면 안 되죠?
▶ 그건 모든 사람들이 인정할 수 있는 행동이 아닙니다.
▶ 그건 정직하지 못한 행동이에요. 거짓말을 하는 것이라고요~ 거짓말은 나쁜 거에요. 모든 사람들이 거짓말을 인정할 순 없잖아요.
여러분, 잘했습니다. 거짓말을 하는 것은 정직성과 반대되는 것으로, 칸트의 보편성에 근거하여 인정받을 수 없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모든 사람들이 거짓말은 나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그러니 여러분은 절대 거짓말을 하지 마세요. 그리고 항상 어떤 행동을 하기 전에 칸트의 질문을 던져보세요. 칸트의 질문이 뭐였죠?
▶ “내가 지금하고자 하는 것이 모든 사람들이 다 보편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것인가?”
잘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선생님의 어렸을 때 이야기를 들여 주려고 합니다.
① 어린 시절 나의 사례에서 소개한 일과 같은 경험이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나의 이야기를 먼저 들려준다.
② 선생님이 칸트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잘못한 일은 무엇인가요?
③ 자, 그럼 선생님과 같은 이런 경험을 한 적이 있는 사람이 있나요? 손들기가 곤란하죠? 분명 여기에는 선생님과 같은 경험이 있는 친구도 있고 그런 경험이 없는 친구도 있을 꺼에요. 어렸을 때, 부모님의 돈을 몰래 쓰거나, 부모님께 거짓말 하는 일은 정상적인 아이도 건강한 아이도 호기심 때문에 충분히 그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행동은 여러분이 칸트의 입장에서 지적한 것처럼 분명히 잘못되었습니다. 어른이 되어 물건을 훔치면 절도죄로 경찰서에 들어가게 되고, 거짓말을 하게 되면 아무도 그 사람을 믿지 않게 되어 그 사람은 외톨이가 될 것입니다.
④ 선생님이 지금부터 종이를 나누어 줄 것입니다. 이 종이에 자신이 한 정직하지 못한 행동을 적어보세요. 아주 조그마한 일이라도 좋습니다. 만약 그런 경험이 없는 학생은 주변에서 본 정직하지 못한 행동에 대해서 적어도 좋습니다.
⑤ 그리고 그 일에 대하여 칸트의 질문을 던져보세요.
⑥ 자, 그럼 그 질문에 대해 스스로 답을 해볼까요?
⑦ 여러분은 지금 아주 착하고 훌륭한 학생입니다. 그리고 앞으로 더 훌륭한 사람이 되기 위해, 어떤 행동에 대해 칸트의 질문을 던지는 연습을 해보세요. 그리고 그 질문에 대한 답에 따라, 자신만의 도덕적 기준을 가지고 행동한다면 더 도덕적인 사람이 되겠죠? 횡단보도를 빨강 불인데도 건너고 싶어질 때 칸트의 질문을 던져보는 거에요. 과연 여러분은 어떤 행동을 할까요?
(그리고 사후에 학생들이 칸트의 질문을 던지고 도덕적으로 잘 행동하는지 관찰하기 위해서 무인매점을 운영한다. 그리고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피드백을 한다.)
※참고문헌
로버크 L. 애링톤,「서양윤리학사」, 서광사, 2003.
H.J 페이튼, 「칸트의 도덕철학」, 서광사, 1988.
이택휘, 유병렬, 「도덕교육론」, 양서원, 2000.
박재주, 「서양의 도덕교육 사상」, 청계, 2003
요슈타인 가아더, 「소피의 세계」, 현암사, 1994
추천자료
칸트(Kant) - 현대 사회와 도덕적 삶
도덕 이론과 실제 - 경험사례 - 교과서 적용 - 2 우리 모두를 위하여 - 토론자료
칸트의 윤리학이론의 개관 - 딜레마를 주는 사례들과 나의 생각 - 1 정직한 행동
[도덕과] 내 안의 나와 우리 안의 나 - 칸트의 도덕이론과 그 사례를 바탕으로
배려 윤리 이론(나딩스를 중심으로)과 교육적 적용(정의 윤리와의 통합적 관점에서) - 배려 ...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과 교육적 적용
칸트가 말하는 철학과 우리가 말해야 하는 도덕 교육 - 3 공정한 생활
칸트와 공리주의 이론 - 경험사례 - 교과서 적용
유교를 통해 본 효 - 이론 개관 사례 교과서 적용 교수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