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칸트의 이론
1) 칸트는 누구인가
2) 선의지
3) 정언명법
4) 목적의 왕국
5) 칸트에 대한 비판
II. 나의 사례와 분석
III. 교과서 관련 내용
◎ 4학년 도덕 교과서 (4-1. 4 네가 먼저)
IV.참고자료.
1) 칸트는 누구인가
2) 선의지
3) 정언명법
4) 목적의 왕국
5) 칸트에 대한 비판
II. 나의 사례와 분석
III. 교과서 관련 내용
◎ 4학년 도덕 교과서 (4-1. 4 네가 먼저)
IV.참고자료.
본문내용
1의 법은 말 그래도 법률, 이성적인 규칙이고, 제 2의 법인 도덕은 이성에서 조금 벗어난 인간의 감정, 감성 위주의 규칙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물론, 투쟁을 가지 않은 사람이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그들 역시 불가피한 나름의 이유가 있을 것이다. 즉, 그들도 생각하고 이것저것을 따져봄으로써 내린 최선의 결과였을 것이라고 본다. 그들 역시 그들 나름의 선의지에 따른 것이다. 또한 이것은 칸트의 자율과도 연관된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칸트의 의무이론은 인간의 정신작용을 규정짓는 것이 아니라, 인간 스스로 자율적인 선택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 졸업여행 - 졸업 여행에서 돌아오는 비행기 안이었다. 가는 길에도 그랬었지만 오는 길에도 우리는 비행기에서 1박을 했다. 우리는 모두 담요를 덮고 잠이 들었고, 4시간을 세상 모르고 잤다. 한국에 도착했을 때 나는 깜짝 놀랐었다. 동기들이 거의 항공사의 담요를 챙겨온 것이었다. 그러나 나는 예전에 뉴스에서 비행기 담요를 가져갔었다가 그것이 항상 마음에 걸려 10년 후에 돈 봉투와 담요를 항공사에 보낸 한 노인의 이야기를 아직도 기억하고 있었다. 그것도 있었고, 담요를 가져간다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나는 다른 아이들의 담요를 보고 놀랐다. 사실 너무 부러웠다.
나는 거의 행동은 어떠한 동기에 의해 내가 손해를 보더라도 마음이 시키는 대로 하면서 속이 쓰리는 타입이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나의 그러한 마인드의 메커니즘에 궁금증을 가져왔고, 그것이 칸트의 이론과 연결된다고 생각하기까지 이르렀다. 그래서 주제를 칸트로 정하게 되었는데, 칸트를 공부하고 나니 세상의 모든 선택들이 칸트의 이론에 비추어서 보이게 되었다. 우리는 항상 의무감과 경향성 사이에서 갈등하는 이성적 존재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그것들 사이에서 ‘우리는 과연 어떠한 선택을 해야 하는가‘가 내가 살아가는데 큰 의의 중 하나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항상 지금까지 ‘속이 쓰려왔음’에도 불구하고 경향성보다는 의무에 치중해야 하는 이유는 칸트의 묘비명에서 가장 와닿게 찾을 수 있었다. 레포트의 첫머리에 있듯이 속이 쓰리지 않으려면 꾸준히 나에 대해 반성하고 도덕 법칙에 대해 자주 생각해야 하는 것이다. 처음엔 경향성의 욕구가 내가 손해를 본다고, 이것은 잘못된 선택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계속 반성하고 내 마음을 다듬을수록 내 안에서는 물리적인 이익보다 더욱 값진 그 무언가가 커져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III. 교과서 관련 내용
▶ 4학년 교과서 - 네가 먼저
친절하고 양보하는 사람의 행동을 보면 우리의 마음도 밝아집니다. 그런 행동은 오랫동안 잊혀 지지 않고 우리의 마음속에 남아 있게 됩니다. 친절하고 양보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우리 사회는 더욱 밝아집니다.
1) 남에게 친절하게 대하고 양보하는 태도가 왜 중요한지 알아봅시다.
2) 남에게 친절하게 대하고 양보하는 마음을 다져 봅시다.
3) 남에게 친절하게 대하고 양보하는 행동을 실천해 봅시다.
▶ 예시 - 지하철에서
오늘 재훈이는 현장 학습을 갔습니다. 날씨가 어찌나 더운지 이마에 땀방울이 송송 맺혔습니다. 모둠별로 흩어져 이곳저곳을 조사하고 관찰하였더니 다리가 아팠습니다.
집에 갈 때에는 지하철을 탔는데 운 좋게도 앉을 자리가 생겼습니다.
잠시 후, 할아버지 한 분이 타셨습니다. 그런데 선뜻 자리를 양보하는 사람이 없었습니다. 어떤 사람은 딴 곳을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또, 어떤 사람은 신문을 보는 체했습니다.
재훈이는 할아버지께 자리를 양보할 것인지, 아니면 모른 체하고 그냥 앉아서 갈 것인지 망설였습니다.
‘저분은 우리 할아버지처럼 연세가 많으신데, 서서 가시려면 얼마나 힘이 드실까? 우리 할아버지께서 지하철을 타셨을 때 사람들이 다 모른 체하고 자리를 양보하지 않으면 어떻게 하지? 그렇지만 지금은 나도 다리가 너무 아프고 피곤한걸. 그래도 자리를 양보해야 할까? 아니야, 다른 사람들도 자리를 양보하지 않는데…….’
이렇게 고민하는 동안에 몇 정거장이 지나갔습니다. 그리고 할아버지는 지하철에서 내리셨습니다.
점점 멀어져 가는 할아버지의 뒷모습을 보면서 재훈이는 마음이 무거워졌습니다.
1. 젊은 사람들이 자리를 양보하지 않았을 때, 할아버지는 어떤 느낌이 드셨을까요?
2. 내가 재훈이라면 어떻게 했을까요?
① 문제 상황 파악하기
1) 재훈이는 왜 망설였나요? - 지하철 안에서 할아버지께 자리를 양보할 것인지, 아니면 모른 체하고 그냥 앉아서 갈 것인지 고민했습니다.
2) 재훈이는 왜 마음이 무거워졌나요? - 할아버지는 결국 앉지 못하고 몇 정거장 지나서 내리셨고, 재훈이는 왠지 죄송한 마음이 들었을 것 같습니다.
② 문제 상황에 나타나 있는 규범, 의무 파악하기
1) 재훈이의 행동은 옳은 것인가요? -잘못된 것입니다.
2) 왜 그런가요? - 양보를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예절의 중요성 부각)
③ 규범, 의무의 타당성 제시 - 예절을 지키지 않았을 때, 꾸중을 들은 경우와 예절을 지켰을 때 칭찬을 들은 경우 발표하기 (인사를 잘해서 칭찬받은 경우, 어른 앞에서 곱지 않은 말을 해서 꾸중을 들은 경우)
▶ 선택 활동
- 친절한 마음은 웃는 얼굴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짝과 함께 다른 사람에게 웃으면서 친절하 게 대하는 연습을 해 봅시다.
1) 다음과 같은 경우에 어떻게 하여야 할지 모둠별로 역할놀이를 해 봅시다
- 힘이 약한 친구를 괴롭히는 것을 보았을 때
- 식당에서 목발을 짚고 식판을 든 친구를 만났을 때
- 짝이 공부 내용을 잘 몰라 도움을 청할 때
- 청소 당번인 친구가 아플 때
2) 마음에 새겨 둡시다
다른 사람에게 웃는 얼굴로 대하겠습니다.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생각해 보겠습니다.
누군가 길을 물을 때에는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다른 사람들 도와 줄 때에는 즐거운 마음으로 하겠습니다.
줄을 설 때 급한 사람에게는 양보하겠습니다.
-> 아이들이 예절이라는 규범을 알게 되고, 그에 따르게 된다.
IV.참고자료.
▶ 네이버 두산백과사전 참고
▶ 초등 학교 4학년 도덕 교과서
▶ 박해용 지음 『청소년을 위한 서양철학사』, 두리미디어 , 2002
물론, 투쟁을 가지 않은 사람이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그들 역시 불가피한 나름의 이유가 있을 것이다. 즉, 그들도 생각하고 이것저것을 따져봄으로써 내린 최선의 결과였을 것이라고 본다. 그들 역시 그들 나름의 선의지에 따른 것이다. 또한 이것은 칸트의 자율과도 연관된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칸트의 의무이론은 인간의 정신작용을 규정짓는 것이 아니라, 인간 스스로 자율적인 선택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 졸업여행 - 졸업 여행에서 돌아오는 비행기 안이었다. 가는 길에도 그랬었지만 오는 길에도 우리는 비행기에서 1박을 했다. 우리는 모두 담요를 덮고 잠이 들었고, 4시간을 세상 모르고 잤다. 한국에 도착했을 때 나는 깜짝 놀랐었다. 동기들이 거의 항공사의 담요를 챙겨온 것이었다. 그러나 나는 예전에 뉴스에서 비행기 담요를 가져갔었다가 그것이 항상 마음에 걸려 10년 후에 돈 봉투와 담요를 항공사에 보낸 한 노인의 이야기를 아직도 기억하고 있었다. 그것도 있었고, 담요를 가져간다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나는 다른 아이들의 담요를 보고 놀랐다. 사실 너무 부러웠다.
나는 거의 행동은 어떠한 동기에 의해 내가 손해를 보더라도 마음이 시키는 대로 하면서 속이 쓰리는 타입이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나의 그러한 마인드의 메커니즘에 궁금증을 가져왔고, 그것이 칸트의 이론과 연결된다고 생각하기까지 이르렀다. 그래서 주제를 칸트로 정하게 되었는데, 칸트를 공부하고 나니 세상의 모든 선택들이 칸트의 이론에 비추어서 보이게 되었다. 우리는 항상 의무감과 경향성 사이에서 갈등하는 이성적 존재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그것들 사이에서 ‘우리는 과연 어떠한 선택을 해야 하는가‘가 내가 살아가는데 큰 의의 중 하나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항상 지금까지 ‘속이 쓰려왔음’에도 불구하고 경향성보다는 의무에 치중해야 하는 이유는 칸트의 묘비명에서 가장 와닿게 찾을 수 있었다. 레포트의 첫머리에 있듯이 속이 쓰리지 않으려면 꾸준히 나에 대해 반성하고 도덕 법칙에 대해 자주 생각해야 하는 것이다. 처음엔 경향성의 욕구가 내가 손해를 본다고, 이것은 잘못된 선택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계속 반성하고 내 마음을 다듬을수록 내 안에서는 물리적인 이익보다 더욱 값진 그 무언가가 커져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III. 교과서 관련 내용
▶ 4학년 교과서 - 네가 먼저
친절하고 양보하는 사람의 행동을 보면 우리의 마음도 밝아집니다. 그런 행동은 오랫동안 잊혀 지지 않고 우리의 마음속에 남아 있게 됩니다. 친절하고 양보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우리 사회는 더욱 밝아집니다.
1) 남에게 친절하게 대하고 양보하는 태도가 왜 중요한지 알아봅시다.
2) 남에게 친절하게 대하고 양보하는 마음을 다져 봅시다.
3) 남에게 친절하게 대하고 양보하는 행동을 실천해 봅시다.
▶ 예시 - 지하철에서
오늘 재훈이는 현장 학습을 갔습니다. 날씨가 어찌나 더운지 이마에 땀방울이 송송 맺혔습니다. 모둠별로 흩어져 이곳저곳을 조사하고 관찰하였더니 다리가 아팠습니다.
집에 갈 때에는 지하철을 탔는데 운 좋게도 앉을 자리가 생겼습니다.
잠시 후, 할아버지 한 분이 타셨습니다. 그런데 선뜻 자리를 양보하는 사람이 없었습니다. 어떤 사람은 딴 곳을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또, 어떤 사람은 신문을 보는 체했습니다.
재훈이는 할아버지께 자리를 양보할 것인지, 아니면 모른 체하고 그냥 앉아서 갈 것인지 망설였습니다.
‘저분은 우리 할아버지처럼 연세가 많으신데, 서서 가시려면 얼마나 힘이 드실까? 우리 할아버지께서 지하철을 타셨을 때 사람들이 다 모른 체하고 자리를 양보하지 않으면 어떻게 하지? 그렇지만 지금은 나도 다리가 너무 아프고 피곤한걸. 그래도 자리를 양보해야 할까? 아니야, 다른 사람들도 자리를 양보하지 않는데…….’
이렇게 고민하는 동안에 몇 정거장이 지나갔습니다. 그리고 할아버지는 지하철에서 내리셨습니다.
점점 멀어져 가는 할아버지의 뒷모습을 보면서 재훈이는 마음이 무거워졌습니다.
1. 젊은 사람들이 자리를 양보하지 않았을 때, 할아버지는 어떤 느낌이 드셨을까요?
2. 내가 재훈이라면 어떻게 했을까요?
① 문제 상황 파악하기
1) 재훈이는 왜 망설였나요? - 지하철 안에서 할아버지께 자리를 양보할 것인지, 아니면 모른 체하고 그냥 앉아서 갈 것인지 고민했습니다.
2) 재훈이는 왜 마음이 무거워졌나요? - 할아버지는 결국 앉지 못하고 몇 정거장 지나서 내리셨고, 재훈이는 왠지 죄송한 마음이 들었을 것 같습니다.
② 문제 상황에 나타나 있는 규범, 의무 파악하기
1) 재훈이의 행동은 옳은 것인가요? -잘못된 것입니다.
2) 왜 그런가요? - 양보를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예절의 중요성 부각)
③ 규범, 의무의 타당성 제시 - 예절을 지키지 않았을 때, 꾸중을 들은 경우와 예절을 지켰을 때 칭찬을 들은 경우 발표하기 (인사를 잘해서 칭찬받은 경우, 어른 앞에서 곱지 않은 말을 해서 꾸중을 들은 경우)
▶ 선택 활동
- 친절한 마음은 웃는 얼굴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짝과 함께 다른 사람에게 웃으면서 친절하 게 대하는 연습을 해 봅시다.
1) 다음과 같은 경우에 어떻게 하여야 할지 모둠별로 역할놀이를 해 봅시다
- 힘이 약한 친구를 괴롭히는 것을 보았을 때
- 식당에서 목발을 짚고 식판을 든 친구를 만났을 때
- 짝이 공부 내용을 잘 몰라 도움을 청할 때
- 청소 당번인 친구가 아플 때
2) 마음에 새겨 둡시다
다른 사람에게 웃는 얼굴로 대하겠습니다.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생각해 보겠습니다.
누군가 길을 물을 때에는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다른 사람들 도와 줄 때에는 즐거운 마음으로 하겠습니다.
줄을 설 때 급한 사람에게는 양보하겠습니다.
-> 아이들이 예절이라는 규범을 알게 되고, 그에 따르게 된다.
IV.참고자료.
▶ 네이버 두산백과사전 참고
▶ 초등 학교 4학년 도덕 교과서
▶ 박해용 지음 『청소년을 위한 서양철학사』, 두리미디어 , 20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