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 덕윤리란
- 덕이란
- 중용의 덕
- 행복론
3. 나의 사례 적용 후 평가
4. 현직에서의 적용(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5. 작성 후기
2.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 덕윤리란
- 덕이란
- 중용의 덕
- 행복론
3. 나의 사례 적용 후 평가
4. 현직에서의 적용(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5. 작성 후기
본문내용
록 어렸을 때부터 그러한 습관이 형성되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교사는 실천 위주의 인성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① 학교급별에 따른 인성교육 실시 : 학교급별로 학생의 발달 수준에 맞도록 체계화된 인성(도덕성, 사회성, 정서 등) 교육을 실시하고, 또한 정규교과 전체에 포함하여 실시한다. 이러한 학교급별에서 아이들을 교육할 때에슨 아이들이 주체적으로 옳은 행동을 판단하고 중용의 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② 인성교육 방법의 개선 : 지식 중심의 도덕 윤리교육에서 벗어나 대화, 토론, 상담, 사회봉사 등의 실천적 활동을 통해 아이들이 도덕적인 덕은 습관화하도록 해야할 것이다.
④ 가정교육과의 연계강화 : 인성교육은 학교교육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가정교육과의 연계 속에서 인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5. 작성 후기
역사를 좋아하는 나는 윤리 역시 좋아했다. 역사를 공부하다 보니 각 시대를 배우게 되고 그 시대의 철학자를 배우게 되면서 자석에 이끌리듯이 윤리에 관심이 갔다. 이번 초등 도덕 교육을 수업을 통해 여러 학파와 그 학파의 대표 학자들에 대해 배웠다. 칸트, 공리주의에서 정신분석학, 행동주의, 배려윤리까지……. 익숙한 사람들도 있었고 난생 처음 들어보는 생소한 것도 있었다. 하지만 알면 아는 대로, 모르면 모르는 대로 그들의 이론은 충분히 설득력 있고 매력적이었다.
그래도 그 중 나에게 가장 익숙한 아리스토텔레스를 택하긴 했지만 막상 택해놓고서도 이 과제는 참 진도가 나가기 어려웠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명성만큼이나 많은 사상들을 주장한 인물이고 나는 그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 중 어떠한 것을 중점으로 다룰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고 내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에 적용해 판단해보고 싶은 나의 사례들이 정말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에서 판단해보기에 적당한 것인지에 대해서도 혼란스러웠다.
하지만 내가 이 과제를 통해 분명하게 얻은 것은 그냥 이론으로써, 교수님의 가르침을 받고 그냥 피상적으로만 머릿속으로 생각만 해보고 마는 것이 아니라 나의 사례와 영화의 사례 등을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에 적용해봄으로써 주체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에 대해 생각해보고 나의 삶의 어떠한 부분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에 적합한 것이었고 어떤 행동이 아리스토텔레스가 옳지 못하게 생각했던 부분인지에 대해 판단해봄으로써 조금 더 깊게 그의 사상을 공부해보았다는 것이다.
이 과제 뿐 아니라 초등도덕교육 1을 들으면서 나는 참 많이 ‘도덕’에 대해 공부한 것 같다. 내가 이제까지 알고 있던 학자들보다 훨씬 많은 학자들과 학파들에 대한 이야기를 배움으로써 도덕 교육의 흐름에 대해 배웠다. 그리고 이러한 짧으면 짧다고 할 수 있는 한 학기 동안의 배움을 통해서 나는 우리 삶의 어떤 부분에든 도덕적 판단과 도덕적 생각이 들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강의를 수강한 후 이제 앞으로 내가 해 볼 것은 어떠한 프로그램을 보면서도 이것을 도덕적으로 생각해 봄으로써 좀 더 도덕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보는 것일 것이다.
그러므로 교사는 실천 위주의 인성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① 학교급별에 따른 인성교육 실시 : 학교급별로 학생의 발달 수준에 맞도록 체계화된 인성(도덕성, 사회성, 정서 등) 교육을 실시하고, 또한 정규교과 전체에 포함하여 실시한다. 이러한 학교급별에서 아이들을 교육할 때에슨 아이들이 주체적으로 옳은 행동을 판단하고 중용의 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② 인성교육 방법의 개선 : 지식 중심의 도덕 윤리교육에서 벗어나 대화, 토론, 상담, 사회봉사 등의 실천적 활동을 통해 아이들이 도덕적인 덕은 습관화하도록 해야할 것이다.
④ 가정교육과의 연계강화 : 인성교육은 학교교육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가정교육과의 연계 속에서 인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5. 작성 후기
역사를 좋아하는 나는 윤리 역시 좋아했다. 역사를 공부하다 보니 각 시대를 배우게 되고 그 시대의 철학자를 배우게 되면서 자석에 이끌리듯이 윤리에 관심이 갔다. 이번 초등 도덕 교육을 수업을 통해 여러 학파와 그 학파의 대표 학자들에 대해 배웠다. 칸트, 공리주의에서 정신분석학, 행동주의, 배려윤리까지……. 익숙한 사람들도 있었고 난생 처음 들어보는 생소한 것도 있었다. 하지만 알면 아는 대로, 모르면 모르는 대로 그들의 이론은 충분히 설득력 있고 매력적이었다.
그래도 그 중 나에게 가장 익숙한 아리스토텔레스를 택하긴 했지만 막상 택해놓고서도 이 과제는 참 진도가 나가기 어려웠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명성만큼이나 많은 사상들을 주장한 인물이고 나는 그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 중 어떠한 것을 중점으로 다룰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고 내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에 적용해 판단해보고 싶은 나의 사례들이 정말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에서 판단해보기에 적당한 것인지에 대해서도 혼란스러웠다.
하지만 내가 이 과제를 통해 분명하게 얻은 것은 그냥 이론으로써, 교수님의 가르침을 받고 그냥 피상적으로만 머릿속으로 생각만 해보고 마는 것이 아니라 나의 사례와 영화의 사례 등을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에 적용해봄으로써 주체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에 대해 생각해보고 나의 삶의 어떠한 부분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에 적합한 것이었고 어떤 행동이 아리스토텔레스가 옳지 못하게 생각했던 부분인지에 대해 판단해봄으로써 조금 더 깊게 그의 사상을 공부해보았다는 것이다.
이 과제 뿐 아니라 초등도덕교육 1을 들으면서 나는 참 많이 ‘도덕’에 대해 공부한 것 같다. 내가 이제까지 알고 있던 학자들보다 훨씬 많은 학자들과 학파들에 대한 이야기를 배움으로써 도덕 교육의 흐름에 대해 배웠다. 그리고 이러한 짧으면 짧다고 할 수 있는 한 학기 동안의 배움을 통해서 나는 우리 삶의 어떤 부분에든 도덕적 판단과 도덕적 생각이 들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강의를 수강한 후 이제 앞으로 내가 해 볼 것은 어떠한 프로그램을 보면서도 이것을 도덕적으로 생각해 봄으로써 좀 더 도덕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보는 것일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