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리검사의 유형(지능검사 적성검사 성격검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리검사의 유형(지능검사 적성검사 성격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심리검사 유형

I. 지능검사
1. 비네(Binet) 지능검사
2. 웩슬러(Wechsler) 지능검사

II. 적성검사
1. Holland 검사
2. Strong 검사
3. 노동부 직업선호도검사

III. 성격검사
1. MBTI 2. MMPI
3. CPI
4. PAI
5. Rorschach 검사
6. SCT
7. TAT
8. HTP
9. BGT

* 참고문헌

본문내용

러 가지 유용한 지표를 활용 할 수 있으며, 임상척도의 의미를 보다 정확히 평가할 수 있고, 내담자가 경험하고 있는 다양한 증상이나 심리적 갈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채점이 용이하고 온라인 검사도 실시할 수 있어 결과를 바로 확인 할 수 있다.
(5) Rorschach 검사
Rorschach 검사는 1921년 9월 Herman Rorschach의 유명한 논문 "Psychodiagnostik"에서 최초로 소개되었다 Rorschach는 우연히 잉크 반점에 대한 정신분열증 환자의 반응이 정상인의 반응과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 잉크 반점 검사가 정신분열증을 변별하는 데 유효한지를 검증하는 데서 개발하였다. 로샤는 당시 유럽에서 성행하였던 Blotto 게임을 학생들에게 사용하여 학급운영 문제를 덜었던 교사 Gehring과 관계를 맺으면서 그의 정신분열증 환자와 정상 학생들 간의 반응 차이를 연구하였는데 이때 잉크 반점은 40개였다(박경, 최순영, 2002). 초기 로샤 연구의 채점 항목은 첫째, 어떤 위치를 보고 반응하였는지를 부호화하였고, 둘째, 잉크 반점의 어떤 형태를 보았는지를 부호화하였으며, 넷째, 어떤 내용에 반응하였는지를 분류하는 것으로 이를 채점 기준으로 삼았으며, 이러한 분석을 통해 정신병리 현상을 진단하였다.
(6) SCT
문장완성검사(Sentence completion test: SCT)는 Galton의 자유연상법(free association test)이 연구되고, 그 후 Wundt와 Cattell에 의해 단어연상법(word association test)으로 발전하였으며, Kraepelin과Jung의 임상연구에 이어 Rapaport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단어연상법이 투사법으로 성격진단 방법으로 확립되었으나, 단어연상법은 다시 문장 완성법으로 발전하게 되었다(신석기 외, 2007). 이 검사는 '어릴 때 나는‥‥‥‥나의 어머니는‥‥‥‥과 같이 미완성의 짧은 문장을 제시하여 이후의 문장을 완성하도록 하는 검사방법이다.
(7) TAT
그 외에 주제통각검사(Thematic Apperception Test: TAT)는 대인관계와 환경에 대한 통각이나 의미 있는 해석을 나타내는 성격의 역동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피검사자에게 몇 장의 그림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게 하고 그들의 개인적인 통각을 알아내는 방법으로 그림에 대한 반응을 욕구, 내적 상태, 억압, 해결행동의 약식 등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Morgan과 Murray(1935)가 처음 소개하였으며, 복잡한 검사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시행과 해석에 노력이 요구되므로 숙련된 전문가가 시행해야 한다. 검사는 집단이나 혼자서도 시행할 수 있지만 체계적인 해석은 각 기록마다 최소한 30분 혹은 그 이상이 소요된다. 아동용은 의인화한 동물의 그림을 보여 주고 측정하는 방법으로 CAT(Child Apperception Test)라 한다.
(8) HTP
HTP(House-Tree-Person Test) 검사는 피검사자의 자신에 대한 관점과 환경에 대한 내부적인 관점을 드러낸다. 자신도 모르게 성격발달과 관련된 정서적인 면들과 역동을 나타낸 점이 HTP 검사의 강점이다. 이 검사는 Buck(1948), Buck과 Hammer(1969)가 개발하였으며, 초기에는 정신분석학적인 관점에서 해석하는 경향이 많았으나, Burn(1987)은 최근에 이보다는 인본주의적 관점이나Jung의 입장을 더 강조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는 집-나루사람 검사를 연령과 관계없이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이유를 다음의 세 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첫째, 집, 나무, 사람은 나이가 어린 피검사자들에게도 친숙하다. 둘째, 모든 연령이 그릴 수 있는 주제로 받아들이기 쉽다. 넷째, 그린 그림에 대해 솔직하고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으며, 개인의 무의식과 관련하여 풍부한 상징을 담고 있다.
피검사자들은 자신들에게 익숙한 것을 표현하고 아무리 어린 피검사자라도 집, 나무, 사람을 그릴 때는 자신이 접해 왔던 것, 자신과 연관된 상징적이고 의미 있는 것들을 그린다. 피검사자가 그린 나무가 큰 나무인지, 시든 나무인지, 주변 환경으로 인하여 손상된 나무인지에 따라 자신의 내적 모습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사람의 경우에도 무서운 얼굴을 하고 있는지, 손이 절단되어 있는지, 기운찬 모습으로 달려가고 있는지는 피검사자 자신에게 의미 있는 정보를 그림을 통해 말해 준다.
(9) BGT
BGT(Bender-Gestalt Test)는 독일의 형태주의 심리학자인 Wertheimer와 함께 형태의 인식과 성격의 내적인 관계를 연구했던 Schilder로부터 출발하였다. BGT가 진단검사로 인정을 받게 된 계기는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다양한 문화 배경에서 징집된 군인들을 진단할 필요가 생기면서부터이다. 군인 중에는 문맹자도 있었고 기질적인 손상을 가진 사람도 있었으며, 정신병리적인 질환을 겪고 있는 사람들도 있었다. 이들을 진단하고 치료계획을 세우는 방안에 관한 논문이 출판되면서 BGT 검사가 자리매김을 하였다. BGT는 기질적 장애를 판별하려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정신증, 정신지체, 그 외에 성격적인 문제를 진단하는 데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진단은 모사 단계(copy phase)의 검사만으로 충분하며 10분 정도가 소요된다. 정신병리척도에 의거한 채점으로 기질성장애의 80-85%는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정신병리 점수 17개 요인들을 통해 현실검증력, 충동성 여부, 정서적 특징과 같은 개인의 성격적인 측면에 대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박경, 최순영, 2002).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3.19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99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