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근력
2. 근지구력
3. 심폐지구력
4. 유연성
5. 민첩성
2. 근지구력
3. 심폐지구력
4. 유연성
5. 민첩성
본문내용
재빠르게 반응하거나, 신체의 위치를 재빨리 바꾸는 동작의 연속을 위해서는 신체의 빠른 중심이동 및 신체의 평형감각이 매우 중요하므로 평형성과도 관련이 깊다.
(2) 활동 : 인간 두더지 게임
① 이 활동은 모둠별로 민첩성을 필요로 하는 게임으로 6인이 5조가 되어 실시한다. 각 모둠에서 1명씩 술래를 뽑고 나머지 5명은 지정된 공간(작은 원 지름 10m정도) 안에서 자유롭게 자리를 정해 선다. 1분~1분 30초 정도로 시간을 정해 놓고 모든 모둠이 동시에 실시하며, 술래는 앉았다가 일어나는 친구를 달려가서 손으로 머리를 제외한 팔이나 다리를 치면 되는 게임이다. 술래를 제외한 두더지는 5초정도(1부터 5까지 세기) 일어나 있도록 한다. 점수는 모둠에서 개인별로 점수를 가지며, 한 명을 칠 때마다 1점씩 올라가고 최종적으로 점수를 많이 올린 학생이 그 모둠에서 두더지 잡이(1등)가 된다.
② 수업은 준비운동 → 본 활동 → 마무리운동으로 진행하며, 준비운동으로 PT체조와 간단하게 스트레칭을 한다. 본 활동에서는 먼저 줄마다(4열 횡대) 지그재그로 뛰기, 호루라기 소리에 맞추어 방향 바꾸어 뛰기를 하며 민첩성을 길러준다. 그 후에 모둠별로 십자(+) 뛰기를 연습해보고, 인간 두더지 게임을 해 본다. 6명 모두 두더지 게임이 끝나면 점수를 합산해서 모둠의 두더지 잡이를 뽑으며, 마무리 운동으로 운동장 가볍게 뛰기나 걷기를 한다.
③ 교사는 모둠별 활동 시 순회하면서 관찰하며 학생들이 민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동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 기록한다. 그리고 모둠의 두더지 잡이들에게는 칭찬과 친구들의 박수로 격려해주고, 나머지 학생들 또한 수업을 통해 민첩성과 관련된 활동을 잘 수행한 것에 대해 칭찬하도록 한다. 또 활동을 할 때 학생들이 과도하게 참여하다가 방향 전환 시 넘어지거나 인간 두더지 게임을 할 때 다른 친구를 너무 세게 때린다거나 머리, 급소를 때리는 등의 비도덕적인 행위는 하지 않도록 유의하여 지도한다.
달리기를 통한 민첩성 향상 십자(+) 뛰기 - 모둠별 인간 두더지 게임
[참고자료]
문정철(2007). 초등 체육수업에서 체력보강운동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기초체력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변화. 한국 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원주(2007). 순환운동 프로그램 적용 수업이 초등학교 고학년 기초체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줄넘기협회 http://www.jumprope.or.kr
(2) 활동 : 인간 두더지 게임
① 이 활동은 모둠별로 민첩성을 필요로 하는 게임으로 6인이 5조가 되어 실시한다. 각 모둠에서 1명씩 술래를 뽑고 나머지 5명은 지정된 공간(작은 원 지름 10m정도) 안에서 자유롭게 자리를 정해 선다. 1분~1분 30초 정도로 시간을 정해 놓고 모든 모둠이 동시에 실시하며, 술래는 앉았다가 일어나는 친구를 달려가서 손으로 머리를 제외한 팔이나 다리를 치면 되는 게임이다. 술래를 제외한 두더지는 5초정도(1부터 5까지 세기) 일어나 있도록 한다. 점수는 모둠에서 개인별로 점수를 가지며, 한 명을 칠 때마다 1점씩 올라가고 최종적으로 점수를 많이 올린 학생이 그 모둠에서 두더지 잡이(1등)가 된다.
② 수업은 준비운동 → 본 활동 → 마무리운동으로 진행하며, 준비운동으로 PT체조와 간단하게 스트레칭을 한다. 본 활동에서는 먼저 줄마다(4열 횡대) 지그재그로 뛰기, 호루라기 소리에 맞추어 방향 바꾸어 뛰기를 하며 민첩성을 길러준다. 그 후에 모둠별로 십자(+) 뛰기를 연습해보고, 인간 두더지 게임을 해 본다. 6명 모두 두더지 게임이 끝나면 점수를 합산해서 모둠의 두더지 잡이를 뽑으며, 마무리 운동으로 운동장 가볍게 뛰기나 걷기를 한다.
③ 교사는 모둠별 활동 시 순회하면서 관찰하며 학생들이 민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동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 기록한다. 그리고 모둠의 두더지 잡이들에게는 칭찬과 친구들의 박수로 격려해주고, 나머지 학생들 또한 수업을 통해 민첩성과 관련된 활동을 잘 수행한 것에 대해 칭찬하도록 한다. 또 활동을 할 때 학생들이 과도하게 참여하다가 방향 전환 시 넘어지거나 인간 두더지 게임을 할 때 다른 친구를 너무 세게 때린다거나 머리, 급소를 때리는 등의 비도덕적인 행위는 하지 않도록 유의하여 지도한다.
달리기를 통한 민첩성 향상 십자(+) 뛰기 - 모둠별 인간 두더지 게임
[참고자료]
문정철(2007). 초등 체육수업에서 체력보강운동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기초체력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변화. 한국 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원주(2007). 순환운동 프로그램 적용 수업이 초등학교 고학년 기초체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줄넘기협회 http://www.jumprope.or.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