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과 기계운동 수행평가 도구 개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체육과 수행평가

Ⅲ. 체육과 수행평가 도구개발
1. 수행평가 도구개발 절차
2. 교육과정 내용 분석
3. 수행평가 도구개발

Ⅳ. 수행평가 도구적용
1. 수업활동분석
2. 수행평가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스스로 생각하고 탐구하면서 운동을 수행하였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학습자 스스로 루브릭에 근거하여 좀 더 높은 수준으로 가려고 하는 도전정신이 엿보였으며, 자신에게 맞는 기능과 동작을 선택하고 움직임을 만들어 실행해 보는 학습활동 등이 자기 주도적으로 수행했다는 것도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개발한 도구에 의한 수행평가 결과는 학습자에게 기계를 이용한 운동의 신체적 효율성을 총체적이고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또한 교수-학습과정 중에 아동들의 수준을 다양한 각도에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앞으로 체육수업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정보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도구들은 현장에서 많이 적용되어져 지속적인 수정·보완의 작업이 후속연구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 도구에서 연구자가 개발한 과제와 루브릭 수준, 평가지의 적절성 등이 초등학교 고학년 수준에 적절한 도구인지를 현장교사의 활용으로 반드시 검증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수행평가에 알맞은 성적표 양식의 개발도 후속 연구의 한 과제로 남아있다.
끝으로 앞으로의 체육수업은 단순한 기능의 수행평가가 아니라 다른 스포츠 및 생활환경에 적용할 수 있고 우리의 체육문화에 성공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실제적인 수행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학교체육이 정상화 될 수 있는 시설 및 환경개선의 정책적인 배려가 선결되어야 하며 그 속에서 올바른 수행평가를 위한 현장과의 공동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참 고 문 헌
교육부(1998). 초등학교 교육과정해설(Ⅴ) -체육,음악,미술,외국어-.
김영천(1999). 초등학교 수행평가 도구개발을 위한 실험적 모델과 전략. 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김영천(2000). 새로운 수행평가 모델의 탐색, 방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학습세미나.
김용환외(1999). 체육교과 수행평가 유형이 학습활동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체육교육학회지, 제4권 제12호
남명호(1999).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을 위한 수행평가,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월례세미나 자료 1999. 5. 26.
백순근(2000). 수행평가의 원리, 교육과학사.
배호순(2000). 수행평가의 이론적 기초, 학지사.
손천택(2000). 체육교과에서 수행평가의 적용과 개선과제. 한국스포츠교육학회보 제21호.
윤명희(1995). 심동적 영역의 과제내용에 따른 초등학교 학습자의 체육실제학습시간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제 34권 6호.
윤명희 외(2000).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태근문화사.
정구인(2000). 체육 교육과정에 나타난 체조영역 매트 운동 학습내용 비교분석. 한국 스포츠 교육 학회지 제 7권 1호.
조미혜(1999). 체육과 수행평가 현장적용방안. 한국교육평가원 세미나자료.
조한무(1997). 포트폴리오 평가가 체육수업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Bucher, L. A.(1975). Foundation of physical education. Saint Louis : The C. V. Mosby. Co.
Hopple, C.J.(1995). Teaching for outcomes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A guide for curriculum and assessment. Human Kinetics.
Lund, J.(1997). Authentic assessment: Its development & application. JOPERD, Septmeber, pp.22-28.
NASPE(2000). Creating rubrics for physical education: Assessment series. National Association for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an association of the Americ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Richard, J.F., Godbout, P., Tousignant, M. & Grehaigne, J.F. (1999). The try-out of a team sport performance assessment procedure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18, 336-356.
Stiggins, R,(1987). Design and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6(3), pp.33-42.
Schiemer, S.(2000). Assessment strategies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Human Kinetics.
Veal, M.L.(1996). Writing rubric for alternative assessments: Adding anther "R" to Your Educational Vocabulary.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Atlanta, GA.
Wiggins, G.(1989). A true test: toward more authentic and equitable assessment. Phi Delta Kappan, 69(9), 703-713.
Wiggins, G.(1992). Creating tests worth taking. Educational Leadership, 49(8), 26-33.
Willgoose, C.E.(1979). The curriculum in physical education. (3th).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New Jersey.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61페이지
  • 등록일2003.04.07
  • 저작시기200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22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