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다. 이 단원의 성격은 남에게 친절이나 양보를 베푸는 행동을 하라는 것을 강조하는 단원으로 머릿속에서 하는 생각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인 행동을 강조한다는 면에서 보면 칸트의 입장으로 지도 가능하다. 그리고 또한 인간의 친절과 양보를 베풀고자 하는 의지(무조건적인 선)를 강조한다는 입장에서 보면서 지도 가능할 것 같다.
◎ 학습 문제 확인
◎(교과서 68~69쪽)문제 상황 ‘큰 두레박’를 듣고 내용을 파악한다.
언제 있었던 일입니까?
- 625 전쟁 때
피난민들 사이에는 어떤 문제가 생겼습니까?
- 겨울이라서 물을 구하기 힘듭니다.
- 두레박으로 물을 긷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 문제에 대해서 피난민들은 각각 어떤 생각을 했겠습니까?
- 두레박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만을 위해 물을 뜨면 된다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 두레박이 없는 사람들은 누군가 빌려주었으면 하는 마음이 들었을 것입니다.
◎ 각자 자기 두레박으로 물을 뜰 때의 등장인물의 마음이 되어 발표하기
두레박을 가진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 두레박을 가진 사람들의 마음:
- 두레박을 갖지 못한 사람들의 마음:
◎ 큰 두레박으로 물을 뜰 때의 등장인물의 마음이 되어 발표하기
두레박을 가진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 두레박을 가진 사람들의 마음:
- 두레박을 갖지 못한 사람들의 마음:
◎두레박을 갖지 못한 피난민의 상황 알기
두레박을 갖지 못한 피난민들은 어떤 상황입니까?
- 두레박이 없어 물을 구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두레박을 만들 재료를 구하기 어렵습니다.
어떤 배려 행동이 필요할까?
- 각자의 생각을 발표한다.
왜 이런 배려 행동이 필요할까?
- 각자의 생각을 발표한다.
◎‘친절과 양보’와 관련되어 자기가 할 수 있는 배려의 행동 찾기
가정이나 학교에서 여러분이 할 수 있는 배려 행동을 발표해 봅시다.
- 각자 자기가 찾은 행동을 발표한다.
◎ 찾은 배려 행동을 바탕으로 1주일 동안 실천 계획 세우기
여러분이 찾은 배려 행동을 가지고 1주일 동안 실천할 계획을 세워봅시다.
- 각자가 실천 기록표를 작성
- 1주일 동안 열심히 실천하고 실천했을 때 기분 이나 느낌 적어오기.
지도 방안으로는 먼저 교과서를 참고하여 아이들에게 문제 상황을 인식 시켜 주어야 한다. 수업의 흐름을 크게 잡아보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할 수 있을 것 같다.
◎ 학습 문제 확인
◎(교과서 68~69쪽)문제 상황 ‘큰 두레박’를 듣고 내용을 파악한다.
언제 있었던 일입니까?
- 625 전쟁 때
피난민들 사이에는 어떤 문제가 생겼습니까?
- 겨울이라서 물을 구하기 힘듭니다.
- 두레박으로 물을 긷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 문제에 대해서 피난민들은 각각 어떤 생각을 했겠습니까?
- 두레박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만을 위해 물을 뜨면 된다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 두레박이 없는 사람들은 누군가 빌려주었으면 하는 마음이 들었을 것입니다.
◎ 각자 자기 두레박으로 물을 뜰 때의 등장인물의 마음이 되어 발표하기
두레박을 가진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 두레박을 가진 사람들의 마음:
- 두레박을 갖지 못한 사람들의 마음:
◎ 큰 두레박으로 물을 뜰 때의 등장인물의 마음이 되어 발표하기
두레박을 가진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 두레박을 가진 사람들의 마음:
- 두레박을 갖지 못한 사람들의 마음:
◎두레박을 갖지 못한 피난민의 상황 알기
두레박을 갖지 못한 피난민들은 어떤 상황입니까?
- 두레박이 없어 물을 구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두레박을 만들 재료를 구하기 어렵습니다.
어떤 배려 행동이 필요할까?
- 각자의 생각을 발표한다.
왜 이런 배려 행동이 필요할까?
- 각자의 생각을 발표한다.
◎‘친절과 양보’와 관련되어 자기가 할 수 있는 배려의 행동 찾기
가정이나 학교에서 여러분이 할 수 있는 배려 행동을 발표해 봅시다.
- 각자 자기가 찾은 행동을 발표한다.
◎ 찾은 배려 행동을 바탕으로 1주일 동안 실천 계획 세우기
여러분이 찾은 배려 행동을 가지고 1주일 동안 실천할 계획을 세워봅시다.
- 각자가 실천 기록표를 작성
- 1주일 동안 열심히 실천하고 실천했을 때 기분 이나 느낌 적어오기.
지도 방안으로는 먼저 교과서를 참고하여 아이들에게 문제 상황을 인식 시켜 주어야 한다. 수업의 흐름을 크게 잡아보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할 수 있을 것 같다.
키워드
추천자료
기계는 생각할 수 있는가?
공리주의를 비판적으로 성찰 그 허점을 칸트의 의무론으로 보완할 수 있는가 - 한 집단의 리...
콜버그와 도덕성 발달단계 이론
[초등도덕교육]칸트의 도덕 이론에 관한 나의 경험과 방법론
[초등도덕교육론]칸트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에 관하여
[초등 도덕과 교육론] 공리주의를 통해서 본 도덕 교육
도덕과 교육 - 칸트 입장에서 본 도덕적 가치에 대한 고민과 교육 - 1 정직한 행동
초등도덕교육 - 도덕 이론 이해와 경험 사례 그리고 초등 현장 적용
배려 윤리 이론(나딩스를 중심으로)과 교육적 적용(정의 윤리와의 통합적 관점에서) - 배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