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도덕단계의 발달과 자율적 도덕인 육성의 도덕교육 : 콜버그(요약)
2. 콜버그 정의로운 공동체 이론에 비추어 본 경험 사례
3. 교과 지도 방안
2. 콜버그 정의로운 공동체 이론에 비추어 본 경험 사례
3. 교과 지도 방안
본문내용
의 욕구보다 위에 있는 자신보다 남과 공동체를 위하는 욕구가 위계상 더 상위의 것인데 정의로운 공동체적 접근으로 해결된 위의 사례는 기본 욕구의 충족을 조건으로 하여 이루어진 일이므로 결국 기본적 욕구 충족 없이는 인간이 도덕적이 될 수 없다는 꼴이다. 따라서 좀 더 고차원적인 도덕적 인간으로의 성장을 위해서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3. 교과 지도 방안
5학년 도덕 교과서 7단원 서로 다른 주장 중 101p~105p까지
왜 선택 하였는가?
-이 부분 내용은 서로 다른 의견을 어떻게 민주적으로 해결하느냐를 놓고 역할놀이를 하는 것이다. ‘조용한 교실’ 만들기를 주제로 학급회의를 하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일부만 보면, 일단 조용한 교실을 만든다는 것을 어떤 아이는 아예 아무 이야기도 하지 않는 다는 것으로 해석하였고 그래서 우정을 돈독히 할 수 있는 기회를 잃는다고 하였다. 이것은 친구와 우정을 더 돈독히 한다는 가치와 남에게는 시끄러운 소리로 피해를 주지 말아야 한다는 가치가 충돌하고 있는 것이다. 회의를 통하여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를 선택하게 된다.
어떻게 보면 우정이라는 것은 자기 만족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떠들지 않는다는 것은 남을 위한다는 것이므로 이타주의적인 것이다. 아이들은 대부분 남에게 피해를 주는 것은 좋지 않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막연하게 이렇게 알고만 있는 아이들이 조용한 교실을 만든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이에 대한 해결책이 있는데 바로 콜버그의 정의로운 공동체 이론에 의한 접근이다. 아이들에게 민주적 의사 결정 방식을 통하여 조용한 교실 만드는 것에 대해 토론할 기회를 제공한다면 아이들은 우정이라는 자기 만족적인 것보다 더 상위의 남을 위하는 가치를 택하게 되어 더 도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것이다.
지도 방법
-먼저 여기 나온 사례를 교과서에 나온 대로 아이들에게 역할놀이를 하여 보도록 한다.
역할놀이가 끝나면 아이들에게 느낌을 말하여 보게 한다. 아이들은 제 각각 자신이 중요시하는 것들을 말할 것이다. 이렇게 하여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게 한 다음 실제로 학급회의를 개최하게 한다. 이 때 주제는 예를 들어 청소시간에 모두가 다 성실히 청소를 하자는 내용이나, 아니면 책에 나온 것처럼 조용한 교실 만들기를 내용으로 하여 회의를 진행한다.
만약 조용한 교실 만들기를 주제로 택하여 회의를 하고 어떤 대안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할 때 이때 중요한 것은 아이들에게 이렇게 학급이라는 공동체가 민주적인 의사결정 방식을 통하여 조용한 교실 만들기로 합의 하였을 때 과연 과거에 비하여 교실이 얼마나 조용해 졌나를 직접 느껴보게 하는 것이다.
콜버그의 정의로운 공동체적인 도덕 지도법에 의하면 민주적 방식으로 구성원들이 참여하여 어떠한 것을 직접 결정한 것은 잘 지키므로 교실 전보다 한층 더 조용해졌다는 것을 아이들이 직접 느낄 것이다.
이같은 교실 분위기의 변화를 통하여 아이들은 남을 위하여 조용히 하는 태도를 기르고 좀 더 높은 수준의 도덕적 성장을 할 수 있을 것이다.
3. 교과 지도 방안
5학년 도덕 교과서 7단원 서로 다른 주장 중 101p~105p까지
왜 선택 하였는가?
-이 부분 내용은 서로 다른 의견을 어떻게 민주적으로 해결하느냐를 놓고 역할놀이를 하는 것이다. ‘조용한 교실’ 만들기를 주제로 학급회의를 하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일부만 보면, 일단 조용한 교실을 만든다는 것을 어떤 아이는 아예 아무 이야기도 하지 않는 다는 것으로 해석하였고 그래서 우정을 돈독히 할 수 있는 기회를 잃는다고 하였다. 이것은 친구와 우정을 더 돈독히 한다는 가치와 남에게는 시끄러운 소리로 피해를 주지 말아야 한다는 가치가 충돌하고 있는 것이다. 회의를 통하여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를 선택하게 된다.
어떻게 보면 우정이라는 것은 자기 만족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떠들지 않는다는 것은 남을 위한다는 것이므로 이타주의적인 것이다. 아이들은 대부분 남에게 피해를 주는 것은 좋지 않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막연하게 이렇게 알고만 있는 아이들이 조용한 교실을 만든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이에 대한 해결책이 있는데 바로 콜버그의 정의로운 공동체 이론에 의한 접근이다. 아이들에게 민주적 의사 결정 방식을 통하여 조용한 교실 만드는 것에 대해 토론할 기회를 제공한다면 아이들은 우정이라는 자기 만족적인 것보다 더 상위의 남을 위하는 가치를 택하게 되어 더 도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것이다.
지도 방법
-먼저 여기 나온 사례를 교과서에 나온 대로 아이들에게 역할놀이를 하여 보도록 한다.
역할놀이가 끝나면 아이들에게 느낌을 말하여 보게 한다. 아이들은 제 각각 자신이 중요시하는 것들을 말할 것이다. 이렇게 하여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게 한 다음 실제로 학급회의를 개최하게 한다. 이 때 주제는 예를 들어 청소시간에 모두가 다 성실히 청소를 하자는 내용이나, 아니면 책에 나온 것처럼 조용한 교실 만들기를 내용으로 하여 회의를 진행한다.
만약 조용한 교실 만들기를 주제로 택하여 회의를 하고 어떤 대안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할 때 이때 중요한 것은 아이들에게 이렇게 학급이라는 공동체가 민주적인 의사결정 방식을 통하여 조용한 교실 만들기로 합의 하였을 때 과연 과거에 비하여 교실이 얼마나 조용해 졌나를 직접 느껴보게 하는 것이다.
콜버그의 정의로운 공동체적인 도덕 지도법에 의하면 민주적 방식으로 구성원들이 참여하여 어떠한 것을 직접 결정한 것은 잘 지키므로 교실 전보다 한층 더 조용해졌다는 것을 아이들이 직접 느낄 것이다.
이같은 교실 분위기의 변화를 통하여 아이들은 남을 위하여 조용히 하는 태도를 기르고 좀 더 높은 수준의 도덕적 성장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콜버그의 도덕교육 이론에 대하여
콜버그 토론수업(토의식수업)의 개념과 기초, 콜버그 토론수업(토의식수업)의 이론적 배경, ...
콜버그 정의공동체이론(접근법)의 개념, 콜버그 정의공동체이론(접근법)의 필요성, 콜버그 정...
[콜버그][정의공동체]콜버그 정의공동체접근법(이론)의 의의와 원칙, 콜버그 정의공동체접근...
[공동체의식][공동체의식 성격][공동체의식 구성요소][봉사활동][모둠활동]공동체의식의 개념...
도덕교육(도덕과교육)의 조건과 접근, 도덕교육(도덕과교육)의 심리학적 근거, 도덕교육(도덕...
콜버그(Kohlberg) 도덕성 발달
콜버그 : 콜버그의 도덕성발달단계의 특징 ; 콜버그의 도덕성발달이론의 내용과 한계
정의공동체 - 도덕성 발달 - 영화와 경험사례 분석 - 4 함께 사는 세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