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지도안] 예절 효 덕목의 교과서 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업지도안] 예절 효 덕목의 교과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예절의 정의
▣ 예절의 종류
▣ 초등교육과정에서의 예절
▣ 단원의 개관
▣ 교과서 분석 ; 안녕하세요

본문내용

되었다. 사실 1차시에 배당된 생활의 길잡이와 도덕 교과서의 범위가 너무도 많다. 차라리 양질의 제재를 엄선하여 그 양을 좀 줄이고 교사의 재량을 넓혀 수업할 수 있도록 편찬되면 좋을 것 같다.
도덕 교과야말로 교사의 재량을 가장 많이 발휘할 수 있는 분야라고 생각한다. 때문에 교과서에서 다루지 않더라도 교사 스스로 좋은 자료들을 찾아내고 수업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교과서의 모든 범위에 의존하다 보면 결국 국어와 다를 바가 없어질 것이다. 따라서 교사의 노력과 열정이 정말 중요한 과목이다. 한 학기 동안 배운 좋은 내용들을 기억하고 또 연구하고 발전시켜서 현장에서 아이들에게 감동적인 수업을 선사하고 싶다.
한 학기 동안 좋은 가르침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업 후기
인간이 가진 도덕성에 대한 궁금증이 참 많았습니다. 도덕수업을 매우 오랜 시간 갖고 도덕적인 항목을 끊임없이 배우지만 전혀 도덕적이지 아니하고 폐륜을 저지르며 인간으로서 할 수 없는 많은 잘못을 행하는 사람들의 모습은 제게 도덕 수업의 필요성에 대한 회의를 불러 일으켰습니다. 예절과 효와 우애와 질서 그리고 준법 까지 인간으로서 한 사회의 구성원이 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지켜야할 덕목들을 체계적이고 지식화 하여서 그렇게 많이 배우고 교사의 지도로 인한 교화의 과정을 그렇게 많이 겪는데 왜 자꾸만 사회는 병들고 더 악랄하고 잔인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 까요?
오늘날 우리의 사회는 정보화, 세계화의 흐름으로 인해 점점 더 빨라지고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대상을 반영하듯이 우리 지금 살고 있는 이 사회는 매우 다양한 윤리적 가치들이 복잡하게 혼재되어있습니다. 또한 우리사회가 점점 가치판단의 기준을 인류, 사회의 보편성보다는 개인에게 내재한 가치 기준에 두면서 가치관의 혼란은 더욱 심화되고 가중되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사회가 피할 수 없는, 그래서 적응하고 해결해나가야만 하는 문제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때문에 우리의 사회는 사회의 도덕성 쇠퇴와 혼란을 우려하여, 그 해결방안을 교육에, 특히 도덕이라는 교과목에 두고 ‘도덕적인 사람’의 양성에 그 주안점을 두고 교육에 힘쓰고 있습니다. 때문에 우리는 이러한 상황에서 도덕교과와 도덕적인 사람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 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도덕이라는 교과는 인류가, 그리고 우리 사회가 추구하고 실천하고 있는 가치들을 자라나는 후손의 가치 있는 삶의 영위를 위해 체계적으로 정립해 놓은 것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사회에서 발생하는 많은 도덕적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 그리고 더 나은 사회로의 발전을 위해 도덕이라는 교과를 우리의 교육과정 속에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볼 때, 도덕과의 특성은 시대적, 사회적 요구를 깊이 반영하고 있는 교과임을 알 수 있습니다. 때문에 도덕이라는 교과는 단순히 이론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닌 보다 학생들이 경험하는 현실과 맞물려 있게 됩니다. 따라서 학생들은 도덕이라는 교과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받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의 합리적 해결을 위해서는 당면한 문제의 도덕적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하고 도덕적 사고력과 판단력을 기를 수 있는 인지적 요소, 이러한 인지적 요소를 바탕으로 실천의지와 습관화를 키울 수 있는 행동적 요소, 도덕적 민감성과 적극성을 함양할 수 있는 정의적 요소를 필요로 합니다. 때문에 우리 초등 도덕과 교육은 앞에서 언급한 행동적 요소, 인지적 요소 그리고 한편에서는 정의적 요소에 중점을 두고 발전해왔습니다. 하지만, 어떤 특정한 이론만이 완벽한 것이 아니듯이 이러한 요소들에서도 어느 하나만이 완벽히 바람직한 것이 아니므로, 도덕 과에서는 특정 요소에 치우치기보다는 다양한 요소를 골고루 고려하여 전인적인 도덕성발달을 꾀할 수 있도록 그 목표를 세우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의 도덕교과가 도덕과가 세운 목표, 즉 전인적 발달을 이룬 도덕적인 인간양성이라는 과업을 잘 수행하고 있는 가? 라는 질문을 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이는 지식과 실천과의 관계와도 연관되는 문제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지식과 행동적 실천과의 관계는 역사적으로 볼 때 많은 사람들에 의해 오랫동안 끊임없이 논의될 만큼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입니다. 우리는 우리 사회에서 ‘배운 사람이 더 무섭다.’ 라는 말을 듣습니다. 이는 알고 있는 것과 도덕적 행동 간의 괴리로 인하여 생겨난 말입니다. 오히려 사회에서 배우지 못한 사람들이, 가난한 사람들이 더욱 도덕적으로 옳은 삶을 사는 모습을 발견할 때가 많습니다. 오히려 우리는 배움의 기간에 비례해서 겉으로 보기에만 도덕적인 사람을 양성하고 있지 않은가를 되돌아 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물론, 도덕과의 목표는 도덕적 인간을 키워내는 데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이 우리의 현실에서 얼마나 그 실효성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것이 문제이며, 그 지식이 얼마나 살아있는 가하는 물음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도덕과의 특성상 교과내용이 학생들이 이미 생활에서 경험한 것들을 다루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학생들이 지겨워하거나 뻔한 얘기라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생들에게 직접적으로 다가오지 않은 죽은 지식을 다루는 학문이라면, 당연히 학생들의 도덕적 실천도 이끌어내기 어려울 것이다. 때문에 도덕이라는 과목은 학습자에게 마음으로 다가오는, 감동적인 교과가 되도록 노력해야겠다. 이를 위해서 교사는 수업이라는 방식을 통해서 학생들이 도덕적 지식의 구축하여 도덕적 인간이 될 수 있는 길을 마련해 줄 수 있도록 도와야겠다.
인간이 도덕적 행위를 하지 않는 경우를 살펴보면, 즉 도덕적이지 못한 인간의 그 원인을 살펴보면, 알면서도 행하지 못하는 사람, 알지 못해서 행하지 못하는 사람 이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우리는 최소한 알지 못해서 행하지 못하는 사람이 나타나는 것을 막아야 하며, 더 나아가 알면서도 행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진정한 앎을 깨달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는 도덕적인 삶을 살면 손해 보는 세상을 만들지 않기 위해 교사라는 직분을 떠나 한 인간으로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76페이지
  • 등록일2019.03.14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13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