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거나 얘기 해주면서, 그런 행동을 할 때의 친구들의 평가들을 듣는다면, 대리적 강화에 의한 내재적 동기화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역할 놀이를 하면서 정직한 행동에 대해서는 칭찬을 해준다면 학습목표를 충분히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Ⅶ. 보고서를 마치면서
처음에는 낯설게 느껴진 이론이었다. 반두라라는 이름을 들어본 적은 있지만, 그동안 주의를 기울이거나 자세히 공부해본 적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조금씩 공부해 갈수록, 굉장히 친숙하고 공부할수록 공감이 가는 내용이 많았던 재미있던 이론이었다. 누구나 어느 정도 알고 있을 법한 내용이지만, 굉장히 체계적으로 잘 정리해 놓은 것에 놀랐다. 실제로 현장에 나가서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런 간접적인 이론보다는 실제로 개개인에게 칭찬을 하면서 행동을 지도한다면 더욱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제거효과적인 측면에서는 이 이론을 활용하는 것이 더욱더 효율적일 것같다.
반두라의 이론을 공부하면서 느낀 것은, 만약 교사가 된다면, 나의 행동에 더욱더 주의를 기울이고 아이들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게 되고 어떤 동기적 의미가 될 수 있을지를 잘 생각해야겠다는 것이다. 교사의 행동을 관찰하는 아이들에게 내가 행동을 잘해야 아이들이 올바른 학습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이 이론을 맹목적으로 신뢰하여 어떤 아이가 잘할 때마다 아이들에게 보란 듯이 칭찬하거나, 벌을 줘서는 안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들이 느끼기에는 차별을 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고, 벌을 준다면 자신을 미워한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런 점을 생각하면서도 이 이론을 활용하는 것은 굉장히 효율적일 수도 있다. 아이들의 입장에서는 모방심리가 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회학습이론을 통해서 아이들의 행동에 대한 동기부여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직접강화와 대리강화. 이 두 가지를 적절하게 잘 활용하는 것도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필요할 것 같다.
사회학습이론, 이름은 낯설었지만 그 내용은 익숙한 것이었다.
※ 참고 자료
- 반두라의 사회적 인지이론 : http://blog.naver.com/sjhu62?Redirect=Log&logNo=140066499371
- 위키 백과 - 알버트 반두라, 사회학습이론, 관찰학습
- 교육심리학 임기혁·임웅 저, 학지사
- 초등 학교 5학년 도덕 교사용 지도서
또한 역할 놀이를 하면서 정직한 행동에 대해서는 칭찬을 해준다면 학습목표를 충분히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Ⅶ. 보고서를 마치면서
처음에는 낯설게 느껴진 이론이었다. 반두라라는 이름을 들어본 적은 있지만, 그동안 주의를 기울이거나 자세히 공부해본 적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조금씩 공부해 갈수록, 굉장히 친숙하고 공부할수록 공감이 가는 내용이 많았던 재미있던 이론이었다. 누구나 어느 정도 알고 있을 법한 내용이지만, 굉장히 체계적으로 잘 정리해 놓은 것에 놀랐다. 실제로 현장에 나가서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런 간접적인 이론보다는 실제로 개개인에게 칭찬을 하면서 행동을 지도한다면 더욱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제거효과적인 측면에서는 이 이론을 활용하는 것이 더욱더 효율적일 것같다.
반두라의 이론을 공부하면서 느낀 것은, 만약 교사가 된다면, 나의 행동에 더욱더 주의를 기울이고 아이들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게 되고 어떤 동기적 의미가 될 수 있을지를 잘 생각해야겠다는 것이다. 교사의 행동을 관찰하는 아이들에게 내가 행동을 잘해야 아이들이 올바른 학습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이 이론을 맹목적으로 신뢰하여 어떤 아이가 잘할 때마다 아이들에게 보란 듯이 칭찬하거나, 벌을 줘서는 안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들이 느끼기에는 차별을 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고, 벌을 준다면 자신을 미워한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런 점을 생각하면서도 이 이론을 활용하는 것은 굉장히 효율적일 수도 있다. 아이들의 입장에서는 모방심리가 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회학습이론을 통해서 아이들의 행동에 대한 동기부여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직접강화와 대리강화. 이 두 가지를 적절하게 잘 활용하는 것도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필요할 것 같다.
사회학습이론, 이름은 낯설었지만 그 내용은 익숙한 것이었다.
※ 참고 자료
- 반두라의 사회적 인지이론 : http://blog.naver.com/sjhu62?Redirect=Log&logNo=140066499371
- 위키 백과 - 알버트 반두라, 사회학습이론, 관찰학습
- 교육심리학 임기혁·임웅 저, 학지사
- 초등 학교 5학년 도덕 교사용 지도서
추천자료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과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의 비교연구
사회학습이론(반두라학습이론, 관찰학습이론) 의미와 특성, 사회학습이론(반두라학습이론, 관...
아동기의 발달이론에서 행동주의 이론관련 관찰학습과 사회학습이론을 설명하고 아동이 부모...
행동주의 이론 발달과정, 행동주의 이론에 입각한 유아교육, 행동주의 이론의 아동관, 행동주...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C형]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C형]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반두라의 모델링으로 본 정의공동체와 배려공동체
알버트 반두라 - 사회학습이론과 초등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