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학연구법 ( 타당도 신뢰도 객관도 )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체육학연구법 ( 타당도 신뢰도 객관도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타당도
1. 타당도의 개념
2. 타당도의 역사
2. 타당도의 종류와 그에 관한 예
3. 주의해야 할 개념

신뢰도
1. 신뢰도의 개념
2. 신뢰도의 역사
2. 신뢰도의 종류와 그에 관한 예
3. 주의해야 할 개념

객관도
1. 객관도의 개념
2. 객관도의 종류와 그에 관한 예

본문내용

적 간단하다.
한계점으로는 동일한 측정도구를 두 번 적용함으로서 앞서 측정한 것이 두 번째 측정에 영향을 미친다. (연습과 기억이 측정에 영향을 미침)
전 , 후의 검사실시에서 여러 가지 검사조건을 똑같이 통제하기 어렵다.
검사를 두 번 실시하는 동안의 간격이 신뢰도에 영향을 미친다.
유사양식기법 (parallel-forms),복수구성법(multiple-form),동형검사신뢰도(동형성계수)
2가지 유사한 양식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한계점으로는 동형의 2개의 양식이 얼마나 평행한지 미리 확인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동등한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어렵다.
(문제는 다르면서 난이도와 변별도가 같은 문항 구성이 어렵다.)
반분법 (split-half,이분절기법) , 내적합치도(동질성계수) 신뢰도
하나의 특정도구를 임의로 반으로 나누어 각각 독립된 두 개의 척도를 사용함으로써 신뢰도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문항을 홀수-짝수(전반부-후반부) 로 나누어 상관관계를 계산하여 검사 내적 일관성을 확인.
장점으로는 검사-재검사의 단점을 보완하며 시간간격으로 인
한 영향을 피할 수 있다. 동일한 대상에 한번만 측정가능하다. 한계점으로는 두 부분이 같은 표준편차로 나와 있는 것인가 등의 문제를 고려해야 하며 완전히 동등하게 만들기는 어
렵다. 측정문항이 적을 때 적용하기 어렵다.
3. 주의해야 할 개념
⑴ 관찰점수(observed score)
X = XT + XE (원점수 + 오차점수)
① 진점수(true score) : 특정 대상에 대해 오차없이 동형의 측정을 반복하여 얻은 점수들의 평균값 혹은 기대값
② 오차점수(error score) : 무선오차의 영향을 받은 값
③ 따라서, 관찰점수의 분산은 진점수의 분산과 오차점수의 분산으로 구성된다.
S2X = S2T + S2E (진점수분산 + 오차점수 분산)
⑵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① 분산의 양의 제곱근으로서 데이터의 퍼짐 정도를 알 수 있다.
② 관측값 x1, x2, …, xn의 평균값을 m이라 할 때, 표준편차 σ를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③ 위의 식으로 볼 때, 표준편차가 0이라는 것은 관측 값이 모두 동일한 크기이며 표준편차가 클수록 관측값 중에는 평균에서 떨어진 값이 많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⑶ 표준오차(standard error)
① 표준오차는 진점수의 신뢰구간을 설정하고, 같은 검사에서 피검자들이 얻은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 해석하기 위해 사용된다.
② 검사를 반복했을 때 각 결과값의 평균이 전체 평균과 얼마나 차이를 보이는가를 알 수 있다.
бxav = 표준편차(б) / √(시행횟수N)
③ 위의 식으로 볼 때, 표준오차는 시행횟수가 많을수록 작아지며 표준편차가 작아야 표준오차도 작아짐을 알 수 있다.
客觀度 (객관도)
1.객관도의 개념
객관도(objectivity)란 한 측정의 결과에 대해 여러 검사자 혹은 채점자 사이에 어느 정도로 일치된 평가를 하느냐의 정도이다. 하나의 답안지를 놓고 한 교사는 50점, 다른 교사는 70점으로 채점을 하였다면 거기에는 객관성이 없는 것이다.
객관도는 검사자 또는 채점자 간의 신뢰도이다. 논문형 검사에서는 선택형 검사에서보다 채점자의 주관이나 편견등이 작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
2.객관도의 종류
상관(correlation)
채점 결과가 점수로 부여될 때, 각기 다른 채점자가 동일한 집단의 피험자에게 얼마나 유사하게 점수를 부여하였나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것을 통해서 채점자의 신뢰도를 추정해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관이 높으면 채점자가 유사하거나
동일한 채점기준을, 상관이 낮으면 채점자가 각기 다른 채점기준
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화가능도이론
채점자가 학습자의 수행을 평가할 때 검사상황, 검사형태, 분위기, 일시적 감정 같은 다양한 오차원이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것들을 여러 개의 구성요소로 세분하여 각각의 크기를 구하고. 그 오차요인들을 분석하여 측정 결과에 반영함으로써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한다.
일치도
관찰대상이나 피평가자의 행위, 수행결과에 점수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범주로 분류할 때 채점자간의 분류 일치도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관찰, 평가의 결과가 이름이나 유목으로 분류될 때 관찰자간 신뢰도를 추정하는 쉬운 방법이라고 한다.
매우 쉽다라는 것이 장점.
일치도는 평가자 혹은 관찰자에 의해서 관찰, 평가된 결과가 우연히 일치되는 부분이 과대 추정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3.19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15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