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김치 시료 및 배지
2) 유산균 분리 및 박테리오신 생산 균주 선발
3) 조박테리오신의 제조
4) 배양 시간에 따른 향균화성 변화 측정
5)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감수성 균주의 관찰
6) 박테리오신의 저해 활성 범위 측정
7) PCR을 이용한 박테리오신 유전자 증폭
3. 결과 및 고찰
4. 참고문헌
2. 본론
1) 김치 시료 및 배지
2) 유산균 분리 및 박테리오신 생산 균주 선발
3) 조박테리오신의 제조
4) 배양 시간에 따른 향균화성 변화 측정
5)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감수성 균주의 관찰
6) 박테리오신의 저해 활성 범위 측정
7) PCR을 이용한 박테리오신 유전자 증폭
3. 결과 및 고찰
4. 참고문헌
본문내용
s 속 균주를 저해하여 김치 스타터로 적용하였을 때 김치의 과숙을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한 Lb.sakei B16은 유해균을 저해하여 김치 및 발효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발효과정 중 경쟁 균주를 억제하여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산업적으로 유용한 스타터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김치 내에서 균들의 생육을 조절하고 김치의 저장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김치로부터 항균활성이 우수한 박테리오신 생산 유산균을 동정 및 박테리오신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항균활성이 뛰어난 Lb. sakei B16을 선발하였고 이 균주에서 생산되는 박테리오신은 pH와 열에 안정하고 일반적으로 박테리오신이 그람 양성균을 저해하는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 분리한 박테리오신은 그람 음성 유해균을 저해하여 넓은 저해 범위를 갖는 장점이 있다. 반면 trypsin, proteinase K, a-chymotrypsin을 처리하였을 때 항균 활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한 박테리오신은 다양한 환경 변화에서 안정하고 체내에 섭취되었을 때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분해됨으로써 인체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sakasin P cluster 염기서열 정보를 이용하여 Lb. sakei B16에서 박테리오신 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산균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이요하여 김치 제조 산업에서 스타터로 개발하여 김치 내에서 미생물의 생육을 조절하고 김치의 저장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4. 참고문헌
본 연구는 김치 내에서 균들의 생육을 조절하고 김치의 저장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김치로부터 항균활성이 우수한 박테리오신 생산 유산균을 동정 및 박테리오신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항균활성이 뛰어난 Lb. sakei B16을 선발하였고 이 균주에서 생산되는 박테리오신은 pH와 열에 안정하고 일반적으로 박테리오신이 그람 양성균을 저해하는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 분리한 박테리오신은 그람 음성 유해균을 저해하여 넓은 저해 범위를 갖는 장점이 있다. 반면 trypsin, proteinase K, a-chymotrypsin을 처리하였을 때 항균 활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한 박테리오신은 다양한 환경 변화에서 안정하고 체내에 섭취되었을 때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분해됨으로써 인체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sakasin P cluster 염기서열 정보를 이용하여 Lb. sakei B16에서 박테리오신 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산균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이요하여 김치 제조 산업에서 스타터로 개발하여 김치 내에서 미생물의 생육을 조절하고 김치의 저장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4. 참고문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