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실습 - 자원봉사자 및 후원관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활실습 - 자원봉사자 및 후원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금 상품은 장애대상(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유형(기각, 청각, 지체, 정신장애 등), 프로그램(재활프로그램, 재가방문, 상담 등)등이 있음.
(3) 모금의 목표작성
상위목표는 중장기 계획을 위한 조직, 인사, 예산 등의 내부 환경과 정치, 경제, 법, 제도 등 외부환경을 고려하여 작성
하위목표는 일정기간의 조직, 팀, 프로그램의 목표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세부계 획과 방법이 포함
목표작성의 순서
조사, 목표설정, 프로그램, 평가의 순서로 반복 진행.
효과적인 목표작성을 위해서는 구체적, 실현가능, 측정가능, 시간성 등이 명시되 어야 함.
3) 모금 프로그램
모금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들로는 DM, 이벤트, 정기후원, 인터넷모금, ARS 모금, 기업연계마케팅 등을 들 수 있음.
(1) DM
DM을 위해서는 발성 대상자 리스트, 겉봉투, 호소서신, 내용물, 반송 엽서 등이 필요.
겉봉투는 관심을 갖고 개봉해 보도록 디자인과 형식에 주의를 기울임.
호소서신에는 DM의 목적과 내용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설득력이 있도록 AIDA 의 원칙에 의해 작성
내용물에는 호소서신 이외에 브로셔, 사진, 관계기사, 초청장, 지로용지, 신청양 식 등이 들어감.
내용물에는 호소서신 이외에 브로셔, 사진, 관계기사, 초청장, 지로용지, 신청양식 등이 들어감.
(2) 이벤트
이벤트는 특별한 사건으로서 일상적 사건과는 구분됨.
이벤트의 목적은 기업이나 단체가 어떤 목적 달성을 위해 특정장소에서 사전계 획을 가지고 사람들에게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 등 오감을 통해 생생하고 생명력 있는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
이벤트는 사람들의 참여와 호응을 얻을 수 있는 흥미가 반드시 가미되어야 함.
(3) 정기후원
각 후원 프로그램의 내용과 장·단점
후원구분
내 용
성 격
장 점
단 점
결연후원
후원자와 이용자의 1:1 결연, 서신왕래, 만남추진
지정후원 결연 대상자만을 위하여 사용
물질적 지원 뿐 아니라 정신적 지지도 가능. 지속적인 지원
이용자의 신상공개에 따른 인격적 손상
사업후원
복지관의 일반적 사업을 위한 지원
운영비, 일반사업비사용 가능
후원금 사용의 용이성
후원의 호소력이 약함
프로그램후원
특정프로그램 후원:재활프로그램, 물리치료, 재가봉사 등
지정 프로그램만을 위해 사용
전문성의 강조로 후원의 효과성이 높음
프로그램 진행에 따른 한시적 후원
(4) 인터넷 모금
인터넷에서 홍보하는 방법을 웹 프로모션(Web promotion)이라고 하는데 웹 프 로모션은 서치엔진의 등록, E-Mail, BBS, News Group, Whats New, Webzine, Mailing List, Link Exchange, 배너 광고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효과성을 높 일 수 있음.
이중 효과적인 홍보를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작업이 홈페이지를 검색엔진에 등록하는 일.
(5) ARS모금
TV프로그램을 통해 실시된 ARS(audio response system)모금방식은 우리나라 의 많은 시민들이 참여하는 모금 프로그램이 됨.
이 서비스는 700국번의 교환회선에 자동응답장치인 ARS를 접속, 이용자가 전 화를 걸면 장치에 녹음된 ‘기부금 안내 멘트’를 이용자에게 들려주며 서비스 번 호별로 기부금액을 부과하게 되어 있음.
ARS는 방송, 캠페인 등을 통하여 모금상품에 대한 홍보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만 효과가 있음.
(6) 기업연계마케팅- CRM(cause-related marketing)
CRM 마케팅은 기존의 기업마케팅처럼 기업이 이윤을 사회에 환원하거나 기업 의 이미지 개선을 위하여 자선활동에 기부하는 형태의 모금 방법이 아님.
CRM 마케팅은 기업과 모금기관의 공동의 이익을 위해 동시에 프로모션을 하는 모금 방법 중의 하나.
기업이 자선 모금활동에 참여함으로써 기업의 이미지 고양은 물론 상품의 판매 촉진을 유발시키는 모금 방법으로 기업과 사회단체 모두에게 이익이 돌아가는 마케팅 방법.
6. 후원자 관리
1) 고객중심의 관리
후원자들이 자신의 후원행위에 대하여 만족하기 위해서는 후원기관의 철저한 서비스를 통하여 기관과 후원자 사이에 원활한 교환이 일어나야 함.
고객만족을 위한 ‘원활한 교환’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먼저 후원자를 일선에서 직접 만나는 직원들이 자신들의 업무와 환경에 만족해야 함.
보다 적극적인 후원자관리를 위해서는 후원자의 욕구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서 비스를 실시해야 함.
2) 후원자 정보관리와 서비스 체계의 구축
후원자의 정보관리는 후원자의 성별, 연령, 직업, 소득, 종교 등 후원자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후원형태, 후원금 전달경로, 후원금액의 크기, 후원지속 기 간, 후원관리 프로그램 등 마케팅 혼합요소에 관한 것들이 있는데 이들 정보 분 석에 따른 효과적인 전략은 후원자의 지속적인 후원행위에 관계있는 것.
잘못된 정보의 입력이나 관리는 후원자들로부터 신뢰를 잃게 되어 후원 중단과 같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
후원자 서비스를 잘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서비스 시스템을 가져야 함. 후원자 관리는 복지관의 후원자 담당자나 어느 한 사람이 하는 것이 아님.
3) 후원자관리 전산화 프로그램 개발
후원자 관리에 있어서 전화는 매우 중요. 왜냐하면 후원자 관리는 곧 데이터베 이스 관리이기 때문.
정확한 업무 분석과 효과적인 관리체계가 미흡한 상태에서 프로그램을 개발할 경우 업무의 전산화 작업이 비효율적이 됨.
4) 모금의 수칙
모금과 후원자 관리를 하는데 있어서 명심해야 할 몇 가지 수칙
① 모금은 단순히 돈을 모으는 것이 아닌 인간간의 신뢰와 관계에 관한 것이다.
② 필요를 알려라.
③ 사람이 사람에게 주는 것이다.
④ 후원자를 친구로 만들어라.
⑤ 후원자에 대한 많은 정보를 갖도록 하라.
⑥ 나이 드신 후원자가 더 좋은 후원자이다.
⑦ 현재의 후원자가 최대의 소스가 된다.
⑧ 후원금을 내는 과정을 간편하게 해주어라.
⑨ 요청하지 않은 것은 받지 마라.
⑩ 다양한 경영의 방법을 모금에 활용하라.
⑪ 끊임없는 모금의 가능성을 시도하라.
⑫ 모금 기회를 포착하라.
⑬ 언제나 “감사합니다.”라고 말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9.03.19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21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