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목차
1. 반두라
2. 인지행동수정(Congnitive Behavior Modification: CBM)
3. 초인지 이론
4. 부가적 인지 기법들
5. 피드포워드(Feed-Forward)
6. 인지적 재 구조화
7. 아동용 인지검사
8. 페그워드방법(Pegword), 문자전략(Initial-letter strategies)
9. CSI
10. 인지적 모델과 인지발달이론이 혼동되어서는 안되는 이유
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중재 효과 연구의 동향과 과제
12. META-analyses of What Works in Sepcial Education and Related Services
13. 참고문헌
2. 인지행동수정(Congnitive Behavior Modification: CBM)
3. 초인지 이론
4. 부가적 인지 기법들
5. 피드포워드(Feed-Forward)
6. 인지적 재 구조화
7. 아동용 인지검사
8. 페그워드방법(Pegword), 문자전략(Initial-letter strategies)
9. CSI
10. 인지적 모델과 인지발달이론이 혼동되어서는 안되는 이유
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중재 효과 연구의 동향과 과제
12. META-analyses of What Works in Sepcial Education and Related Services
13. 참고문헌
본문내용
비합리적 신념을 논박하도록 하는 것이다.
(4) 새로운 진술문의 사용 : 내담자는 절대적인 \"해야 한다(should, must, ought)\"를 절대적이 아닌 \"하고 싶다(preferable)\"로 대치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인 사고로 자신을 진술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2) 정서적 기법
(1) 합리적 정서적 이미지 : 내담자로 하여금 습관적으로 부적절한 느낌이 드는 장면도 생생하게 상상하도록 한다. 그리고 그 장면에서의 부적절한 행동을 적절한 행동으로 바꾸도록 한다.
(2) 역할 놀이 : 내담자는 문제행동과 관련된 장면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알기 위하여 그 장면에서의 행동을 시도해 본다.
(3) 부끄러움-공격 연습 : 행동에 대해 주위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할 지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하고 싶은 행동을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실제로 행동을 해 보도록 하는 훈련이다.
(4) 무조건적 수용 : 내담자의 어떤 말이나 행동을 무조건적으로 수용하는 기술이다.
(5) 시범 : 내담자가 겪고 있는 정서적 혼란에 대해 그것과 다르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들의 생각이나 행동을 상담자가 연출해 보여 주는 것이다.
(6) 유머 : 내담자에게 혼란을 일으키는 어떤 생각을 줄이기 위해 상담자가 유머를 사용한다.
3) 행동적 기법
RET는 인지적 행동적 상담의 한 형태이기 때문에 행동적 상담기법(조작적 조건화, 자기관리, 체계적 둔감법, 도구적 조건화, 생체 자기제어, 이완 등)을 거의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행동적 상담에서의 행동적 기법은 내담자의 생각이나 정서와는 상관없이 행동의 변화에만 초점을 두지만, RET에서의 행동적 기법은 행동의 변화뿐만 아니라 생각, 더 나아가 정서까지도 변화시키려는데 더 주안점을 둔다.
5. 요약 및 평가
RET는 인간의 생각이 정서와 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정에 근거를 두고 있다. 즉 비이성적, 비논리적, 비합리적인 신념들을 가지고 있는 내담자를 RET의 핵심 이론인 ABCDE모형을 적용하여 보다 이성적이며,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신념으로 대치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내담자의 인생관을 보다 긍정적으로 바꾸도록 하는데 있다.
1) 기여한 점
(1) 상담의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해 준 점이다.
(2) 인간의 생각, 신념, 자기언어와 같은 인지적인 면이 경험이나 느낌만큼 인간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본 점이다.
(3) 통찰된 것을 행동으로 옮겨야 함을 강조한 점이다.
(4) 포괄적이고 절충적인 상담과정에 강조 점을 두었다는 점이다.
(5) 정서적 장애와 문제행동의 원인 및 이의 해결방법을 아주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6) 과거 불행한 사건의 무기력한 희생자가 아니라는 반 결정론적 관점이다.
(7) 상담자의 직접적인 중재 전략 없이 자신의 치료법을 이행할 수 있는 방법을 내담자에게 가르칠 수 있다는 점이다.
2) 제한점
(1) 이 이론이 모든 내담자에게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해서는 안 된다.
(2) 과거 경험을 경시한다는 점.
(3) 자발성이 없는 내담자에게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4) 다른 치료법에 비해 지시적이어서 상담자의 철학적 관점이나 가치가 내담자에게 강요될 수 있다는 점.
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중재 효과 연구의 동향과 과제
요약 : 심한 주의력 결핍, 충동성 및 과잉행동의 특성을 보이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약물처치 효과에서 나타난 제한점은 교육적 중재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적 중재 효과에 관한 연구 결과들을 검토해 봄으로써 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추후에 다루어져야 할 연구 과제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검토 결과 행동지도 중재 전략의 단기 효과, 긍정적이나 미약한 학업적 중재효과, 인지행동 수정 중재의 비효과성 선행자극에 의한 학업성취도 향상보다는 후속자극에 초점을 둔 행동변화, 기존 연구들의 방법론적 결함. 학업적 중재 효과 연구의 부족, 실험실 연구 결과의 교실 현장 적용상의 문제점. 유지/일반화 평가를 위한 장기 추적효과 연구의 부재. 다양식적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연구의 제한점. 개별 학생 특성과 중재 방법 일치를 위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 등이 관찰되었고, 이와 관련하여 추후 이루어져야 할 연구 과제들을 논의하였다.
[표 1] ADHD 메타분석 연구들의 세 실험연구 방안에 따른 행동, 인지 및 학업 측정치의 평균 효과 크기 비교
연구
방안
집단간 비교방안
집단내 비교방안
단일대상 방안
연구자
연구수
(기간)
연구
대상
중재방법
측정치
BM
CB
AI
BM
CB
AI
BM
CB
AI
Baer & Nietzel(1991)
36
(1968-1989)
4-17세
충동적
(ADHD
대상 : 19%)
행동
M = .77
-
Pelham 외
(1993)
31명
(1993)
5-10세
ADHD
(약물투여안함)
행동
-
-
M = 1.24
(SD = 2.08)
Dupaul & Echert
(1997)
63
(1971-1995)
5-15세
ADHD
(약물투여안함)
행동
M = .45
N.S
M = .64
.94 .19 .69
M = 1.16
1.44 .8 1.61
학업
-
M = .31
.11 .46 .20
M = .82
N.S
* 참고문헌 *
· 인터넷 사이트 : 이보연의 놀이치료실 (http://www.playthrapy.ne.kr)
· 김충기·김현옥 공저(1993), 상담과 심리치료의 원리와 실제, 서울:성원사
· 대학상담학회(1994), 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 이장호(1995), 상담심리학, 서울 : 박영사
· 이형득(1994), 상담이론, 서울 : 교육과학사
· 이형득외(1995), 상담의 이론적 접근, 서울 : 형설출판사
· 전윤식,강영심,황순영 옮김(2004). 행동치료. 시그마프레스
· 마정건 외. 교욱심리학. 공주대 출판부
· 이봉건 역. 이상심리학. 시그마프레스
· 박권생 역. 정서심리학. 학지사
· 특수교육학회편. 특수교육학연구. 특수교육학회
· 남미애(서울교육연수원 교육연구사). 인간의 두뇌에 부응하는 학습전략
(4) 새로운 진술문의 사용 : 내담자는 절대적인 \"해야 한다(should, must, ought)\"를 절대적이 아닌 \"하고 싶다(preferable)\"로 대치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인 사고로 자신을 진술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2) 정서적 기법
(1) 합리적 정서적 이미지 : 내담자로 하여금 습관적으로 부적절한 느낌이 드는 장면도 생생하게 상상하도록 한다. 그리고 그 장면에서의 부적절한 행동을 적절한 행동으로 바꾸도록 한다.
(2) 역할 놀이 : 내담자는 문제행동과 관련된 장면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알기 위하여 그 장면에서의 행동을 시도해 본다.
(3) 부끄러움-공격 연습 : 행동에 대해 주위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할 지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하고 싶은 행동을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실제로 행동을 해 보도록 하는 훈련이다.
(4) 무조건적 수용 : 내담자의 어떤 말이나 행동을 무조건적으로 수용하는 기술이다.
(5) 시범 : 내담자가 겪고 있는 정서적 혼란에 대해 그것과 다르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들의 생각이나 행동을 상담자가 연출해 보여 주는 것이다.
(6) 유머 : 내담자에게 혼란을 일으키는 어떤 생각을 줄이기 위해 상담자가 유머를 사용한다.
3) 행동적 기법
RET는 인지적 행동적 상담의 한 형태이기 때문에 행동적 상담기법(조작적 조건화, 자기관리, 체계적 둔감법, 도구적 조건화, 생체 자기제어, 이완 등)을 거의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행동적 상담에서의 행동적 기법은 내담자의 생각이나 정서와는 상관없이 행동의 변화에만 초점을 두지만, RET에서의 행동적 기법은 행동의 변화뿐만 아니라 생각, 더 나아가 정서까지도 변화시키려는데 더 주안점을 둔다.
5. 요약 및 평가
RET는 인간의 생각이 정서와 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정에 근거를 두고 있다. 즉 비이성적, 비논리적, 비합리적인 신념들을 가지고 있는 내담자를 RET의 핵심 이론인 ABCDE모형을 적용하여 보다 이성적이며,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신념으로 대치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내담자의 인생관을 보다 긍정적으로 바꾸도록 하는데 있다.
1) 기여한 점
(1) 상담의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해 준 점이다.
(2) 인간의 생각, 신념, 자기언어와 같은 인지적인 면이 경험이나 느낌만큼 인간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본 점이다.
(3) 통찰된 것을 행동으로 옮겨야 함을 강조한 점이다.
(4) 포괄적이고 절충적인 상담과정에 강조 점을 두었다는 점이다.
(5) 정서적 장애와 문제행동의 원인 및 이의 해결방법을 아주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6) 과거 불행한 사건의 무기력한 희생자가 아니라는 반 결정론적 관점이다.
(7) 상담자의 직접적인 중재 전략 없이 자신의 치료법을 이행할 수 있는 방법을 내담자에게 가르칠 수 있다는 점이다.
2) 제한점
(1) 이 이론이 모든 내담자에게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해서는 안 된다.
(2) 과거 경험을 경시한다는 점.
(3) 자발성이 없는 내담자에게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4) 다른 치료법에 비해 지시적이어서 상담자의 철학적 관점이나 가치가 내담자에게 강요될 수 있다는 점.
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중재 효과 연구의 동향과 과제
요약 : 심한 주의력 결핍, 충동성 및 과잉행동의 특성을 보이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약물처치 효과에서 나타난 제한점은 교육적 중재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적 중재 효과에 관한 연구 결과들을 검토해 봄으로써 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추후에 다루어져야 할 연구 과제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검토 결과 행동지도 중재 전략의 단기 효과, 긍정적이나 미약한 학업적 중재효과, 인지행동 수정 중재의 비효과성 선행자극에 의한 학업성취도 향상보다는 후속자극에 초점을 둔 행동변화, 기존 연구들의 방법론적 결함. 학업적 중재 효과 연구의 부족, 실험실 연구 결과의 교실 현장 적용상의 문제점. 유지/일반화 평가를 위한 장기 추적효과 연구의 부재. 다양식적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연구의 제한점. 개별 학생 특성과 중재 방법 일치를 위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 등이 관찰되었고, 이와 관련하여 추후 이루어져야 할 연구 과제들을 논의하였다.
[표 1] ADHD 메타분석 연구들의 세 실험연구 방안에 따른 행동, 인지 및 학업 측정치의 평균 효과 크기 비교
연구
방안
집단간 비교방안
집단내 비교방안
단일대상 방안
연구자
연구수
(기간)
연구
대상
중재방법
측정치
BM
CB
AI
BM
CB
AI
BM
CB
AI
Baer & Nietzel(1991)
36
(1968-1989)
4-17세
충동적
(ADHD
대상 : 19%)
행동
M = .77
-
Pelham 외
(1993)
31명
(1993)
5-10세
ADHD
(약물투여안함)
행동
-
-
M = 1.24
(SD = 2.08)
Dupaul & Echert
(1997)
63
(1971-1995)
5-15세
ADHD
(약물투여안함)
행동
M = .45
N.S
M = .64
.94 .19 .69
M = 1.16
1.44 .8 1.61
학업
-
M = .31
.11 .46 .20
M = .82
N.S
* 참고문헌 *
· 인터넷 사이트 : 이보연의 놀이치료실 (http://www.playthrapy.ne.kr)
· 김충기·김현옥 공저(1993), 상담과 심리치료의 원리와 실제, 서울:성원사
· 대학상담학회(1994), 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 이장호(1995), 상담심리학, 서울 : 박영사
· 이형득(1994), 상담이론, 서울 : 교육과학사
· 이형득외(1995), 상담의 이론적 접근, 서울 : 형설출판사
· 전윤식,강영심,황순영 옮김(2004). 행동치료. 시그마프레스
· 마정건 외. 교욱심리학. 공주대 출판부
· 이봉건 역. 이상심리학. 시그마프레스
· 박권생 역. 정서심리학. 학지사
· 특수교육학회편. 특수교육학연구. 특수교육학회
· 남미애(서울교육연수원 교육연구사). 인간의 두뇌에 부응하는 학습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