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본과 pk 실습] 심근병증의 진단 및 치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대 본과 pk 실습] 심근병증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talis, diuretics, nitrate, -agonist, alcohol
8) prognosis
(1) 환자의 clinical course를 바꾸는 합병증
① a-fib: 비교적 말기에 나타남, 심방 수축에 따른 ventricular filling감소
② infective endocarditis: <10%, resting obstruction이나 MR이 동반된 경우 예방적 치료를 해야한다.
(2) sudden death
① 주요 사망 원인(mortality 1%/yr)
② 증상의 severity와 급사 위험은 관계 없고, LV outflow tract pressure gradient정도와 관련
4. Restrictive cardiomyopathy
1) 특징
(1) 주로 이완기능의 장애
rigid ventricular wall→ventricular filling↓→cardiac output↓
(2) myocardial fibrosis, hypertrophy, infilltrative disease, heart transplantion, mediastinal irradiation, carcinoid syndrome등과 연관
(3) thromboembolic complication: ~1/3 정도에서 발생
(4) infiltrative disease
amyliodosis, hemochromatosis, glycogen storage disease, scarcoidosis, neoplastic infilltration, eosinophilias, scleroderma, endomyocardial fibrosis, Fabry\'s disease
2) Symptom
(1) exercise intolerance, dyspnea: CO 감소
(2) dependent edema, ascities, hepatomegaly(tender, pulsatile liver): venous pressure 증가
(3) Kussmaul\'s sing: JVP 가 흡기시 오히려 상승
(4) ausculation: distant heart sound, S3, S4
3) Diagnosis
(1) ECG: low valtage, nonspecific ST-T change, various arrhythmia
(2) echocardiography
① symmetric LV wall thickness↑, ventricular cavity size↓
② 심실 크기, 수축기능은 정상이거나 약간 감소, Doppler시 이완기 초기 심실에 대한 혈액 유입이 끝나버리 는 현상
(3) cardiac catheterization
① CO↓, LV/RV end diastolic pressure↑
② 심실 파형 관찰시 square root sign
4) Treatment
(1) 대개 CHF에 대한 대증적 치료 시행
(2)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
(3) hypertrophic cardiomyopathy와는 다르게 심실 수축기능은 정상에 가깝기 때문에 digitalis, 혈관 이완제는 도움 안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3.19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21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