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스가 이 책에서 주장한 포스트모더니즘적 시각에서 바라본 역사학이라는 주제에 대해 전반적으로는 찬성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나에게는 그렇다면 성서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하는 과제가 제일먼저 떠올라 읽는 동안에도 몇 번씩이고 떠올랐고 그다음엔 내가 배운 역사들에 대한생각들 이다. 우리는 역사를 배울 때 그 당시의 시대상이나 자세한 배경까지 배우지는 않기 때문이다.(사실 이해나 의견의 공유로서의 교육이 아닌 외우기에 급급한 교육에 문제도 있을 것..) 이러한 과제(스스로의)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고민해보아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과제들에 대해 생각을 계속하다가 아직 내가 포스트모더니즘을 가지고 이 사회를 이해 해보고자하는 시도조차도, 너무 아는 것이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사고를 통해 내가 배운것들과 배우는 것들을 자세히 들여다본다면 젠킨스가 말한 새로운 창조 외에도 이사회의 극을 달리는 사회의 부조리 빈부의 차이 등과 같은 문제에 있어서도 새로운 제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현재로는 나의 지식의 한계로 젠킨스의 전제적인 글을 충분히 공감하거나 아는 것이 쉽지 않지만 이렇게 기록한 내용으로 충분히 나에게 유익한 독서였다고 생각한다. 또한, 처음 “누구를 위한역사인가?”라는 그 제목을 접하였을 때와는 달리, 독서를 마치고 이렇게 어느 정도 정리까지 하게 된 지금은 그 제목만으로도 나에게 여러 현상들을 바라볼 때에 이미 많은 과제를 주며 또한, 새로운 사고(스스로 어느 정도 이해한 포스트모더니즘에 입각한..)를 가능하게 것이라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현대의 서양문화 B형] 현대서양의 대중문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들 중에서 비서구 사회에도 널...
역사적 사실의 의미에 대한 考
[역사의식, 역사, 역사교육, 역사학, 역사게임, 고려시대, 춘원 이광수]역사의식의 정의, 역...
[한국교회논쟁사] 케이스 젠킨스의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한국교회 논쟁사]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서평
[한국교회 논쟁사]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감상문
[한국교회 논쟁사]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인식론 방법론 이데올로기 등)
[한국교회논쟁사 독서보고]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한국교회 논쟁사] 키스 젠킨스의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