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화 ‘도모구이’
2. 영화 ‘유다’
2. 영화 ‘유다’
본문내용
의 문화는 한 가지 의미만 가진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유다의 경우에도 현대사회와 같이, 선인인지, 악인인지 판가름할 수가 없다. 영화에 대한 질문의 답은 관객 스스로 찾아야 한다. 그리고 이 영화를 만든 계기는, 1907년 안드레이프 작가의 원작에서 모티브를 따왔고, 칼 두 자루의 의미는 딱히 없다.
※나의 생각 : 영화는 소통이란 말을 많이 들었다. 하지만, 같은 것을 보고도 다른 것을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사람이라고도 생각한다. 흔히들 하는 말로 [물이 반 컵이나 남았네? 물이 반밖에 안 남았잖아?]처럼 말이다. 일방적 소통은 얼마나 잔인한가? 여러 생각을 나누고, 또 다시 생각하고 풀이할 수 있다면, 그처럼 좋은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Q.(관람객) 예수의 부활장면이 없는데?
A.[감독] 열린 결말이다. 이 영화는 역사적보다, 철학적으로 생각해야되고, 종교적 문제라고 생각한다.
※나의 생각 : 어쩌면 이 영화는 성서에 나온 것들을 곧이곧대로 풀이한 것이 아니라, 유다와 예수, 열두제자의 인간적인 이해관계에서 시작하고 싶었던 것 같다. 그래서 성서에 나온, 흔히 말할 수 있는 기적같은 판타지 요소를 제외한 것 같다.
Q. (관람객) 최근 유다서가 발견
※나의 생각 : 영화는 소통이란 말을 많이 들었다. 하지만, 같은 것을 보고도 다른 것을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사람이라고도 생각한다. 흔히들 하는 말로 [물이 반 컵이나 남았네? 물이 반밖에 안 남았잖아?]처럼 말이다. 일방적 소통은 얼마나 잔인한가? 여러 생각을 나누고, 또 다시 생각하고 풀이할 수 있다면, 그처럼 좋은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Q.(관람객) 예수의 부활장면이 없는데?
A.[감독] 열린 결말이다. 이 영화는 역사적보다, 철학적으로 생각해야되고, 종교적 문제라고 생각한다.
※나의 생각 : 어쩌면 이 영화는 성서에 나온 것들을 곧이곧대로 풀이한 것이 아니라, 유다와 예수, 열두제자의 인간적인 이해관계에서 시작하고 싶었던 것 같다. 그래서 성서에 나온, 흔히 말할 수 있는 기적같은 판타지 요소를 제외한 것 같다.
Q. (관람객) 최근 유다서가 발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