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체감 발달과 관련된 요인
I. 정체감 상태와 부모의 특성
1) 정체감 혼란
2) 정체감 유실
3) 정체감 유예
4) 정체감 획득
II. 성과 정체감 발달의 관계
III. 정체감 상태와 종교적 가치관
1) 정체감 유실
2) 정체감 유예
3) 정체감 혼란
4) 정체감 획득
* 참고문헌
I. 정체감 상태와 부모의 특성
1) 정체감 혼란
2) 정체감 유실
3) 정체감 유예
4) 정체감 획득
II. 성과 정체감 발달의 관계
III. 정체감 상태와 종교적 가치관
1) 정체감 유실
2) 정체감 유예
3) 정체감 혼란
4) 정체감 획득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는 연구도 있다.
그러나 융통성 있는 정체감은 타인과의 관계에 의해 정체감 상태가 결정되기 때문에, 혼란이나 갈등 혹은 자기부정을 경험하게 하고, 불안정하고 상처받기 쉬운 속성을 지니고 있어 자기정의의 발달을 지연시키고 인생에 대한 불확실감을 증가시킨다.
III. 정체감 상태와 종교적 가치관
마샤(Marda, 1980)의 네 가지 정체감 상태와 종교적 가치관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1. 정체감 유실
부모의 종교적 신념을 무조건 수용한다.
2. 정체감 유예
정체감 획득을 위해 능동적 탐색을 시도한다. 아직 종교적 가치관을 확립하지는 못했지만 종교문제에 의문을 갖고 시험하며 종교교리에 대해 심사숙고 한다.
3. 정체감 혼란
정체감 획득을 위해 어떤 노력도 기울이지 않는 사람으로 종교문제에 대해 의문조차 갖지 않는다. 어떤 사람들은 의문을 제기하기는 하지만 만족스러운 해답을 얻지 못하고 정신적 소외를 경험한다.
4. 정체감 획득
종교적 가치관을 확립하고 인생의 안내자로서의 종교를 수용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그러나 융통성 있는 정체감은 타인과의 관계에 의해 정체감 상태가 결정되기 때문에, 혼란이나 갈등 혹은 자기부정을 경험하게 하고, 불안정하고 상처받기 쉬운 속성을 지니고 있어 자기정의의 발달을 지연시키고 인생에 대한 불확실감을 증가시킨다.
III. 정체감 상태와 종교적 가치관
마샤(Marda, 1980)의 네 가지 정체감 상태와 종교적 가치관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1. 정체감 유실
부모의 종교적 신념을 무조건 수용한다.
2. 정체감 유예
정체감 획득을 위해 능동적 탐색을 시도한다. 아직 종교적 가치관을 확립하지는 못했지만 종교문제에 의문을 갖고 시험하며 종교교리에 대해 심사숙고 한다.
3. 정체감 혼란
정체감 획득을 위해 어떤 노력도 기울이지 않는 사람으로 종교문제에 대해 의문조차 갖지 않는다. 어떤 사람들은 의문을 제기하기는 하지만 만족스러운 해답을 얻지 못하고 정신적 소외를 경험한다.
4. 정체감 획득
종교적 가치관을 확립하고 인생의 안내자로서의 종교를 수용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