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아개념
2. 자존감
3. 자아정체감이란 무엇인가
4. 자아정체감은 왜 청년기에 문제가 되는가
5. 자아정체감의 형성
6. 마르샤(Marcia)의 자아정체감의 네 범주
7. 자아정체감 상태와 관련변인
8. 자아정체감 발달에 있어서의 성(性)차
9. 자아정체감과 문화
2. 자존감
3. 자아정체감이란 무엇인가
4. 자아정체감은 왜 청년기에 문제가 되는가
5. 자아정체감의 형성
6. 마르샤(Marcia)의 자아정체감의 네 범주
7. 자아정체감 상태와 관련변인
8. 자아정체감 발달에 있어서의 성(性)차
9. 자아정체감과 문화
본문내용
② 남성에게는 정체감 형성이 친밀감에 선행하지만, 여성의 경우는 친밀감이 정체감에 선행한다고 믿음 → 여성에게는 대인관계와 정서적 친밀감이 보다 더 중요하고, 남성에게는 자율과 성취가 보다 더 중요하다고 믿는 견해와 일치
③ Marcia의 청년들의 인성특성을 알아본 연구결과도 뚜렷한 성(性)차를 보여줌
㉠ 남성
: 정체감 성취의 남성들은 자신감과 독립심 및 융통성이 있고, 정체감 유예는 정체감 성취자와 많은 특성을 공유하며, 정체감 유실은 권위주의적이고 고정 관념적이며 부모의 가치관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자기방어적임
→ 정체감 성취와 유예는 모두 위기를 경험하므로 Marcia는 남자는 청년후기에 반드시 위기를 경험해야 한다고 결론지음
㉡ 여성
: 정체감 성취자의 정서적 성숙수준이 제일 높고, 다음이 정체감 유실, 정체감 유예(정체감 혼미자와 비슷)순으로 나타남
→ 정체감 성취와 유실간의 유사점은 수행으로 개인의 현재의 활동과 미래의 기대에 안정성을 가져다 줌(정체감 성취자는 지신의 내적 준거틀에 의해, 유실자는 부모의 신념에 따라 수행을 이룸)
④ 정체감 위기 모델이 여성의 정체감 발달을 설명하는데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Gallatin, 1975)
→ Erikson이 말하는 청년기 정체감 위기의 부분위기 대부분이 ‘남성적’인 것이기 때문에 위기와 수행을 거쳐 정체감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여성의 경우는 정체감 확립을 위해 반드시 위기를 경험할 필요가 없다라고 봄
⑤ 여성의 정체감 발달의 개념화는 대인관계라는 측면을 포함해야 함
→ 정체감 형성이라는 발달과업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복잡(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은 영역에서 정체감을 확립해야 하기 때문)
9. 자아정체감과 문화
많은 심리학자들은 자아정체감 성취는 청년발달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
① Enker(1971) : 상당히 많은 문화권에서의 아동(특히 가난한 계층의 아동)들은 어린 시절부터 노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심리적 유예기간을 경험할 수 없다고 함, 이런 아동은 독특한 자기만의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해 다양한 역할, 신념, 느낌 등을 시험해볼 시간이 없다는 것
② Baumrind(1975) : 자아정체감은 서구의 중산층 젊은이에게만 적용되는 발달과업일지도 모른다고 함 즉 서구 청년들의 세계는 다른 문화권의 청년들과는 경험세계가 다르다는 것( 많은 나라에서는 13세가 되면 성인의 책임을 수행하고 심리적 성인의식 등을 갖는다고 함)
③ Marcia의 청년들의 인성특성을 알아본 연구결과도 뚜렷한 성(性)차를 보여줌
㉠ 남성
: 정체감 성취의 남성들은 자신감과 독립심 및 융통성이 있고, 정체감 유예는 정체감 성취자와 많은 특성을 공유하며, 정체감 유실은 권위주의적이고 고정 관념적이며 부모의 가치관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자기방어적임
→ 정체감 성취와 유예는 모두 위기를 경험하므로 Marcia는 남자는 청년후기에 반드시 위기를 경험해야 한다고 결론지음
㉡ 여성
: 정체감 성취자의 정서적 성숙수준이 제일 높고, 다음이 정체감 유실, 정체감 유예(정체감 혼미자와 비슷)순으로 나타남
→ 정체감 성취와 유실간의 유사점은 수행으로 개인의 현재의 활동과 미래의 기대에 안정성을 가져다 줌(정체감 성취자는 지신의 내적 준거틀에 의해, 유실자는 부모의 신념에 따라 수행을 이룸)
④ 정체감 위기 모델이 여성의 정체감 발달을 설명하는데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Gallatin, 1975)
→ Erikson이 말하는 청년기 정체감 위기의 부분위기 대부분이 ‘남성적’인 것이기 때문에 위기와 수행을 거쳐 정체감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여성의 경우는 정체감 확립을 위해 반드시 위기를 경험할 필요가 없다라고 봄
⑤ 여성의 정체감 발달의 개념화는 대인관계라는 측면을 포함해야 함
→ 정체감 형성이라는 발달과업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복잡(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은 영역에서 정체감을 확립해야 하기 때문)
9. 자아정체감과 문화
많은 심리학자들은 자아정체감 성취는 청년발달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
① Enker(1971) : 상당히 많은 문화권에서의 아동(특히 가난한 계층의 아동)들은 어린 시절부터 노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심리적 유예기간을 경험할 수 없다고 함, 이런 아동은 독특한 자기만의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해 다양한 역할, 신념, 느낌 등을 시험해볼 시간이 없다는 것
② Baumrind(1975) : 자아정체감은 서구의 중산층 젊은이에게만 적용되는 발달과업일지도 모른다고 함 즉 서구 청년들의 세계는 다른 문화권의 청년들과는 경험세계가 다르다는 것( 많은 나라에서는 13세가 되면 성인의 책임을 수행하고 심리적 성인의식 등을 갖는다고 함)
추천자료
에릭슨(Erikson)의 생애, 에릭슨(Erikson)의 인간관, 에릭슨(Erikson)의 기본가정과 에릭슨(E...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한국사회에서 대학생의 의미와 정체성
아동발달과 아동상담
에릭슨의 8단계 발달과업을 단계별로 논하시오
청소년 시기의 자아발달
에릭슨의 자아심리학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한 발달단계의 특성과 사회복지실천의 과제를 본인...
에릭슨이 제시한 발달단계의 단계별 발달과업을 나의 삶에 적용시켜 설명.
[성인학습 및 상담론 공통] 에릭슨(Erikson), 레빈슨(Levinson), 로에빙거(Loevinger)의 발달...
청소년기 인간의 행동, 심리적, 사회적 발달에 관한 이론을 정리하고,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
성인학습 및 상담론 에릭슨(Erikson) 레빈슨(Levinson) 로에빙거(Loevinger)의 발달이론을 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