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배려윤리
2. 나의 사례
3. 교과서 적용 사례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배려윤리
2. 나의 사례
3. 교과서 적용 사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한경직 3사람에 불가하고 나머지 20명은 공적인 영역에서 정의도덕성을 구현한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교과서에 도덕적 인물 중 훌륭한 배려자로서의 모델이 부족하다. 나딩스가 주장했던 것처럼 모델링의 방법은 배려윤리의 교육을 위해 효과적인 방법이므로, 이 부분에 있어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배려의 의미를 지나치게 협소하게 해석하고 있다. 성숙한 배려자는 자신과 타인을 조화롭게 함께 배려하는 사람이다. 또한 배려는 희생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적인 것이다. 따라서 배려의 대상은 자신을 포함하여 가족, 친구, 친척, 이웃, 사회, 전 인류이다. 그런데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는 배려의 의미를 편협적으로 해석하며 배려의 대상을 낯선 타인으로 한정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배려를 희생적이고 헌신적인 것으로 잘못 설명하고 있다.
Ⅲ. 결론
길리간과 나딩스의 배려윤리에 대해 공부하면서 배려라는 것이 성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을 알게 되면서 신기함을 느꼈다. 하지만 이 두 학자가 내세우는 것은 성별에 따라 나타는 도덕성이 다르다는 것이 아니라 정의의 도덕성과 배려의 도덕성이 통합될 때, 훌륭한 사람, 도덕적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에서 계속 말해왔던 것처럼 우리의 교육은 정의의 도덕성만을 중시해왔다. 그로 인해 개인간의 단절과 불신, 도덕적 무관심, 학교폭력, 청소년 가출, 성범죄와 같은 도덕적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배려의 윤리, 감정과 정서적인 측면에서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배려윤리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재구성과 학교 구조적인면에서의 개선이 필요하겠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교사의 역할이다. 아이들과 몸으로 부딪히며, 마음을 나누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교과서나, 학교가 아니라 바로 교사이기 때문이다. 교사가 어머니와 같은 배려가자 되어 학급을 가정과 같이 사랑과 배려의 공동체로 운영한다면 교실에서 일어나는 갈등과 불신, 교실붕괴, 교실폭력과 자살자의 증가 등과 같은 도덕적 문제는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과연 이러한 교사가 될 수 있을까? 라는 물음을 던지면서 이번 과제를 끝마친다.
참고문헌
<배려윤리와 도덕교육> 박병춘. 2002. 울력
<배려교육론> 넬 나딩스 지음/ 추병완, 박병춘, 황인표옮김. 2002.다른우리
道德倫理科敎育(도덕윤리과교육) vol 21-22
p.247~270 <배려윤리의 초등도덕과교육에의 적용방안> 박병춘
배려의 의미를 지나치게 협소하게 해석하고 있다. 성숙한 배려자는 자신과 타인을 조화롭게 함께 배려하는 사람이다. 또한 배려는 희생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적인 것이다. 따라서 배려의 대상은 자신을 포함하여 가족, 친구, 친척, 이웃, 사회, 전 인류이다. 그런데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는 배려의 의미를 편협적으로 해석하며 배려의 대상을 낯선 타인으로 한정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배려를 희생적이고 헌신적인 것으로 잘못 설명하고 있다.
Ⅲ. 결론
길리간과 나딩스의 배려윤리에 대해 공부하면서 배려라는 것이 성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을 알게 되면서 신기함을 느꼈다. 하지만 이 두 학자가 내세우는 것은 성별에 따라 나타는 도덕성이 다르다는 것이 아니라 정의의 도덕성과 배려의 도덕성이 통합될 때, 훌륭한 사람, 도덕적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에서 계속 말해왔던 것처럼 우리의 교육은 정의의 도덕성만을 중시해왔다. 그로 인해 개인간의 단절과 불신, 도덕적 무관심, 학교폭력, 청소년 가출, 성범죄와 같은 도덕적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배려의 윤리, 감정과 정서적인 측면에서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배려윤리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재구성과 학교 구조적인면에서의 개선이 필요하겠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교사의 역할이다. 아이들과 몸으로 부딪히며, 마음을 나누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교과서나, 학교가 아니라 바로 교사이기 때문이다. 교사가 어머니와 같은 배려가자 되어 학급을 가정과 같이 사랑과 배려의 공동체로 운영한다면 교실에서 일어나는 갈등과 불신, 교실붕괴, 교실폭력과 자살자의 증가 등과 같은 도덕적 문제는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과연 이러한 교사가 될 수 있을까? 라는 물음을 던지면서 이번 과제를 끝마친다.
참고문헌
<배려윤리와 도덕교육> 박병춘. 2002. 울력
<배려교육론> 넬 나딩스 지음/ 추병완, 박병춘, 황인표옮김. 2002.다른우리
道德倫理科敎育(도덕윤리과교육) vol 21-22
p.247~270 <배려윤리의 초등도덕과교육에의 적용방안> 박병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