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서사회발달
I. 정서사회적 발달
1. 영아기
2. 걸음마기
II. 기질
1. 기질의 개념
2. 기질의 구성요소
III. 애착
1. 애착의 개념
2. 애착유형
1) 안정애착(B유형)
2) 회피애착(A유형)
3) 저항애착(C유형)
4) 비조직적 애착(D유형)
3) 애착유형에서의 문화적 차이
* 참고문헌
I. 정서사회적 발달
1. 영아기
2. 걸음마기
II. 기질
1. 기질의 개념
2. 기질의 구성요소
III. 애착
1. 애착의 개념
2. 애착유형
1) 안정애착(B유형)
2) 회피애착(A유형)
3) 저항애착(C유형)
4) 비조직적 애착(D유형)
3) 애착유형에서의 문화적 차이
*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고자, 우리 안에서 드럼을 치면서 앞으로 행진하는 곰 인형을 놓아두었다. 이때 놀란 아기 원숭이들은 철사 어미가 아니라 천으로 된 어미 원숭이에게로 달려갔다. 아기 원숭이들은 자신의 몸을 천 어미 원숭이에게 문지름으로써 공포를 극복하게 되면, 호기심을 가지고 곰 인형을 바라보려고 몸을 돌렸고, 어떤 아기 원숭이는 천 어미 원숭이의 보호를 떠나서 곰 인형에게 가까이 가는 행동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행동들은 안정된 애착이 탐색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2. 애착유형
Bowlby의 애착이론은 Ainsworth(1969)에 의해 검증되었는데, Ainsworth와 Wittig는 생후 1년 말(대략 12-18개월)에 애착의 차이를 평가하는 낯선 상황 절차(strange situation procedure)를 고안하였다. 이 실험 절차는 각 3분으로 구성된 총 0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낯선 이가 들어와서 어머니에게 이야기를 하고 아기와 상호작용을 한다.
그 다음 어머니가 방을 떠나는데, 이때 아기들은 대개 울음을 터뜨리게 된다. 8개의 상황은 아래의 표에 요약되어 있다. Ainsworth는 낯선 상황 동안 영아가 보이는 행동에 근거해서 애착유형을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1. 안정애착(B유형)
안정애착 유형의 영아는 주 양육자를 탐색활동을 하기 위한 안전기반으로 사용하여, 어머니와 분리되었을 때 울거나 매달리지 않고 재결합 시에 어머니에게 달려가 안기고 쉽게 달래지는 행동특성을 보였다. 연구대상의 약 65%가 안정애착 유형에 해당하였다.
<표> 낯선 상황 절차
2. 회피애착(A유형)
회피애착 유형의 영아는 주 양육자와 함께 있어도 별 반응이 없으며, 어머니가 떠나도 괴로워하지 않고 남선 이에게도 주 양육자에게 하는 행동과 비슷하다. 재결합 시에는 주 양육자를 피하거나 마지못해 반기는 행동을 보이고, 안아주면 매달리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대상의 약 20%정도가 이에 해당하였다.
3. 저항애착(C유형)
저항애착 유형의 영아는 주 양육자와 분리 전에도 주 양육자와 가까이 있으려 하기 때문에 탐색활동을 하지 못하고 재결합 시 주 양육자에게 화를 내고 저항하거나 때리거나 밀쳐내는 행동을 보였다. 안아주어도 계속 울고 쉽게 달래지지 않으며 낯선 사람을 매우 경계하기도 한다. 연구대상의 약 10%정도가 이 윤형에 해당하였다.
4. 비조직적 애착(D유형)
비조직적 애착 유형의 영아는 가장 불안정한 애착으로 주 양육자와 재결합 시 비조직적이고 모순된 행동을 보인다. 이 유형의 영아는 맞선 상황에서 큰 스트레스를 받아 두려워하는 모습을 보이거나 멍한 모습을 보이는 등 모순된 행동을 보이고, 주 양육자가 다시 돌아와 안아주어도 무표정한 얼굴로 먼 곳을 본다. 연구대상의 약 5-10%정도가 이 유형에 해당하였다.
III. 애착유형에서의 문화적 차이
낯선 상황 실험은 영아의 애착 안정성을 측정하는 가장 널리 알려진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나, 낯선 상황에서의 영아의 행동은 문화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즉, 문화권에 따라 양육방법에 차이가 있으므로 미국과 다른 문화권에서 자란 영아가 낯선 상황실험에서 보이는 반응으로 과연 애착의 안정성이나 애착유형을 측정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예를 들어 Ainsworth가 수행한 미국 중류층 가정의 12개월 된 영아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안정 애착아는 66%, 불안정-회피아는 12%, 그리고 불안정-저항아는 22%로 나타난 반면, 다른 문화권의 연구에서는 그 비율이 미국의 연구결과와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즉 독일의 경우, 안정애착아는 57% 정도, 회피아는 35%정도, 저항아는 8%정도이며, 일본의 경우, 안정아는 68%정도, 저항아는 27%정토, 그리고 회피아는 5%정도였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적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안정애착은 가장 보편적인 애착유형임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2. 애착유형
Bowlby의 애착이론은 Ainsworth(1969)에 의해 검증되었는데, Ainsworth와 Wittig는 생후 1년 말(대략 12-18개월)에 애착의 차이를 평가하는 낯선 상황 절차(strange situation procedure)를 고안하였다. 이 실험 절차는 각 3분으로 구성된 총 0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낯선 이가 들어와서 어머니에게 이야기를 하고 아기와 상호작용을 한다.
그 다음 어머니가 방을 떠나는데, 이때 아기들은 대개 울음을 터뜨리게 된다. 8개의 상황은 아래의 표에 요약되어 있다. Ainsworth는 낯선 상황 동안 영아가 보이는 행동에 근거해서 애착유형을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1. 안정애착(B유형)
안정애착 유형의 영아는 주 양육자를 탐색활동을 하기 위한 안전기반으로 사용하여, 어머니와 분리되었을 때 울거나 매달리지 않고 재결합 시에 어머니에게 달려가 안기고 쉽게 달래지는 행동특성을 보였다. 연구대상의 약 65%가 안정애착 유형에 해당하였다.
<표> 낯선 상황 절차
2. 회피애착(A유형)
회피애착 유형의 영아는 주 양육자와 함께 있어도 별 반응이 없으며, 어머니가 떠나도 괴로워하지 않고 남선 이에게도 주 양육자에게 하는 행동과 비슷하다. 재결합 시에는 주 양육자를 피하거나 마지못해 반기는 행동을 보이고, 안아주면 매달리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대상의 약 20%정도가 이에 해당하였다.
3. 저항애착(C유형)
저항애착 유형의 영아는 주 양육자와 분리 전에도 주 양육자와 가까이 있으려 하기 때문에 탐색활동을 하지 못하고 재결합 시 주 양육자에게 화를 내고 저항하거나 때리거나 밀쳐내는 행동을 보였다. 안아주어도 계속 울고 쉽게 달래지지 않으며 낯선 사람을 매우 경계하기도 한다. 연구대상의 약 10%정도가 이 윤형에 해당하였다.
4. 비조직적 애착(D유형)
비조직적 애착 유형의 영아는 가장 불안정한 애착으로 주 양육자와 재결합 시 비조직적이고 모순된 행동을 보인다. 이 유형의 영아는 맞선 상황에서 큰 스트레스를 받아 두려워하는 모습을 보이거나 멍한 모습을 보이는 등 모순된 행동을 보이고, 주 양육자가 다시 돌아와 안아주어도 무표정한 얼굴로 먼 곳을 본다. 연구대상의 약 5-10%정도가 이 유형에 해당하였다.
III. 애착유형에서의 문화적 차이
낯선 상황 실험은 영아의 애착 안정성을 측정하는 가장 널리 알려진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나, 낯선 상황에서의 영아의 행동은 문화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즉, 문화권에 따라 양육방법에 차이가 있으므로 미국과 다른 문화권에서 자란 영아가 낯선 상황실험에서 보이는 반응으로 과연 애착의 안정성이나 애착유형을 측정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예를 들어 Ainsworth가 수행한 미국 중류층 가정의 12개월 된 영아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안정 애착아는 66%, 불안정-회피아는 12%, 그리고 불안정-저항아는 22%로 나타난 반면, 다른 문화권의 연구에서는 그 비율이 미국의 연구결과와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즉 독일의 경우, 안정애착아는 57% 정도, 회피아는 35%정도, 저항아는 8%정도이며, 일본의 경우, 안정아는 68%정도, 저항아는 27%정토, 그리고 회피아는 5%정도였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적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안정애착은 가장 보편적인 애착유형임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영유아발달]의학적으로 본 영아기의 정상 발육발달 및 사회환경
영아기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정리 -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의 영...
영아기발달(영아기신체발달, 영아기인지발달, 영아기사회정서발달, 애착발달, 태아기문제)
[영아발달 과제] 영아기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 문화적인 관점에서 정리 - 사회적 관...
[보육학개론] 영아기와 유아기의 사회정서발달에 대하여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사회정서발달]
영아기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정리 [정서발달]
영아기발달 PPT(정신건강론, 영아기신체발달, 언어발달, 정서적발달, 인지발달, 사회적발달) ...
[보육학개론] 영아기과 유아기의 사회정서발달에 대하여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 사회정서발달
영아기 발달(신체적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 시회정서 발달)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정리하...
영아기 사회정서발달(정서발달, 애착형성과 발달, 낯가림과 분리불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