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식과 도덕의 정당화 - 칸트의 순수이성비판과 실천이성비판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식과 도덕의 정당화 - 칸트의 순수이성비판과 실천이성비판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칸트의 문제의식
II. 『순수이성비판』: 인식의 정당화
III. 『실천이성비판』: 도덕의 정당화
IV.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간의 존엄성 사이의 문제에서 어느 것도 포기하지 않고, 두 마리의 토끼 모두 잡아내고자 하는 데에, 또 그것을 실현한 데에 칸트 철학의 천재성과 위대함이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만약 그가 도덕법칙을 포기하고 인식의 문제만을 다루었다 해도, 그는 여전히 천재로 인정받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가 철인(哲人)이라고 불리고, 오늘날까지도 많은 학자들의 연구 대상이 되는 이유는, 그가 거기서 더 나아가 자유로운 주체로서의 인간상의 확립한 것과, 인간은 서로에게 도덕적인 의무를 가진다는 것을 증명하려고 했기 때문일 것이다. 3세기 전에 살았던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인간 삶의 본질적인 문제들에 대한 그의 혜안은, 기계 문명 속에서 사람들을 점차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대하려는 우리 삶의 태도에 유의미한 메세지를 남긴다.
참고문헌
단행본:
백종현, 『한국 칸트철학 소사전』(아카넷, 2015).
백종현, 『칸트 이성철학 9서 5제: ‘참’ 가치의 원리로서 이성』(아카넷, 2012).
사카베 메구미 외 4인·이신철 역, 『칸트사전』(b, 2009).
새뮤얼 스텀프 외 1인·이광래 역, 『소크라테스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열린책들, 2008).
스털링 렘프레히트·김태길 외 2인 역, 『서양철학사』(을유문화사, 1992).
임마누엘 칸트·백종현 역, 『순수이성비판1』(아카넷, 2006).
임마누엘 칸트·백종현 역, 『순수이성비판2』(아카넷, 2008).
임마누엘 칸트·백종현 역, 『실천이성비판』(아카넷, 2002).
철학사편찬위원회 외 30인, 『철학사전』(중원문화, 2009).
사이트:
두반백과(doopedia.co.kr)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3.3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2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