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애와 저술
2. 사상적 출발점
3. 칸트의 인식론
4.칸트의 윤리설
2. 사상적 출발점
3. 칸트의 인식론
4.칸트의 윤리설
본문내용
반드시 인간 영혼의 불멸성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두 번째의 형이상학적 문제인 인간 영혼의 불멸성을 확보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덕에 따르는 덕이 있는 인간과 행복이 일치하도록 만들어 주는 전지전능한 존재를 상정하지 않을 수 없는데 바로 이 존재가 신이므로 신도 존재하여야만 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렇게 도덕의 영역을 통해서 형이상학적 문제들을 다루면서 그는 이런 주장들이 결코 이론적으로는 정당화될 수 없다는 의미에서 이들을 일종의 가정으로서 ‘실천 이성의 요청’들이라고 불렀으나 결코 칸트 자신이 이를 단순한 가정이라고 생각했던 것은 결코 아니다. 그는 이런 내용들이 가정되지 않으면 전체 도덕이 의미를 잃어 성립할 수 없다고 보았으며 이런 점에서 실천 이성의 요청을 필연적인 것으로 보았으며 그 자신이 진정으로 영혼의 불멸성이나 신의 존재를 굳게 믿고 있었음을 잘 보여준다. 특히 그는 ‘이론 이성에 대한 실천 이성의 우위’라는 개념을 통하여 이를 무척 강조하고 있다.
* 그의 윤리설은 칸트의 체계 안에서는 자신의 형이상학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지만 윤리설 자체만을 놓고 보더라도 현대까지 무척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종의 효용성을 행위 선택의 기준으로 보고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목표로 삼는 공리주의 윤리설과는 달리 그의 윤리설은 궁극적으로 도덕 법칙을 설정하고 이에 따르는 것이 의무라고 주장하는 면에서 그의 윤리설은 근대 윤리설을 대표하는 의무론적(또는 법칙 중심적) 윤리설이며 현대에도 공리주의적 윤리설의 한계를 지적하는 경우 가장 자주 인용되고 또한 재해석되고 있다.
* 그의 윤리설은 칸트의 체계 안에서는 자신의 형이상학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지만 윤리설 자체만을 놓고 보더라도 현대까지 무척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종의 효용성을 행위 선택의 기준으로 보고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목표로 삼는 공리주의 윤리설과는 달리 그의 윤리설은 궁극적으로 도덕 법칙을 설정하고 이에 따르는 것이 의무라고 주장하는 면에서 그의 윤리설은 근대 윤리설을 대표하는 의무론적(또는 법칙 중심적) 윤리설이며 현대에도 공리주의적 윤리설의 한계를 지적하는 경우 가장 자주 인용되고 또한 재해석되고 있다.
추천자료
발도로프
선험적 자아와 본능적 초월성
동양사상사
인간학에 대하여
평생교육의 철학적 기초
실 용 주 의
칼 만하임에 관하여
결의론, 공동체주의 윤리학
[로크][로크사상][로크의 사상]로크의 생애, 로크의 사상, 로크의 정치사상, 로크의 유아교육...
발도르프 학교(슈타이너 학교)
[신관][동양][서양][이슬람교][원시시대][단군신화][칼빈주의][보나벤투라]동양의 신관, 서양...
[오렘간호이론] 오렘의 8개 보편적 자기간호필수요소 적용 1) 주어진 이론에 대해 정리 2) 대...
[인간과 교육 공통]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