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대혁명 - 배경 모택동의 사상과의 관계 문화혁명의 과정 영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대혁명 - 배경 모택동의 사상과의 관계 문화혁명의 과정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뿐 아니라 경제의 후퇴, 교육의 황폐, 문화의 파괴, 사회질서의 문란 등을 남긴 채 끝났다.
문화대혁명은 문화유산의 파괴, 정신의 황폐를 낳게 하였으며 부모형제조차 믿지 못하는 인간 불신의 10년이었다. 중공은 81년 6월 중국 공산당 제 11기 제6차 중앙위원회 전인회의에서 건국이래의 몇 가지 역사문제에 관한 당의 결정을 통해 문화대혁명을 평가하면서 이는 당 국가 인민에게 건국이래에 가장 심한 좌절과 손실을 가져다 준 모택동의 극좌적 오류이며 그의 책임이라 규정하였다.
홍위병: 모택동을 지지하고 투쟁했던 학생 청년단(대학생, 고교생집단)으로 전국적으로 1000만 명이 넘는 인원이 가담하였으며 각 지방의 자주 교사, 지도자층 지식인등을 박해하고 처형하였다. 이때 공자사당등이 부셔졌으며 많은 고전 책들이 불태워졌고 수십만명이 죽임을 당하였다.
(1966년 9월 12일 어린 홍위병이 하얼빈 시장 리판우의 머리카락을 잘라내고 있다. 목에 걸린 간판이 그를 ‘흑방의 단원’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흑방은 마오쪄뚱이 새로이 선포한 문화대혁명을 방해하려 한다고 고발당한 모든 사람들을 통칭하는 용어였다.)
(한 홍위병이 본전 입구의 정교하게 조각한 대리석 기둥을 해머로 부수고 있다. 왼쪽 위에는 인민에게 ‘공자와 그 일당’을 공격하라고 촉구하는 슬로건이 보인다.
중국과 티베트의 사상과 사찰이 여럿 파괴된 것은 심미적인 측면에서 문화대혁명이 낳은 비극중의 하나이다.)
(문화대혁명 당시 지식분자들을 학교에서 몰아내고 농민과 노동자들이 교편을 잡도록 했다. 흑판의 글: 비천한 자가 가장 총명하고 고귀한 자가 가장 미련하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3.3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5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