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문학의 위기와 딜레마
2. 자본주의 문화상품화와 소통의 인문학
3. 인문학의 새로운 가능성과 대중문화 (popular culture)
4. 인문학의 상품화, 그 바람직한 방향
참고문헌
2. 자본주의 문화상품화와 소통의 인문학
3. 인문학의 새로운 가능성과 대중문화 (popular culture)
4. 인문학의 상품화, 그 바람직한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극복 방법으로 인문학은 스스로 ‘상품’이 되어야 한다. 박상환, 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도서출판사 상, 2011, 78쪽
고 말한다. 하지만 인문학의 문화상품화는 양면의 칼날 같아서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인문학 본연의 진리추구의 목적과 순수 가치의 상징성을 포기하는 부정적인 측면도 생각을 하여야 한다. 자본주의가 주류적 지배를 갖는 한국사회에서는 자본주의의 양식과 논리를 ‘전면 부정’이 아니라 제한적 부정이 필요하다고 보며, 인문학의 전문성은 대중적 기호와 이해 정도에 따른 ‘재구성’을 통하여 다시 사회와 대중과의 소통을 시도 하여야 한다. 대중이란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의 자본주의 매커니즘이 만들어낸 기형적이고 말초적인 집단일지 모르지만 한편으로는 근·현대의 시민 사회를 이루는 주체이자 능동적이고 비판적인 시민이기도 하다. 박상환, 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도서출판사 상, 2011, 79쪽
인문학은 자본의 힘과 상품논리의 부정적인 측면을 충분히 제어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자본주의의 지배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수동적 회피보다 긍정적인 극복이 필요하다고 본다.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서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시대에 인문학적 상상력과 인문학자들의 참여를 필요로 하는 곳이 매우 많이 있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고, 이것은 내가 학교를 찾아온 이유이기도 하다. 문화(culture)란 한 나라의 건국 이래로 그 나라의 사람들이 살아가는 양식이나 사고방식 즉, 그 민족, 그 시대의 의식주, 언어, 종교, 지식, 예술, 제도 등을 모두 포함하여 일컫는 말이다. 문화의 특성상 고유 전래되어 온 전통 문화도 있지만 일방 또는 양방향으로 전달되고 교류하면서 변해가며 전해져 내려가는 문화도 있다. 빙산의 일각이라는 표현으로 문화를 말하고 싶다. 물에 잠겨 있는 빙산을 생각할 때, 여전히 잠긴 채로 가는 부분(전통문화)도 있고, 물위로 떠있어 변화를 받으며 가는 부분(변신하는 문화)도 있다. 외형적으로는 일각이 떠있다고 생각하지만 그 일각은 유지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유지를 지키는 것이 인문학과 인문학자들의 역할이라고 생각 한다.
< 참고문헌 >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14
서명준, 독일의 미디어 이론가들, 커뮤니키션북스, 2015
신혜경, 『벤야민 & 아도르노, 대중문화의 기만 혹은 해방』, 김영사, 2014
원용진, 새로쓴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한나래, 2010
고 말한다. 하지만 인문학의 문화상품화는 양면의 칼날 같아서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인문학 본연의 진리추구의 목적과 순수 가치의 상징성을 포기하는 부정적인 측면도 생각을 하여야 한다. 자본주의가 주류적 지배를 갖는 한국사회에서는 자본주의의 양식과 논리를 ‘전면 부정’이 아니라 제한적 부정이 필요하다고 보며, 인문학의 전문성은 대중적 기호와 이해 정도에 따른 ‘재구성’을 통하여 다시 사회와 대중과의 소통을 시도 하여야 한다. 대중이란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의 자본주의 매커니즘이 만들어낸 기형적이고 말초적인 집단일지 모르지만 한편으로는 근·현대의 시민 사회를 이루는 주체이자 능동적이고 비판적인 시민이기도 하다. 박상환, 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도서출판사 상, 2011, 79쪽
인문학은 자본의 힘과 상품논리의 부정적인 측면을 충분히 제어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자본주의의 지배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수동적 회피보다 긍정적인 극복이 필요하다고 본다.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서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시대에 인문학적 상상력과 인문학자들의 참여를 필요로 하는 곳이 매우 많이 있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고, 이것은 내가 학교를 찾아온 이유이기도 하다. 문화(culture)란 한 나라의 건국 이래로 그 나라의 사람들이 살아가는 양식이나 사고방식 즉, 그 민족, 그 시대의 의식주, 언어, 종교, 지식, 예술, 제도 등을 모두 포함하여 일컫는 말이다. 문화의 특성상 고유 전래되어 온 전통 문화도 있지만 일방 또는 양방향으로 전달되고 교류하면서 변해가며 전해져 내려가는 문화도 있다. 빙산의 일각이라는 표현으로 문화를 말하고 싶다. 물에 잠겨 있는 빙산을 생각할 때, 여전히 잠긴 채로 가는 부분(전통문화)도 있고, 물위로 떠있어 변화를 받으며 가는 부분(변신하는 문화)도 있다. 외형적으로는 일각이 떠있다고 생각하지만 그 일각은 유지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유지를 지키는 것이 인문학과 인문학자들의 역할이라고 생각 한다.
< 참고문헌 >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14
서명준, 독일의 미디어 이론가들, 커뮤니키션북스, 2015
신혜경, 『벤야민 & 아도르노, 대중문화의 기만 혹은 해방』, 김영사, 2014
원용진, 새로쓴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한나래, 2010
추천자료
갯벌의 생태학적 가치 및 활용 그리고 관광자원화에 관하여
인터넷 정보화 시대 속의 인문학-무엇(what)에서 어떻게(how)로-
[한국사회][한국]한국사회의 언론, 한국사회의 주요 갈등과 방송, 한국사회의 교육운동, 한국...
디지털미디어 시대의 특징과 이에 따른 우리 인문학(국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
독일 인문학(인문과학) 칸트철학(칸트사상), 독일 인문학(인문과학) 쉴러철학(쉴러사상), 독...
[대학교육]대학교육의 실태, 대학교육의 정보화, 대학교육의 개인화수업체제, 대학교육의 문...
인문학의 위기와 문화연구 - 분과학문 사이의 단절을 횡단하는 공존의 학문을 위하여
인문정신과 문화콘텐츠연구 - 지표의 상실 진중권 이미지 인문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