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정신과 문화콘텐츠연구 - 인문학의 문화상품화 위기를 넘어서 기회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정신과 문화콘텐츠연구 - 인문학의 문화상품화 위기를 넘어서 기회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인문학의 위기와 딜레마
2. 자본주의 문화상품화와 소통의 인문학
3. 인문학의 새로운 가능성과 대중문화 (popular culture)
4. 인문학의 상품화, 그 바람직한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극복 방법으로 인문학은 스스로 ‘상품’이 되어야 한다. 박상환, 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도서출판사 상, 2011, 78쪽
고 말한다. 하지만 인문학의 문화상품화는 양면의 칼날 같아서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인문학 본연의 진리추구의 목적과 순수 가치의 상징성을 포기하는 부정적인 측면도 생각을 하여야 한다. 자본주의가 주류적 지배를 갖는 한국사회에서는 자본주의의 양식과 논리를 ‘전면 부정’이 아니라 제한적 부정이 필요하다고 보며, 인문학의 전문성은 대중적 기호와 이해 정도에 따른 ‘재구성’을 통하여 다시 사회와 대중과의 소통을 시도 하여야 한다. 대중이란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의 자본주의 매커니즘이 만들어낸 기형적이고 말초적인 집단일지 모르지만 한편으로는 근·현대의 시민 사회를 이루는 주체이자 능동적이고 비판적인 시민이기도 하다. 박상환, 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도서출판사 상, 2011, 79쪽
인문학은 자본의 힘과 상품논리의 부정적인 측면을 충분히 제어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자본주의의 지배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수동적 회피보다 긍정적인 극복이 필요하다고 본다.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서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시대에 인문학적 상상력과 인문학자들의 참여를 필요로 하는 곳이 매우 많이 있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고, 이것은 내가 학교를 찾아온 이유이기도 하다. 문화(culture)란 한 나라의 건국 이래로 그 나라의 사람들이 살아가는 양식이나 사고방식 즉, 그 민족, 그 시대의 의식주, 언어, 종교, 지식, 예술, 제도 등을 모두 포함하여 일컫는 말이다. 문화의 특성상 고유 전래되어 온 전통 문화도 있지만 일방 또는 양방향으로 전달되고 교류하면서 변해가며 전해져 내려가는 문화도 있다. 빙산의 일각이라는 표현으로 문화를 말하고 싶다. 물에 잠겨 있는 빙산을 생각할 때, 여전히 잠긴 채로 가는 부분(전통문화)도 있고, 물위로 떠있어 변화를 받으며 가는 부분(변신하는 문화)도 있다. 외형적으로는 일각이 떠있다고 생각하지만 그 일각은 유지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유지를 지키는 것이 인문학과 인문학자들의 역할이라고 생각 한다.
< 참고문헌 >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14
서명준, 독일의 미디어 이론가들, 커뮤니키션북스, 2015
신혜경, 『벤야민 & 아도르노, 대중문화의 기만 혹은 해방』, 김영사, 2014
원용진, 새로쓴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한나래, 2010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3.3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5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