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정신과 문화콘텐츠연구 - 지표의 상실 진중권 이미지 인문학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정신과 문화콘텐츠연구 - 지표의 상실 진중권 이미지 인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촬영하여 오래된 사진인 듯한 효과를 주면서 이미 본 듯한 느낌을 준다.
4) 사진 전체를 과도하게 밝게 하여 사진 속 대상들의 깊이를 사라지게 함으로써 특별한 효과를 얻는다.
아날로그 사진작가들은 이제 사진과 피사체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고자 한다. 그 방법은 컴퓨터 그래픽 효과를 차용하는 것이다. 위의 방법들은 모두 아날로그 사진기가 디지털 사진의 미학적 효과를 얻기 위한 전략이다. 이들 작품은 익숙한 현실에 대하여 ‘낯설게 하기’ 효과를 드러낸다. 이 낯선 느낌은 디지털의 근원, 즉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는 그 허구성에서 오는 것이다.
모든 뉴미디어는 처음에 올드 미디어를 흉내 냄으로서 수용되지만 결국 자신의 강력한 정체성을 갖게 되면 이 관계는 오히려 역전된다. 회화와 카메라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의 관계가 그러하다. 초기 사진은 세계의 실제에 대한 객관적 재현의 추구에서, 해독 가능한 작가의 관념의 텍스트로 진화했다. 80년대 들어오면서 사진은 더 이상 현실의 재현도 해석해야만 하는 텍스트도 아니다. 카메라와 피사체 사이에 존재하는 것은 단순히 반사광과 감광 물질 사이의 광학적, 화학적 인과관계 뿐이다. 사진은 모방의 의도가 전혀 없는 빛 자체의 물질효과로 그 본성상 지표기호가 된다. 이렇게 해서 사진은 실재의 거울, 실재의 변형을 거쳐 마침내 ‘실재의 자국’이 된다. 90년대 디지털 시대로 들어오면서 사진은 이제 이 지표성을 상실하고 다시 도상으로 돌아간다. 그러나 컴퓨터 그래픽의 합성 사진 속의 실재는 사진이나 육안의 현실과는 달라진다. 초현실적이고 언캐니한 느낌 이것이 디지털 미학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3.3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6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