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정신과 문화컨텐츠 연구 - 제화시와 동양예술문화의 융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정신과 문화컨텐츠 연구 - 제화시와 동양예술문화의 융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題畵詩의 형성과 발전
3. 題畵詩의 특징과 함의
4. 문인화 속 題畵詩의 기능
5. 題畵詩와 詩書畵의 융합
6. 맺음말

본문내용

다. 題畵詩는 그림과 서법, 문학이라는 장르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역할을 하면서 독자적 장르로서의 입지도 탄탄하게 다져왔다. 이는 동양문화의 특수한 성격과 특질에서 비롯된 것이다. 사대부 문화와 성리학적 道, 氣(道,藝)관계에 기초하고 있는 동양 예술은 형식상에 있어서 교차적 성격을 가지고 융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 근대 서양의 과학 체계가 동양에 편입되어 들어온 이후, 문학과 회화, 서예 등의 장르가 독립적인 영역을 구축하게 되었다. 이는 학문 간에 장벽을 만드는 결과를 낳게 되었고, 오늘날 학문 간의 융합에 기반한 다양한 문화적 작업과 학술작업에 장애로 작용하는 면이 있다. 따라서 동양전통의 題畵詩가 지니고 있는 융합과 통섭의 정신을 새롭게 조명한다면 동양 문화의 현대화를 성취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박상환, 『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도서출판 상, 2011, 205~206쪽.
제화시에는 시, 서, 화가 갈등하는 것이 아니라, 융합을 통해 하나가 되고 있다. 동양의 화해정신이 잘 들어 있는 제화시에는 지금 세계가 필요로 하는 융합정신이 들어있다. 그러나 때로는 제화시가 그림의 이해를 방해할 수도 있음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언어라는 것이 표현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그림의 무한한 경계를 방해 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이는 융합과 통섭이라는 美名아래 사회, 문화적 현상을 통일의 관점에서만 본다면, 소수문화는 배척받을 수 있게 됨을 의미하기도 한다. 인간에게는 고유한 존재방식과 공간이 존재한다. 인간이 각기 고유하게 존재하는 방식이 무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각자의 다름을 인정하는 것 또한 하나의 소통의 방식이 다. 각 문화의 다름을 인정하고, 그들의 다름을 받아 들여 새로운 문화가 만들어 진다. 시인이 ‘그림의 다름’, ‘감상자의 다름’을 인정하고 제화할 때, 아름다운 시, 서, 화 융합의 작품이 탄생하게 된다. 이것이 제화시가 현대인들에게 보여주고 있는 문화의 창조정신이다.
〈참고문헌〉
갈로 지음, 강관식 옮김, 『중국회화이론사』, 돌배개, 2010.
박상환,『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도서출판 상, 2011.
안휘준 지음, 『한국회화의 이해』, 시공사, 2000.
구본현, 「한국 題畵詩의 특징과 전개」,『동방한문학』제33집, 2007.
김교빈, 「문화원형의 개념과 활용」,『인문콘텐츠』6호, 2005.
김상미, 「소식題畵詩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3.3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5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