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우는 관잉(管英ㆍ25)은 지난 15개월동안 무려 23차례나 성형 시술을 받아 중국 상하이다스제(上海大世界)기네스북에 등록을 신청했다고 난팡두스바오(南方都市報)가 27일 보도했다.
상하이다스제기네스북은 “아직까지 성형에 관련된 최고기록 항목이 없어 심의하는 데 약 1개월 정도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관잉도 “지금까지 성형 최고기록이 없다는 점 때문에 신청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산둥(山東)성 칭다오(靑島) 출신인 관잉은 지난 2003년 12월부터 광저우에서 쌍커풀, 코, 얼굴 윤곽, 지방흡입은 물론이고 귓볼을 도톰하게 하고 종아리 모양을 변형시키는 등 23가지 수술을 했다. 특히 지난해 5월 성형수술 중에서도 가장 어렵다는 키크기 시술을 받아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았다. 그녀는 이 시술을 통해 162㎝이던 키를 170㎝로 늘리는데 성공했다. http://boom.naver.com/BoardRead.nhn?categoryId=1&articleNum=20050704104643920
특히 중국인들은 한국의 드라마나 영화를 보고 따라서 수술을 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그만큼 두 나라의 문화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Ⅲ. 결론
한국 문화와 중국 문화 두 나라의 문화 중 어느 쪽이 더 우수한 문화인가 하는 질문을 옳지 못한 질문이다. 문화상대주의라는 말이 있다. 세계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각 문화는 문화의 독특한 환경과 역사적 ·사회적 상황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견해다. 사회의 환경과 맥락을 고려하여 문화를 판단하는 것으로, 어떤 문화요인도 나름대로 존재이유가 있는 것이다.
인류가 살고 있는 사회는 사회마다 특수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사회의 입장에서 이해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 문화의 상대성을 부정하는 극단적 태도는 자민족 중심주의로 자기 민족의 모든 것이 타민족의 문화보다 우월하다고 믿고 타민족의 문화를 배척하는 태도를 말한다.
각 사회의 문화는 서로 상대적인 단면들을 가지고 있으며, 문화적 가치들은 그 사회관계적 조건에 따라 각각의 고유한 의미를 지니고 그에 따라 각기 다른 사회적 관계맺음의 원리, 즉 윤리를 형성한다. 이는 도덕 판단의 정당화 방식 또는 근거가 결국 문화적 환경의 표현이나 합리화 이상의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이러한 태도에서 중국 문화를 바라보며, 우리와 다른 문화인 중국문화를 이해하려는 태도가 필요할 것이다.
상하이다스제기네스북은 “아직까지 성형에 관련된 최고기록 항목이 없어 심의하는 데 약 1개월 정도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관잉도 “지금까지 성형 최고기록이 없다는 점 때문에 신청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산둥(山東)성 칭다오(靑島) 출신인 관잉은 지난 2003년 12월부터 광저우에서 쌍커풀, 코, 얼굴 윤곽, 지방흡입은 물론이고 귓볼을 도톰하게 하고 종아리 모양을 변형시키는 등 23가지 수술을 했다. 특히 지난해 5월 성형수술 중에서도 가장 어렵다는 키크기 시술을 받아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았다. 그녀는 이 시술을 통해 162㎝이던 키를 170㎝로 늘리는데 성공했다. http://boom.naver.com/BoardRead.nhn?categoryId=1&articleNum=20050704104643920
특히 중국인들은 한국의 드라마나 영화를 보고 따라서 수술을 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그만큼 두 나라의 문화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Ⅲ. 결론
한국 문화와 중국 문화 두 나라의 문화 중 어느 쪽이 더 우수한 문화인가 하는 질문을 옳지 못한 질문이다. 문화상대주의라는 말이 있다. 세계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각 문화는 문화의 독특한 환경과 역사적 ·사회적 상황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견해다. 사회의 환경과 맥락을 고려하여 문화를 판단하는 것으로, 어떤 문화요인도 나름대로 존재이유가 있는 것이다.
인류가 살고 있는 사회는 사회마다 특수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사회의 입장에서 이해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 문화의 상대성을 부정하는 극단적 태도는 자민족 중심주의로 자기 민족의 모든 것이 타민족의 문화보다 우월하다고 믿고 타민족의 문화를 배척하는 태도를 말한다.
각 사회의 문화는 서로 상대적인 단면들을 가지고 있으며, 문화적 가치들은 그 사회관계적 조건에 따라 각각의 고유한 의미를 지니고 그에 따라 각기 다른 사회적 관계맺음의 원리, 즉 윤리를 형성한다. 이는 도덕 판단의 정당화 방식 또는 근거가 결국 문화적 환경의 표현이나 합리화 이상의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이러한 태도에서 중국 문화를 바라보며, 우리와 다른 문화인 중국문화를 이해하려는 태도가 필요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