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와 중국문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중국의 숫자와 상징성

3. 중국의 숫자에 부여되는 문화적 의미

4. 중국의 숫자가 가지는 의미(一부터 十까지)

5. 중국의 숫자에 대한 선호
1) 선호하는 숫자
2) 문화권별 비교

6. 중국의 숫자에 대한 기피
1) 기피하는 숫자와 관련된 금기
2) 문화권별 비교

7. 숫자문화의 활용
1) 중국의 기업과 제품의 숫자브랜드
2) 제품의 모델넘버
3) 숫자 도메인

8. 생활 속의 숫자 문화
1) 가정집 전화번호
2) 핸드폰번호
3) 혼례 ․ 장례 날짜

9. 나가며

본문내용

있고 2나 3이나 9모두가 긍정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런 번호는 중국의 소비자들이 입으로 떠올리기도 좋고 기억하기도 쉽다. 그래서 미스터피자의 브랜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만들어 가는데 적지 않은 도움을 주고 있다.
<그림10>
2) 핸드폰번호
중국은 우리와 핸드폰 구입 방법이 다르다. 한국에서는 단말기를 사면 핸드폰번호는 저절로 따라오는데 중국은 단말기와 핸드폰번호를 각각 따로 사야 한다. 핸드폰번호는 SIM카드 안에 들어 있는데 재미있는 것은 SIM카드를 살 때 구매자가 번호를 선택하게 되어있는데, 이때 번호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라는 것이다. 싼 것은 중국 돈 15위안짜리도 있지만 비싼 것은 몇 천 위안하기도 한다. SIM카드는 핸드폰 가게, 통신회사 대리점, 신문 파는 가판대, 전화카드 판매하는 노점, 대학 내 매점 등 어디서나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이런 상점 안에는 핸드폰번호 가격표가 붙어있다.
어느 한 상점의 핸드폰번호 가격은 최저55위안부터 최고8,000위안까지이다. 8,000위안짜리의 핸드폰번호는 1369-238-9999이다. 1369는 우리나라의 011, 016, 019처럼 통신회사의 번호이고, 다음의 238-9999가 개인의 번호가 된다. 238을 광동 지역 사람들은 쉽게(2=易)발전하고(3=生)돈을 번다(8=發)로 해석한다. 그 뒤에 9999가 있으니 오래오래 그렇게 된다는 뜻이다. 의미도 좋고 말하거나 기억하기도 쉽다. 따라서 238-9999라는 번호가 가장 비싼 자리를 점유하고 있는 것이다. 1,200위안짜리의 핸드폰번호는 135-2098-0888이다. 2003년 초 북경 시 공무원의 월 평균 임금이 9백 위안이 조금 넘는 걸 감안하면 비싼 번호라고 할 수 있다. 2098은 쉽게(2=易)당신(0=)이 오래도록(9=久)돈을 번다(8=發)로 해석되고 그 위의 0888은 당신(0=)이 쉬지 않고 계속하여 돈을 번다는 뜻이 된다. 0대신 8이 들어갔다면 이 번호는 5천 위안 이상으로 올라갔을 것이다.
반면에 평범한 숫자의 핸드폰 번호는 55위안이면 구입할 수 있다. 더 싼 곳을 찾아 헤매면 최저30원에도 구입할 수 있으나 이런 번호에는 4가 꼭 끼어있다고 볼 수 있다. 박종한 『숫자에 담긴 중국문화와 그 활용』,中國文化硏究 第2輯
3) 혼례 장례 날짜
결혼 날짜를 선택하는 것은 각 지역에 따라 다소 틀리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봐서 음력으로 길일을 선택하는 것 이외에도 만약 그 날이 양력으로 환산해서 짝수가 되면 아주 좋은 날로 인식한다. 여기에 八과 六이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는 成雙成對의 의미이거나 혹은 好事成雙 즉, “좋은 일은 쌍으로 이루어진다”라는 속담대로 혼인과 경사스러운 날은 필히 짝수와 연결시키는 경향이 강하다. 단 四가 들어 있는 날은 피한다. 반대로 장래와 같은 슬픈 일에 대해서는 홀수의 예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주로 三이나 七과 관련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사람이 죽은 지 삼일 후 장례를 치르는 三日葬, 죽은 지 7일이 되면 제사를 지낸 후 종이돈을 태우는 燒七, 49일째 지내는 제사인 七七祭등이 그러하다.
山東省지역은 특이하게 三, 六, 九를 숭상하는 전통 관념의 영향으로 이 숫자가 들어간 날도 길일로 간주한다. 그 중 특이 九는 天長地久의 의미가 있어 더욱 선호하는 숫자의 날이다. 西北이나 西南지역에서는 결혼 날짜의 끝수에 三이 들어가는 것을 피한다. 三은 ‘散’과 해음이 되어 이별이 연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음력으로 6월 8일이 양력으로 7월 28일에다 토요일(星期六)이 되면 이 날은 길일 중의 길일이 되어 혼례가 거행되는 음식점은 반년 전부터 좌석이 이미 예약 만료되기도 한다. 혹은 음력으로 3월 6일인데, 양력으로 해서 4월 19일이 되어도 길일로 간주된다. 장범성『중국인의 숫자관념과 민속』,중국학연구회, 2000년
6. 나가며
지금까지 중국인들의 언어생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숫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중국인들에게 있어서 숫자란 단순히 수량을 표시하는 것 이외에 그들의 관념을 반영하는 다양한 변용된 의미를 함의하고 있다. 중국인들은 숫자를 통해 그들이 선호하는 것과 금기시하는 것을 구분지어 생활 속에서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중국인들의 숫자 관념은 그들의 일생생활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그래서 전화번호나 핸드폰번호, 차번호의 선택에 있어서도 선호하는 숫자를 가지기 위하여 많은 돈을 지불하고 가지기도 하며 결혼이나 장례에 있어서도 중국인들의 의식 속에 있는 길한 날짜를 신중하게 선택한다. 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교제에 있어서도 숫자문화가 영향을 미친다. 그 대표적인 예가 선물을 할 때에는 짝수로 하는 것인데 이는 중국인들이 짝수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업에서는 자사의 브랜드명이나 제품의 모델넘버, 인터넷 도메인 등을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숫자로 만들어 그들의 숫자문화를 이용하는 마케팅 전략을 펼치기도 한다.
이처럼 중국인들이 숫자에 부여하는 문화적 의미는 우리와 유사한 것도 있지만 다른 점이 훨씬 많고, 또한 그 쓰이는 범위도 훨씬 넓고 다양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국인들이 부여한 숫자의 변용된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중국인들과의 생활 속에서 십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중국에서 어떤 숫자를 선호하고 어떤 숫자를 기피하는 것에는 중국인들만의 문화 현상이 반영되어있다. 이러한 문화현상은 일반 언어에 버금가는 강력한 의사소통 수단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 고 문 헌》
김영구, 한창수 『중국문화개관』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부
남민수, 박운석, 최환 『현대중국의 이해』영남대학교 출판부
박종한 『숫자에 담긴 중국문화와 그 활용』 中國文化硏究 第2輯
어윤형, 전창선 『오행은 뭘까』도서출판 세기
이중생 『언어의 금기로 읽는 중국문화』 동과서
장범성 『중국인의 숫자 관념과 민속』중국학 연구회 『민속문화』2000년
한창수 김영구 공저. 『중국문화개관』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道德經』 42章
竇英才 저, 「談三七二十一的化蘊涵」
楊德峰 (1999:56-60), 吳慧潁(1995:469), 陸慶和(1995:241)참조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7.25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25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