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불도와 중국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불도와 중국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유불도 삼교의 특징
2.유불도 사상의 부흥
3.결론

본문내용

로 백안시했을 때와 비교하면 엄청난 변화다. 중국 도교계는 최근 의미 있는 국제 행사를 치렀다. 지난 4월22일 중국 산시(陝西)성 성도인 시안(西安)에서 개막해 27일 홍콩에서 막을 내린 ‘국제 도덕경(道德經·노자가 지은 경전) 포럼’이다. 도교로서는 공산당 정권 수립 이후 첫번째 치르는 국제 포럼이었다. 중국 정부는 포럼 개최를 위해 1000만위안(약 12억원)의 예산을 지원했다. 개막식에는 중국 공산당 통전부장인 류옌둥(劉延東) 정치협상회의 부주석과 쉬자루(許嘉로) 전인대 부위원장, 예샤오원(葉小文) 국무원 국가종교사무국장 등 당과 정부 요인들이 대거 참석했다. 도교에 대한 중국 당국의 뜨거운 관심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번 포럼에는 전 세계 17개국, 300여명의 도교 학자들과 도사(道士)들이 자리를 함께 해 포럼 주제인 ‘도를 통해 조화로운 사회를 건설하는(和諧世界, 以道相通)’ 방법에 대해 집중 토의했다.
후한 시대 종교 형태를 갖춘 도교는 당나라 때만 해도 국교에 버금갈 정도로 인기를 누렸다. 그러나 이후에는 찬밥신세를 면치 못했다. 특히 근세 들어 서양 문화는 우월하고 토착 문화는 열등하다는 중국인들의 관념 때문에 고전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당국의 지원에다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면서 상황은 크게 호전되고 있다. 서양의 종교 전문가들도 도교가 황금만능주의에 빠진 중국에 정신적 자양분을 줄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영국의 민간단체인 종교보존연대 마틴 파머 사무국장은 “전통 문화와 종교를 재발견하는 것은 중국의 밝은 내일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고 본다. 고 지적했다. 중국이 서방의 잘못된 상업주의와 개인주의에 물들어 있는 만큼 전통적인 종교인 도교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3. 결론
중국인들은 유교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다. 유교적인 규범을 강조하면서 세속적 욕망, 즉 온포(溫飽, 따뜻이 먹고 배불리 먹기)와 부귀를 성취하고자 다른 신앙이나 사상을 찾아 나선다. 어떤 신앙이나 사상이든 중국인의 세계로 들어가면 다양한 세계관이 하나의 체계로 변모한다. 유교, 도교, 불교, 심지어는 기독교와 민간 신앙에 이르기까지 하나하나가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사상 체계로 융합된다. 지금 중국 정부는 유교 부흥운동을 주도하고, 도교 부흥에도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국가와 국가 사이에 문화 주도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문화는 지금 상품으로서의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국내외적으로 정치적인 자원이 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입장에서 과거 사회주의 정부에서 억눌러왔던 유교와 도교 부흥을 꾀하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최근 들어 중국 정부는 ‘홍양중화문명(弘揚中華文明)’의 기치를 내걸고, 이전의 미신타파 담론을 완화하고 있다. 정부가 공자학(孔子學)의 중흥을 내걸고, 도교사원의 개원식에 국가 주석이 참석하며, 묘회(廟會)를 정부에서 지원하는 등 전통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강조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은 민간의 전통적인 영역을 국가가 장악하려는 새로운 문화정치로 봐야 한다.

키워드

중국문화,   유교,   불교,   도교,   유불도,   진흥,   유불도사상,   중국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6.18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50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