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한국문화의 차이점과 공통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과 한국문화의 차이점과 공통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보다는 짧다. 밥상문화라서 굳이 젓가락이 길 필요가 없어서 젓가락이 짧은 편이고 국문화가 발달했는데 나무젓가락은 국물에 젖어서 비위생적일수 있기때문에 주로 쇠젓가락을 쓴다. 뾰족하기보다는 납작한 편이며 위 아래 굵기의 차이가 적다.
한국은 밥그릇을 상에 두고 먹고 ,중국과 일본은 찰기가 없는 쌀이기 때문에 밥그릇을 입 가까이 손에 들고 젓가락으로 먹는다.
한국 젓가락은 지리적 위치만큼이나 중간적이다. 25㎝ 안팎 길이에, 끝은 뾰족하지도 뭉툭하지도 않고 납작하다. 두 나라와 결정적으로 다른 것은 쇠붙이를 젓가락 재료로 쓴다. 예전에는 은과 놋쇠를 주로 썼고, 현대에 와선 묵직한 스텐레스 스틸이나 가벼운 알미늄 둘 다 쓰인다.
중국 사람들은 온 식구가 둘러앉아 식사를 해 음식과의 거리가 멀고 반찬에 기름기가 많고 집기가 어렵기 때문에 젓가락이 가늘고 길다. 중국에서는 나이 많은 사람이 세상을 뜨면 죽은 사람의 덕분에 장수하고 재해를 막을 수 있다고 여겨 붉은 색 젓가락을 쓰기도 한다.
한국의 경우 길이는 비교적 보통 수준이다. 주 재질은 금속 계통이다.
중국의 경우 길이가 가장 긴 편이다. 중국 음식 특성상 뜨거운 기름을 사용한 경우가 많아 데이는 등의 위험을 방지코자 길어진 듯하다. 주 재질은 나무이다.
한국인은 젓가락으로 김치 찢고, 깻잎절임 한 장씩 떼고, 도토리묵까지 집을수 있다.
우리나라는 중간 길이의 젓가락이 보편화되어 있고 굵기나 형태가 중국과 일본의 중간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쇠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금속을 다루는 문화가 발전하면서 자연스럽게 쇠를 수저에 이용하는 방법이 보편화되었다고 한다. 쇠는 나무라는 재질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일본과 중국의 나무젓가락과 비교하여 굵기도 가늘고 손가락으로 잡는 데 미끄럽고 조절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한국젓가락
중국젓가락
③유교 문화권
유교 문화권이어서 충, 효, 예, 인, 의 등 많은 사상이 자리 잡고 있고 가족 중심적이다. 중국은 유가사상에 기초해서 가족중심주의가 강하다. 그래서 가족이라는 소속감을 무척 중시하고 때때로 국법보다도 가족 내에서의 법을 더 앞서서 실행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중국인들은 자신이 속한 공동체를 중시하고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도 좋아한다. 하지만 요즘은 중국의 변화가 매우 빠르게 때문에 그 변화에 맞추기 위해서 중국인들의 가족중심의 사고방식도 그 속도에 맞춰 변화되고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3.3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6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