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편소설 무한의 흰 벽에 대한 연구 박형서 - 정착한 도망자가 마주하게 되는 것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단편소설 무한의 흰 벽에 대한 연구 박형서 - 정착한 도망자가 마주하게 되는 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비상식, 그 이면의 진실
2. 기차와 좌석, 도망의 공간과 정착의 무대
3. 인물분석―신화‧원형적 비평을 중심으로
4. 벽은 어째서 하얗고 무한한가?
5. 마치며: 차창에 비친 얼굴

본문내용

르게 달아나고 있었다. 온몸이 수직으로 도약하는 느낌이었다. 그 와중에도 범수는 가슴에 명멸하는 의식을 낱낱이 엮어, 대전 아가씨와 꼭 함께 머물길 꿈꾸었던 예쁜 카페와 인적 드문 거리와 달빛에 젖은 백사장을 그려보았다. 하지만 그것들은 어디로든 도망칠 수 있을 때에나 가능한 풍경이어서, 갖은 애를 다 써보아도 정작 떠오르는 건 구획도 분할도 없이 무한히 펼쳐진 새하얀 벽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니 쩔뚝거리는 여덟 살 아이의 어머니는 정말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없었겠구나, 하고 생각했다. 위의 책, p.153.
진단방사선실에 ‘범수가 누울 공간’을 만든 어머니, 즉 아들을 위해 정착을 선택한 그의 시선은 ‘매번 범수 너머 무한의 흰 벽을 멍하니 흘러 다’니게 된다. 훗날 기차의 좌석에서 의자가 되어가던 범수는 그런 어머니가 ‘정말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없었겠’다고 생각하며 ‘구획도 분할도 없이 무한히 펼쳐진 새하얀 벽’을 떠올린다. 두 인물이 ‘무한의 흰 벽’을 바라보게 된 시기상에 공통점이 있다. 바로 ‘소멸’에 가까워진 순간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공통점은 두 인물 앞에 나타난 벽이 ‘무한’하고 ‘흰’색이었다는 것에서 기인한다. ‘미국의 문학비평가 윌프레드 게린(Wilfred L. Guerin)이 제시한 문학원형과 그 상징적 의미에 따르면, 백색은 순수나 순진, 영원, 죽음, 공포, 초자연 등의 개념을 암시한다.’ 이상우 외 2, 앞의 책, pp.243-244. 참조.
또한 ‘융 학파 정신분석가인 테오도르 압트(Theodor Abt)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새하얀 공간은 만질 수 없는 어떤 것을 가리키거나, 삶에서 기대하지 않았던 국면이 들어오도록 개방하고 허용함을 내포한다고 볼 수 있다.’ 테오도르 압트, 이유경 역, 『융 심리학적 그림해석』, 분석심리학연구소, 2008, p.107. 참조.
이처럼 흰색이 지닌 상징성은 ‘수양공간시간 따위에 제한이나 한계가 없음’ 국립국어원자료 참조.
이라는 의미를 지닌 ‘무한’이라는 단어와 상통한다. 따라서 두 인물이 소멸을 앞두고 ‘무한’의 ‘흰’ 벽을 마주한다는 것은, 앞서 영웅 신화적 서사구조를 살펴봄으로써 도출해낼 수 있었던 ‘재생’의 의미에 대한 반증이 되겠다.
5. 마치며: 차창에 비친 얼굴
지금까지 박형서의 단편소설 「무한의 흰 벽」의 주제를 파악하고, 그 주제가 공간적 배경, 사건, 인물 등의 구성적 요소와 상징적 모티프를 통해 어떤 식으로 드러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파악할 수 있었던 사실들 중 하나는, ‘사물화’라는 비일상적인 개념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요소에 특이성이라고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노숙자로 가득한 기차역, 농촌의 한 경로당, 낚시터, 기차와 같이 도처에 존재하는 공간, 그곳에서 매순간 무언가를 필사적으로 행동하던 사람들 역시 그 공간들처럼 우리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 이들이다. 그러니 소설의 주된 무대였던 ‘KTX 131호 열차 7호차’의 ‘6D’ 좌석, 그곳 창가에 비친 얼굴은 비단 범수의 그것만이 아니라는 생각이다.
참고 문헌 및 자료
1.
박형서, 「무한의 흰 벽」, 한국현대소설학회, 『2014 올해의 문제소설』, 푸른사상사, 2014.
2.
이상우 외 2,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2002.
조셉 캠벨, 이윤기 역,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민음사, 2007.
최민성, 「신화의 구조와 스토리텔링 모델」, 『국제어문』 42, 2008.
테오도르 압트, 이유경 역, 『융 심리학적 그림해석』, 분석심리학연구소, 2008.
3.
국립국어원 자료.
강현숙, 「박형서 소설집 ‘끄라비’―박형서표 ‘발칙한 상상’ 통할까?」, 경기일보, 2014-05-28.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9.03.3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6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