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편안하게 호흡할 수 있다.
평가기준 - 대상자가 호흡에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고 호흡곤란으로 인한 증상이 없다.
계획
중재
이론적근거
1.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날짜/시간
10.16(14:00)
10.17(14:00)
10.18(14:00)
10.19(14:00)
RR
(회/min)
17
15
10
11
SpO₂(%)
100
100
98
97
1). 대상자의 호흡수와 산소포화도를 사정하였다.
→ 대상자의 호흡수와 산소포화도가 정상범위 내에 있다.
→ 호흡 시 관찰결과 부속근을 사용하지 않았다.
→ 호흡음 청진 시 그르렁거리는 소리가 들렸다(Crackle). (10.16~)
2. 폐기능을 사정한다.
1) Chest A-P 검사를 시행하여 폐기능을 사정한다.
-CHEST A-P -r/o pulmonary edema(폐부종). Atelectasis/consolidation at LLL(좌폐 하엽의 무기폐/경화)
→ 다량의 수액투여와 관련된 폐부종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10.16~)
3.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1) 처방된 뮤코미스트액 800mg/4ml q 6hr와 nebulizer를 적용하였다.
→하루 세 번 (10:00/16:00/22:00) 뮤코미스트액을 넣은 네뷸라이저를 적용하여 가래배출을 도왔다. (10.16~)
4. 기도개방 및 가스교환을 증진하는 체위를 취해준다.
1) 반좌위 또는 HE 30°를 취해주었다.
→ 대상자가 호흡시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고 편안히 호흡하며 휴식하였다. (10.16~)
2) 체위변경 시 등을 두드려주고 기침 시 흉곽을 두드려 가래배출을 도왔다.
→ 정상적으로 호흡하며 RR 9~19, SpO₂가 97%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10.16~)
5. 산소를 공급한다.
1) nasal prong O₂ 2L를 투여하였다.
→ SpO₂가 100%로 유지되었다. (10.16~)
→ 대상자가 nasal prong을 제거하려고 하여 간간히 room air를 적용하였으나 SpO₂가 95% 이하로 떨어지지 않았다. (10.16~)
평가 - 퇴원시까지 대상자가 호흡에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고 호흡곤란으로 인한 증상이 없다. (충족)
# 간호진단 : 3.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목적 - 대상자는 낙상으로 인한 부상을 입지 않는다.
평가기준 - 퇴원 시까지 낙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퇴원 시까지 안정된 상태로 휴식 및 수면한다.
계획
중재
이론적근거
1. 낙상 위험 정도를 사정하고 낙상예방을 위해 안전한 물리적 환경을 조성한다. .
1). 낙상 위험도구(Morse)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낙상위험도를 사정하고 낙상위험요인을 확인하였다.
-이차적 진단(뇌출혈) 있음_25
-보조기구+보행 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함_30점
-정맥수액 있음_20점
→ 낙상위험평가 결과 총점 75점으로 낙상 고위험군임을 확인하였다.
2). 낙상의 환경적 위험요소를 확인하고 제거한다.
- Side rail을 올려주었다.
- 침대바퀴가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였다.
- 대상자가 침상안정하도록 하였다.
→ 대상자가 침상안정 상태로 휴식 및 수면하였다. (10.16~)
-Morse 낙상위험사정도구는 과거 낙상경험의 유무, 부진단의 유무, 보행보조의 종류, 정맥 주입요법의 유무, 걸음걸이/이동의 상태, 의식/정신 상태를 점수화하여 낙상의 위험도를 객관적 지표를 나타낸다.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낙상병력을 조사하고, 낙상사정 도구를 이용하여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낙상 위험요인을 사정할 수 있다.
(변영순 외 2014,기본간호학1, 계축문화사, p174~p175)
2. 의식수준을 사정한다.
1) 대상자의 의식수준 및 GCS를 사정하였다.
내용 날짜/시간
10.16
/(08:00)
10.16
/(15:00)
10.17
/(08:00)
10.17
/(15:00)
10.18
/(08:00)
10.18
/(15:00)
10.19
/(08:00)
10.19
/(15:00)
의식수준
Mental State
drowsy
drowsy
drowsy
drowsy
drowsy
drowsy
drowsy
drowsy
GCS
Eye Opening
4
4
3
4
4
3
3
4
Verbal Response
4
4
4
4
4
4
4
4
Motor Response
6
6
6
6
6
6
6
6
→ 질문 시 시간에 대한 지남력은 떨어지나 사람/장소에 지남력이 있었다. 조용히 누워 수면하거나 휴식하였으나 종종 앉은 상태로 허공에 헛소리를 하며 흥분하면 다가가서 진정시켜 침대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중재하였다. (10.16~)
-Morse 낙상위험사정도구는 과거 낙상경험의 유무, 부진단의 유무, 보행보조의 종류, 정맥 주입요법의 유무, 걸음걸이/이동의 상태, 의식/정신 상태를 점수화하여 낙상의 위험도를 객관적 지표를 나타낸다.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낙상병력을 조사하고, 낙상사정 도구를 이용하여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낙상 위험요인을 사정할 수 있다.
(변영순 외 2014,기본간호학1, 계축문화사, p174~p175)
3. 낙상예방을 위한 교육을 실시한다.
1). 체위이동 시 단계적으로 움직일 것을 교육하였으며 침대에서 내려오지 말고 침상안정을 할 것을 교육하였다.
→ 대상자가 교육을 이해하였음을 확인하고 실천하는 모습을 보았다.
가정이나 병원에서 미끄러운 바닥, 흐린 조명, 어지롭게 놓인 물건, 미끄러운 슬리퍼 등은 낙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며, 모든 연령에서 발생하지만 영아나 노인에게 특히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 낙상의 빈도는 연령이 높아지고, 허약한 수준이 올라감에 따라증가한다. 낙상을 초래하는 가장 흔한 원인은 뇌졸중, 실명, 약물과 관련된 저혈압이다.
(변영순 외 2014, 기본간호학 1, 계축문화사, p185)
평가 - 퇴원 시까지 낙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충족)
퇴원 시까지 안정된 상태로 휴식 및 수면한다. (충족)
10) 참고문헌
차영남 외(2013),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p3~p170
변영순 외(2014),기본간호학1, 계축문화사, p174~p175, p185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2005), 신경학
(이론적 근거 추가예정)
평가기준 - 대상자가 호흡에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고 호흡곤란으로 인한 증상이 없다.
계획
중재
이론적근거
1.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날짜/시간
10.16(14:00)
10.17(14:00)
10.18(14:00)
10.19(14:00)
RR
(회/min)
17
15
10
11
SpO₂(%)
100
100
98
97
1). 대상자의 호흡수와 산소포화도를 사정하였다.
→ 대상자의 호흡수와 산소포화도가 정상범위 내에 있다.
→ 호흡 시 관찰결과 부속근을 사용하지 않았다.
→ 호흡음 청진 시 그르렁거리는 소리가 들렸다(Crackle). (10.16~)
2. 폐기능을 사정한다.
1) Chest A-P 검사를 시행하여 폐기능을 사정한다.
-CHEST A-P -r/o pulmonary edema(폐부종). Atelectasis/consolidation at LLL(좌폐 하엽의 무기폐/경화)
→ 다량의 수액투여와 관련된 폐부종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10.16~)
3.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1) 처방된 뮤코미스트액 800mg/4ml q 6hr와 nebulizer를 적용하였다.
→하루 세 번 (10:00/16:00/22:00) 뮤코미스트액을 넣은 네뷸라이저를 적용하여 가래배출을 도왔다. (10.16~)
4. 기도개방 및 가스교환을 증진하는 체위를 취해준다.
1) 반좌위 또는 HE 30°를 취해주었다.
→ 대상자가 호흡시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고 편안히 호흡하며 휴식하였다. (10.16~)
2) 체위변경 시 등을 두드려주고 기침 시 흉곽을 두드려 가래배출을 도왔다.
→ 정상적으로 호흡하며 RR 9~19, SpO₂가 97%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10.16~)
5. 산소를 공급한다.
1) nasal prong O₂ 2L를 투여하였다.
→ SpO₂가 100%로 유지되었다. (10.16~)
→ 대상자가 nasal prong을 제거하려고 하여 간간히 room air를 적용하였으나 SpO₂가 95% 이하로 떨어지지 않았다. (10.16~)
평가 - 퇴원시까지 대상자가 호흡에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고 호흡곤란으로 인한 증상이 없다. (충족)
# 간호진단 : 3.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목적 - 대상자는 낙상으로 인한 부상을 입지 않는다.
평가기준 - 퇴원 시까지 낙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퇴원 시까지 안정된 상태로 휴식 및 수면한다.
계획
중재
이론적근거
1. 낙상 위험 정도를 사정하고 낙상예방을 위해 안전한 물리적 환경을 조성한다. .
1). 낙상 위험도구(Morse)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낙상위험도를 사정하고 낙상위험요인을 확인하였다.
-이차적 진단(뇌출혈) 있음_25
-보조기구+보행 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함_30점
-정맥수액 있음_20점
→ 낙상위험평가 결과 총점 75점으로 낙상 고위험군임을 확인하였다.
2). 낙상의 환경적 위험요소를 확인하고 제거한다.
- Side rail을 올려주었다.
- 침대바퀴가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였다.
- 대상자가 침상안정하도록 하였다.
→ 대상자가 침상안정 상태로 휴식 및 수면하였다. (10.16~)
-Morse 낙상위험사정도구는 과거 낙상경험의 유무, 부진단의 유무, 보행보조의 종류, 정맥 주입요법의 유무, 걸음걸이/이동의 상태, 의식/정신 상태를 점수화하여 낙상의 위험도를 객관적 지표를 나타낸다.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낙상병력을 조사하고, 낙상사정 도구를 이용하여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낙상 위험요인을 사정할 수 있다.
(변영순 외 2014,기본간호학1, 계축문화사, p174~p175)
2. 의식수준을 사정한다.
1) 대상자의 의식수준 및 GCS를 사정하였다.
내용 날짜/시간
10.16
/(08:00)
10.16
/(15:00)
10.17
/(08:00)
10.17
/(15:00)
10.18
/(08:00)
10.18
/(15:00)
10.19
/(08:00)
10.19
/(15:00)
의식수준
Mental State
drowsy
drowsy
drowsy
drowsy
drowsy
drowsy
drowsy
drowsy
GCS
Eye Opening
4
4
3
4
4
3
3
4
Verbal Response
4
4
4
4
4
4
4
4
Motor Response
6
6
6
6
6
6
6
6
→ 질문 시 시간에 대한 지남력은 떨어지나 사람/장소에 지남력이 있었다. 조용히 누워 수면하거나 휴식하였으나 종종 앉은 상태로 허공에 헛소리를 하며 흥분하면 다가가서 진정시켜 침대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중재하였다. (10.16~)
-Morse 낙상위험사정도구는 과거 낙상경험의 유무, 부진단의 유무, 보행보조의 종류, 정맥 주입요법의 유무, 걸음걸이/이동의 상태, 의식/정신 상태를 점수화하여 낙상의 위험도를 객관적 지표를 나타낸다.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낙상병력을 조사하고, 낙상사정 도구를 이용하여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낙상 위험요인을 사정할 수 있다.
(변영순 외 2014,기본간호학1, 계축문화사, p174~p175)
3. 낙상예방을 위한 교육을 실시한다.
1). 체위이동 시 단계적으로 움직일 것을 교육하였으며 침대에서 내려오지 말고 침상안정을 할 것을 교육하였다.
→ 대상자가 교육을 이해하였음을 확인하고 실천하는 모습을 보았다.
가정이나 병원에서 미끄러운 바닥, 흐린 조명, 어지롭게 놓인 물건, 미끄러운 슬리퍼 등은 낙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며, 모든 연령에서 발생하지만 영아나 노인에게 특히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 낙상의 빈도는 연령이 높아지고, 허약한 수준이 올라감에 따라증가한다. 낙상을 초래하는 가장 흔한 원인은 뇌졸중, 실명, 약물과 관련된 저혈압이다.
(변영순 외 2014, 기본간호학 1, 계축문화사, p185)
평가 - 퇴원 시까지 낙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충족)
퇴원 시까지 안정된 상태로 휴식 및 수면한다. (충족)
10) 참고문헌
차영남 외(2013),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p3~p170
변영순 외(2014),기본간호학1, 계축문화사, p174~p175, p185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2005), 신경학
(이론적 근거 추가예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