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수술전후 환자의 아미노산 보급
·용량 용법 : 1일 1-1.5g/kg을 최대용량으로 60분 동안 1분간 30-40적 정맥 내 점적주사
소아, 노인, 단백요구량이 많은 화상 환자 등의 경우는 용량 및 주입속도 조절
·금기 : 고질소혈증 환자, 소모성 심부전증, 폐수종, 핍뇨증
·주의 : 고도의 아시도시스 환자, 울혈성 심부전, 부종환자, 간장애/신장애 환자
·부작용 : 과민증, 구토, 구역, 흉부 불쾌감, 심계항진. 빈맥, 혈압강하 등
Cerabin
·약효 분류 : 정신부활약
·효능 효과 : 뇌기능 장애, 대뇌외상후, 교감신경피로, 소아정신 발달의 심한 장애
·용법 용량 : 2ml까지는 피하나 근육 주사, 5ml까지는 근육 주사, 10ml이상은 생리식염수 주사액에 무균적으로 혼화하여 60-120분간에 걸쳐서 천천히 정맥내 투입
·금기 : 심한 신장애 환자, 알레르기 체질 환자
·부작용 : 열 반응, 오한, 미약한 체온 상승
Nimodipine
·약효 분류 : 순환 개선제
·효능 효과 : 지후막하 출혈후의 뇌혈관 경련에 의한 허혈성 신경장애의 예방 및 치료
·용법 용량 : -점적정주 : 1mg/hr으로 시작하여 2시간 이상 투여, 내성이 좋고 현저한 혈압강하가 일어나지 않는 한 2시간 이후부터 2mg/hr로 증량 가능
-체중이 70kg보다 미만인 환자 또는 혈압이 불안정한 환자인 경우 : 0.5mg/hr로 투여, 병용 수액량을 1일 1000ml이상으로 할 것
·금기: 임부, 가임부
·주의 : 뇌부종 또는 두개내압이 상승된 환자, 저혈압 환자, 간/신기능 장애 환자
·부작용 : 구역, 위장장애, 장폐색증, 두통, 어지러움, 무력증, 졸음, 흥분, 혈압강하
Epinephrine
·효능 : 강심, 혈관 수축제
·용량 : 0.1-0.4ml/sc IV, IM
·부작용 : 흉통, 심박불규칙, 불안, 두통
·금기 : 쇼크, organic heart disease, cardiac dilation, organic brain damage
DPNB
·효능 : 급성 순환부전
·용량 : CVP가 10-15cm H2O가 될 때까지 whole blood 나 plasm를 투여 후 2-5mcg/kg/min씩 투여. 심한 경우 5-10mcg/kg/min투여후 필요한 경우 20-50mcg/kg/min까지 IV로 투여
·부작용 : 부정맥, 말초의 허혈, 협심증, 심계항진, 호흡곤란, 저혈압, 구역, 구토
·금기 : pheochromocytoma, 빈맥성 부정맥, 심실세동, 갑상선 중독증자
♠ 간호 진단
부동성 혹은 휴식부족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수술 상처와 관련된 통증
부동성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사정
객관적
자료
- sore 생김
- Lt hemiparesis
- deep drowsy ∼ stupor mentality
- 억제대로 사지를 묶어둠
- 하루 종일 같은 position으로 누워 있음
주관적
자료
deep drowsy ∼ stupor 상태로 주관적 자료 사정 불가능
목표
단기 목표
- sore가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장기 목표
- 더 이상 피부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계획
- 자주 position change 해준다.
-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도록 자주 닦아준다.
- 피부 상태를 관찰한다.
- 적절한 수분 섭취와 휴식을 권장한다.
- 손상 부위에는 적절한 처치를 해준다.
- 피부에 자주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중재
- 간호활동하기 전후에 손을 씻었다.
- 1시간 마다 position change 해주었다.
- 물수건으로 자주 몸을 닦아주었다.
- sore부분에 선풍기를 대어주었다.
- 환자복이나 시트가 구겨져서 압력을 받고 있는 부위가 없는지 관찰하였다.
- sore치료 위한 연고를 발라주었다.
- 환자가 손상된 피부를 자주 만지지 않도록 억제대를 해주었다.
평가
- sore 부분이 딱딱해졌다.
- 다른 부위에 더 이상 피부 손상이 생기지 않았다.
수술 상처와 관련된 통증
사정
객관적 자료
- BP와 Pluse, BT, R이 올라간다.
- 동공이 확대됨(3.5p↑/3.5p↑)
주관적 자료
- 수술한 부위를 계속 만진다.
- 얼굴을 찡그린다.
목표
단기 목표
- 통증이 최소화 되도록 한다.
장기 목표
- 통증을 통제하여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계획
- 활력징후를 관찰한다.
- 심할 경우 진통제를 투약한다.
- 휴식을 취하도록 주위 환경을 조용히 한다.
- 상처 부위가 눌리지 않도록 체위변경을 해준다.
- 마사지 등 근육경련을 감소하기 위한 활동을 한다.
중재
- 휴식을 취하도록 조용히 하였다.
- 환자의 머리를 상승 시켰다.
- 수분 섭취를 권장하였다.
- 체위를 변경해주었다.
- 시간마다 활력 징후를 관찰하였다.
- 근육 마사지를 해주었다.
평가
- 통증의 정도가 완화되었다.
수술부위 상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사정
객관적 자료
- BT가 올라갔다. (37.9。)
- Secretion의 양이 많아지고 색이 진해졌다.
- 수술부위 상처에 pus가 생겼다.
주관적 자료
- deep drowsy ∼ stupor 상태로 주관적 자료 사정 불가능
목표
단기 목표
- BT가 더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한다.
장기 목표
- 환자에게 감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계획
- 피부와 점막 상태를 사정한다.
- 활력징후를 관찰한다.
- 방문객을 제한한다.
- 방문객 출입 시 손을 씻도록 교육시킨다.
- 간호활동을 하기 전후에 손을 씻도록 한다.
- 적절한 상처간호를 수행한다.
수행
- 활력 징후를 관찰하였다.
- 방문객 출입 시 손을 씻도록 교육하였다.
- 간호활동을 하기 전 후에 손을 씻었다.
- 피부와 점막 상태를 사정하였다.
- 1명씩 면회를 하도록 하였다.
평가
- BT가 정상으로 돌아왔다.
※참고 문헌
임상검사와 간호 / 송경애 외 7명 / 수문사
간호진단과 간호 중재 / 최명희 외 3명 / 현문사
간호진단과 계획 / 김조자 외 5명 공저 / 대한 간호협회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 대한간호협회 서울시지부 학술 위원회 / 수문사
간호진단과 계획 / 서울대학교병원 편 / 서울대학교 출판부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 최정신 / 현문사
http://www.druginfo.co.kr
·용량 용법 : 1일 1-1.5g/kg을 최대용량으로 60분 동안 1분간 30-40적 정맥 내 점적주사
소아, 노인, 단백요구량이 많은 화상 환자 등의 경우는 용량 및 주입속도 조절
·금기 : 고질소혈증 환자, 소모성 심부전증, 폐수종, 핍뇨증
·주의 : 고도의 아시도시스 환자, 울혈성 심부전, 부종환자, 간장애/신장애 환자
·부작용 : 과민증, 구토, 구역, 흉부 불쾌감, 심계항진. 빈맥, 혈압강하 등
Cerabin
·약효 분류 : 정신부활약
·효능 효과 : 뇌기능 장애, 대뇌외상후, 교감신경피로, 소아정신 발달의 심한 장애
·용법 용량 : 2ml까지는 피하나 근육 주사, 5ml까지는 근육 주사, 10ml이상은 생리식염수 주사액에 무균적으로 혼화하여 60-120분간에 걸쳐서 천천히 정맥내 투입
·금기 : 심한 신장애 환자, 알레르기 체질 환자
·부작용 : 열 반응, 오한, 미약한 체온 상승
Nimodipine
·약효 분류 : 순환 개선제
·효능 효과 : 지후막하 출혈후의 뇌혈관 경련에 의한 허혈성 신경장애의 예방 및 치료
·용법 용량 : -점적정주 : 1mg/hr으로 시작하여 2시간 이상 투여, 내성이 좋고 현저한 혈압강하가 일어나지 않는 한 2시간 이후부터 2mg/hr로 증량 가능
-체중이 70kg보다 미만인 환자 또는 혈압이 불안정한 환자인 경우 : 0.5mg/hr로 투여, 병용 수액량을 1일 1000ml이상으로 할 것
·금기: 임부, 가임부
·주의 : 뇌부종 또는 두개내압이 상승된 환자, 저혈압 환자, 간/신기능 장애 환자
·부작용 : 구역, 위장장애, 장폐색증, 두통, 어지러움, 무력증, 졸음, 흥분, 혈압강하
Epinephrine
·효능 : 강심, 혈관 수축제
·용량 : 0.1-0.4ml/sc IV, IM
·부작용 : 흉통, 심박불규칙, 불안, 두통
·금기 : 쇼크, organic heart disease, cardiac dilation, organic brain damage
DPNB
·효능 : 급성 순환부전
·용량 : CVP가 10-15cm H2O가 될 때까지 whole blood 나 plasm를 투여 후 2-5mcg/kg/min씩 투여. 심한 경우 5-10mcg/kg/min투여후 필요한 경우 20-50mcg/kg/min까지 IV로 투여
·부작용 : 부정맥, 말초의 허혈, 협심증, 심계항진, 호흡곤란, 저혈압, 구역, 구토
·금기 : pheochromocytoma, 빈맥성 부정맥, 심실세동, 갑상선 중독증자
♠ 간호 진단
부동성 혹은 휴식부족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수술 상처와 관련된 통증
부동성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사정
객관적
자료
- sore 생김
- Lt hemiparesis
- deep drowsy ∼ stupor mentality
- 억제대로 사지를 묶어둠
- 하루 종일 같은 position으로 누워 있음
주관적
자료
deep drowsy ∼ stupor 상태로 주관적 자료 사정 불가능
목표
단기 목표
- sore가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장기 목표
- 더 이상 피부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계획
- 자주 position change 해준다.
-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도록 자주 닦아준다.
- 피부 상태를 관찰한다.
- 적절한 수분 섭취와 휴식을 권장한다.
- 손상 부위에는 적절한 처치를 해준다.
- 피부에 자주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중재
- 간호활동하기 전후에 손을 씻었다.
- 1시간 마다 position change 해주었다.
- 물수건으로 자주 몸을 닦아주었다.
- sore부분에 선풍기를 대어주었다.
- 환자복이나 시트가 구겨져서 압력을 받고 있는 부위가 없는지 관찰하였다.
- sore치료 위한 연고를 발라주었다.
- 환자가 손상된 피부를 자주 만지지 않도록 억제대를 해주었다.
평가
- sore 부분이 딱딱해졌다.
- 다른 부위에 더 이상 피부 손상이 생기지 않았다.
수술 상처와 관련된 통증
사정
객관적 자료
- BP와 Pluse, BT, R이 올라간다.
- 동공이 확대됨(3.5p↑/3.5p↑)
주관적 자료
- 수술한 부위를 계속 만진다.
- 얼굴을 찡그린다.
목표
단기 목표
- 통증이 최소화 되도록 한다.
장기 목표
- 통증을 통제하여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계획
- 활력징후를 관찰한다.
- 심할 경우 진통제를 투약한다.
- 휴식을 취하도록 주위 환경을 조용히 한다.
- 상처 부위가 눌리지 않도록 체위변경을 해준다.
- 마사지 등 근육경련을 감소하기 위한 활동을 한다.
중재
- 휴식을 취하도록 조용히 하였다.
- 환자의 머리를 상승 시켰다.
- 수분 섭취를 권장하였다.
- 체위를 변경해주었다.
- 시간마다 활력 징후를 관찰하였다.
- 근육 마사지를 해주었다.
평가
- 통증의 정도가 완화되었다.
수술부위 상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사정
객관적 자료
- BT가 올라갔다. (37.9。)
- Secretion의 양이 많아지고 색이 진해졌다.
- 수술부위 상처에 pus가 생겼다.
주관적 자료
- deep drowsy ∼ stupor 상태로 주관적 자료 사정 불가능
목표
단기 목표
- BT가 더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한다.
장기 목표
- 환자에게 감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계획
- 피부와 점막 상태를 사정한다.
- 활력징후를 관찰한다.
- 방문객을 제한한다.
- 방문객 출입 시 손을 씻도록 교육시킨다.
- 간호활동을 하기 전후에 손을 씻도록 한다.
- 적절한 상처간호를 수행한다.
수행
- 활력 징후를 관찰하였다.
- 방문객 출입 시 손을 씻도록 교육하였다.
- 간호활동을 하기 전 후에 손을 씻었다.
- 피부와 점막 상태를 사정하였다.
- 1명씩 면회를 하도록 하였다.
평가
- BT가 정상으로 돌아왔다.
※참고 문헌
임상검사와 간호 / 송경애 외 7명 / 수문사
간호진단과 간호 중재 / 최명희 외 3명 / 현문사
간호진단과 계획 / 김조자 외 5명 공저 / 대한 간호협회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 대한간호협회 서울시지부 학술 위원회 / 수문사
간호진단과 계획 / 서울대학교병원 편 / 서울대학교 출판부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 최정신 / 현문사
http://www.druginfo.co.kr
추천자료
뇌출혈 (cerebral hemorrhage)
뇌출혈[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신경외과 중환자실 케이스-뇌동맥류,지주막하 출혈 대상자에 대한 사례보고
[간호학] 뇌출혈 케이스
노인간호학 뇌내출혈 case study
뇌실내 뇌내출혈 케이스 스터디
뇌출혈 간호과정
뇌출혈 (Arteriovenous malfomation, AVM)
뇌출혈케이스 한장요약자료
뇌출혈 문헌고찰
뇌졸중 환자간호(뇌출혈, 뇌경색, 당뇨환자, 고혈압 환자등)
뇌출혈케이스3
[뇌혈관질환, 뇌혈관질환 정의, 뇌혈관질환 원인, 뇌혈관질환 증상, 뇌질환]뇌혈관질환의 정...
[동서협진과 CASE] 뇌내출혈 및 혈종으로 인한 광증 환자 1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