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개론 - 보조용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학개론 - 보조용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품사의 분류


Ⅱ. 본론

1. 보조용언의 정의

2. 보조용언의 분류

2.1. 형태상의 분류

2.2. 의미상의 분류

2.3. 화용론적 의미에 따른 분류


3. 보조용언의 종류


4. 보조용언의 구문 구조


5. 보조용언의 특성

5.1. 보조용언과 본용언의 비교

5.1.1. 통사상의 차이

5.1.2. 의미상의 차이

5.2. 보조용어 구성과 다른 구성의 구별

5.2.1. 보조용언 구성과 합성용언

5.2.2. 보조용언 구성과 복합문 구성


6. 보조용언의 제약

6.1. 선행용언에 대한 어미 선택 제약

6.2. 보조용언 구문과 부정부사 ‘안’의 제약

6.3. ‘-어 놓다/두다/버리다/내다/치우다, -고 말다’의 제약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문은 선행하는 본용언과 후행하는 보조용언 전체의 생략은 가능하지만 분리해서 생략하면 비문법적인 문장이 된다. 그러나 복합문 구성에서 선행용언과 후행용언 전체 생략과 후행용언만의 생략이 가능하다.
(40) a. 민지는 고구마를 삶아 먹고, 주미는 고구마를 구워 먹었다.
b. 민지는 고구마를 삶아, 주미는 고구마를 구워 먹었다.
(41) a. 경연이는 서류를 찢어 버리고, 지혜는 태워 버렸다.
b. *경연이는 서류를 찢어, 지혜는 태워 버렸다.
(40a)의 복합문 구성 \'삶아 먹고\'에서 후행용언 \'먹고\'를 생략해도 (40b)와 같이 문장이 성 립되지만 (41a)의 보조용언 구성 \'찢어 버리고\'에서 보조용언 \'버리고\'를 생략하면 (41b)와 같이 문장이 성립되지 않는다.
나. 의미상의 구별
보조용언 구성에서 선행용언은 어휘적 의미를 그대로 나타내지만 후행하는 보조용언은 실질적인 어휘의미를 나타내지 않고 상이나 양태적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복합문 구성에 서 선행용언과 후행용언은 모두 각자의 어휘적 의미를 나타낸다.
(42) a. 비가 그쳐 간다.
b. 어머니께서 아이를 때려 주었다.
(43) 영희는 점심을 먹고 갔다.
(42)는 보조용언 구문이다. (42a)에서의 \'가다\'는 \'이동하다\'라는 실질적인 어휘의미가 없 고 \'미완성\'이라는 문법적 의미를 나타낸다. 그리고 (42b)에서의 \'주다\'는 \'물건 따위를 남 에게 가져 누리게 하다\'라는 실질적인 어휘의미가 아니고 \'제공\'의 양태 의미가 있다. 즉 화자는 본동사에 의해 이끌리는 내용에 대하여 화자 자신이나 또는 어떤 대상에게 선행동 사의 내용을 제공한다는 것을 표현하는데, 그 제공을 긍정적인 관점에서 서술하는 태도가 보조용언 \'주다\'에 의해 표현된다. (43)처럼 복합문 구성에서 후행하는 용언 \'가다\'는 문법 적인 의미가 아니라 본용언으로서 \'이동하다, 떠나다\' 등 어휘적 의미를 가진다.
6.보조용언의 제약
지금까지 보조용언의 특징을 본용언과 합성용언 그리고 복합문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제 문장에서 주된 의미 기능을 하는 본용언의 어간 뒤에 연결어미가 붙고, 이것에 후행하여 본용언의 의미를 보충하여 주는 보조용언이 연결됨으로써 보조용언 구문이 형성된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보조용언 구문이 가지고 있는 제약에 대한 몇 가지 예를 살펴보자.
6.1. 선행용언에 대한 어미 선택 제약
보조용언 구문은 선행용언과 후행용언이 결합하는 어미에 대하여 강력한 제약을 가하는 특성을 보인다.
(44) a. 그가 학교에 가고 싶다.
b. 그가 학교에 갔으면 싶다.
c. 그가 학교에 갈듯 싶다.
d. 그가 학교에 갈까 싶다.
(45) a. 그가 학교에 가다.
b. *그가 학교에 싶다.
(4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용언 뒤에 \'-고 싶다\' 형만 나타나는 것이 아님을 볼 때, 발 화 상황에 따라서는 \'-고\' 외의 다른 어미도 적격문이 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선행용 언에 연결어미가 결합된 형태 자체가 생략되어 있는 선행용언 결여형 (45)는 비적격문이 다.
6.2. 보조용언 구문과 부정부사 \'안\'의 제약
축약형 부정부사 \'안\'의 보조용언 구문에서의 위치가 적격문 여부를 결정짓는 데 영향을 미친다.
(46) a. 비가 오기는 한다.
b. 비가 안 오기는 한다.
c. *비가 오기는 안 한다.
(47) a. 비가 오지는 안 한다.
b. *비가 안 오지는 한다.
긍정문에 쓰이는 명사형 어미 \'-기\'가 쓰인 문장에서는 (46b)와 (46c)의 비교에서와 같이 축약형 부정부사 \'안\'을 본용언 앞자리로 배치해야 보다 적격문의 느낌을 주는 문장이 되 고, 부정문에 쓰이는 연결어미 \'-지\'가 쓰인 문장에서는 (47a)와 (47b)의 비교에서와 같이 축약형 부정부사 \'안\'을 보조용언 바로 앞자리에 배치해야 보다 적격문의 문장이 된다.
6.3. \'-어 놓다/두다/버리다/내다/치우다, -고 말다\'의 제약
미완료 진행상을 표현하는 부사 \'아직\'은 \'놓다, 두다, 버리다, 내다, 말다, 치우다\' 등의 보조용언과 결합상의 제약을 보인다.
(48) a. 나는 아직 음식을 (만든다/*만들어 놓는다).
b. 사람들이 아직 지도를 (본다/*봐 둔다).
c. 동생은 아직 밥을 (먹는다/*먹어 버린다).
d. 경찰이 아직 범인을 (찾는다/*찾아 낸다).
e. 미혜가 아직 엽서를 (보낸다/*보내고 만다).
f. 친구가 아직 점심을 (먹는다/*먹어 치운다).
(48a~f)에서 보조용언 \'놓다, 두다, 버리다, 내다, 말다, 치우다\'가 쓰인 문장이 비적격문 이 되는 것은 이들 보조용언들이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것들이기 때문에 \'아직\'이라는 시간 부사의 미완료 진행 의미와 상충하기 때문이다. 이 사실은 보조용언들이 동작의 완료 를 전제로 하는 동사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보조용언의 정의와 보조용언의 분류기준, 보조용언의 종류와 보조용언의 특징 그리고 보조용언의 제약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보조용언이란 용언 중에는 혼자서 쓰이지 못하고 반드시 다른 용언의 뒤에 붙어서 의미를 보충하는 역할의 하는 보조동사, 보조 형용사를 말한다 하였다. 보조용언의 종류는 18개의 항목 속 에 72개로 제시하면서 \'하다\'종류의 보조용언은 의미 기능별로 나누어 별로도 분류하였다. 보조용언 구문구조3가지를 소개하였다. 보조용언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보조용언과 본용언 그리고 다른 구성을 통사상의차이, 의미상의 차이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보조용언 구문이 가지고 있는 제약에 대하여 간단한 예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참고문헌>
김영태(2002), 『현대국어 보조용언 연구』, 문창사.
박선옥(2005), 『국어 보조동사의 통사와 의미 연구』, 도서출판연락.
김석득(1992), 『우리말 형태론』, 탑출판사.
김창섭(1996),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연구』, 태학사.
임병민(2009), 『국어의 보조용언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최전승ㆍ최재희ㆍ윤평현ㆍ배주채(2011), 『국어학의 이해』, 태학사.
남기심(2009),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유효홍(2007), 『한국어 보조용언의 판정과 분류에 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위 논 문.
  • 가격1,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9.03.3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8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