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기 지각발달] 영아의 시지각 발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아기 지각발달] 영아의 시지각 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영아기 지각발달] 영아의 시지각 발달

I. 형태지각

II. 초기 사회적 지각

III. 깊이지각

IV. 크기 항상성

V. 그림의 깊이단서 지각

* 참고문헌

본문내용

막에 비친 상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물체가 가까이 있으면 망막에 비추어진 상은 클 것이고 거리가 멀어지면 망막의 상은 작아진다. 그러나 실제 한 물체의 크기는 가까이 있든 멀리 있든 간에 같은 크기로 느낀다. 이러한 지각을 크기 항상성 지각이라 한다. 크기 항상성을 느끼는 것은 사물과 공간 간의 관계를 이해했기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거리나 깊이의 증가가 망막상의 감소를 보상해서 물체의 절대적 크기를 그대로 유지시켜 주는 것이다. 만약 영아들에게서 크기 항상성이 나타난다면 영아들이 깊이나 거리 또는 삼차원을 지각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크기 항상성이 일어나려면 거리를 추정할 수 있어야 하며, 이 능력은 영아들이 깊이에 민감해지고 거리단서에 민감해진 후에야만 나타난다. 즉, 시각적 절벽을 알아보고 망막에 커지는 물체에 대한 신뢰로운 반응을 하기 시작하는 시기인 2개월이 지난 후에야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Day와 McKenzie(1981)는 4달 반 된 영아들에게서 크기 항상성의 증거를 발견하였다.
영아들을 우선 0.9~1.5m 떨어진 곳에 있는 얼굴모양 모델에 습관화시켰다. 그리고나서 처음에 보여 주어 습관화된 얼굴보다 더 큰 얼굴을 보여 주면 영아들은 그것을 처음 보는 것같이 뚫어지게 쳐다본다. 그러나 처음에 보인 얼굴모양을 더 가까이 움직이거나 더 멀리 움직이면 영아는 그것에 대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분명히 처음 얼굴의 망막상이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할지라도 영아는 그것을 처음 자극과 같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4달 반 된 영아들은 친숙한 물체에 한해서만 이 물체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것을 보았을 때 크기 항상성이 나타난다.6-8개월경이 되어야 영아들은 친숙하든 친숙하지 않든 관계없이 정지된 물체의 거리가 변화되었을 때 크기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한다.
V. 그림의 깊이단서 지각
최근 Yonas와 그의 동료들은 화가들이 2차원의 평면에 깊이와 거리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조망단서에 대해 영아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관찰하였다. Yonas 등(1978)은 영아에게 사진을 보여 주었는데, 이 사진은 "에서 찍은 창문으로 창문의 오른쪽이 왼쪽보다 가깝게 보이는 사진이었다. 이 사진 앞에 영아를 앉혔을 때 어느 쪽의 창문을 더 만지려 할 것인가를 관찰하는 것이었다. 만약 영아들이 깊이에 대한 조망단서를 지각한다면 오른쪽의 창문이 더 가깝다고 생각하고 오른쪽을 더 만지려 할 것이고, 깊이에 대한 단서에 민감하지 않다면 양쪽을 같은 빈도로 만지려 할 것이다.
Yonas 등(1978)은 7개월 된 영아들이 가까이 보이는 창문 쪽을 향하여 손을 뻗었으며, 반면에 5개월 된 영아들은 그와 같은 선호도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그 후 Yonas 등(1985)은 7개월경 영아들이 상대적 크기와 그림의 겹침 같은 회화적 단서 에도 민감한 반면, 5개월 된 영아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5-7개월 사이에 그림에서 깊이와 거리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되는 것 같다.
결론적으로 공간지각이 선천적이라는 증거는 거의 없다. 신생아들이 접근해 오거나 멀어져 가는 대상을 유심히 보기는 하지만 확대되는 망막상에 민감하거나 시각적 절벽 같은 곳에 있을 때 깊이를 지각하는 것 같지는 않다.
2-4개월경이 되어야 시각체계가 성숙됨으로써 이와 같은 것들을 감지하게 되며 곧 크기 항상성을 보이며, 그림에서도 깊이와 거리를 추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성숙 하나만으로는 공간지각의 이와 같은 극적인 변화를 설명할 수 없다. 오늘날 거의 모든 연구자들은 아동의 경험이 시각적 성숙에 공헌하고 동시에 지각적 학습을 촉진한다는 상호주의를 믿는다. 생후 1년 동안 영아들은 자연환경에서 경사진 표면, 층계 등을 탐색하고 움직이는 물체를 보고 만지고 함으로써 거리, 깊이 및 공간관계에 대하여 새롭고 흥미로운 발견을 하게 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4.08
  • 저작시기201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54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